20만명의 착용자 개인변수 분포도 유럽의 20만명의 착용자로부터 수집한 경사각, 안면각, 정점간거리 데이터 분포를 살펴보면 착용자 100명 중 9명만이 평균값 내에 분포하는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착용자의 91%는 평균값과 다른 착용 상태를 가지고 있다. (source: data on file. graph represents 200,000 wearers actual measurement values for pantoscopic tilt, wrap angle and vertex distance)
개인파라미터 적용 전과 후의 시야 비교 원용부에서 코마수차를 3배 정도 낮춰주며, 중간부에서 난시량을 조절하여 원치않은 수차를 최대 30%까지 줄여주며, 근용부에서는 굴절력을 조절해 최대 30%의 수차량을 줄여준다. 정확하게 측정된 개인파라미터가 반영된 개인맞춤 누진다초점렌즈는 렌즈의 광학적 성능이 극대화 된다.
behavior of patient 1 ◆ holds tablet close ◆ small gaze lowering ◆ concentrated behavior
behavior of patient 2 ◆ holds tablet far ◆ high gaze lowering ◆ spread behavior
착용자간 시습관의 차이 위 그림은 동일한 타블렛을 사용하는 두 사람의 시습관을 분석한 것이다. 착용자 1은 타블렛을 가까이 두고, 하방시 각도가 적으며, 국부적으로 근거리 시야를 사용한다. 착용자 2는 타블렛을 멀리 두고, 하방시 각도가 크며, 넓은 범위로 근거리 시야를 사용한다.
근용시습관(nvb) 차이에 따른 디자인 변화 원거리 시야: 진한 파란색 부분 /중간거리 시야: 하늘색 부분, 가입도의 15-60%에 해당/ 손닿는거리 시야: 베이지색 부분, 가입도의 60-85%에 해당/ 근거리 시야: 자주색 부분, 가입도의 85-100% 영역
근용시습관(nvb)의 착용자 테스트 결과 82%가 하루 이내에 적응, 71%가 한시간 이내에 적응한다고 응답했다.
1959년 세계 최초의 누진렌즈, 바리락스가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누진다초점렌즈는 보다 편안하게 즉 보다 개인 맞춤화하는 방향으로 진보해왔다. 누진다초점렌즈의 디자인의 종류는 얼마나 다양할까? 그 경우의 수는 실로 엄청나다. 광학, 생리학, 뇌과학을 고려해 볼 때 2000000000000000000개, 즉 2x1018개의 엄청난 수의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더 다양한 기술과 기기들의 진보로 요구되는 디자인의 개수는 점점 더 늘어날 것이다.
이런 다양한 종류의 디자인을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 개인맞춤은 크게 광학적 개인맞춤과 착용자 개인맞춤으로 나눌 수 있다. 광학적 개인맞춤은 모든 착용자에게 주어진 목표 디자인을 제공한다. 누진디자인에 처방도수, 각 지점에서의 s·c, 고위수차, 프리즘을 최적화, 렌즈와 테의 피팅 요소(경사각, 안면각, 정점간거리, pd, oh)를 반영한다. 피팅파라미터 개인맞춤은 하이앤드 렌즈 사양으로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이다.
착용자 개인맞춤은 각 착용자의 개인적인 피팅요소가 반영된 디자인을 제공하며,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인셋, 동공 크기, 생리학적 요소들, 인종 또는 개인적인 시력의 차이로 인한 요소들 그리고 착용자의 시습관 요소들을 반영하는 것으로 착용자 중심의 최적화된 렌즈다.
근용 시습관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누진다초점렌즈 설계에 있어 근거리 시야영역을 올바르게 배치하는 것은 노안 착용자가 최적의 근거리 편안함을 누릴 수 있게 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에실로 r&d에서는 독서의 기본 패턴은 비슷하지만 자세와 행동에는 개인별로 다양한 차이를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근용 활동은 전신 자세를 포함하며, 검사가 진행되는 동안 각 피검자는 다른 행동 패턴을 가짐을 알게 되었다. 착용자의 자세와 행동 패턴을 안다면 착용자 니즈에 따라 누진렌즈 디자인을 개인맞춤화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근거리 시습관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에실로 r&d에서는 nvb(near vision behavior)앱을 개발했으며, 사용방법은 간단해 익숙해지면 수 십 초 내에 측정 후 결과 값을 얻을 수 있다. nvb 1번 측정으로 독서시 하방시 각도, 디지털 기기와의 거리, 측방시 오프셋, 시습관 4가지 값을 얻을 수 있다.(그림1 참조) 또 nvb값은 최적의 인셋, 누진대길이 정보까지 포함하고 있어 안경원에서는 앱을 통한 간단한 1번의 측정으로 여러가지 정확한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림1
렌즈는 다음 3단계 과정으로 개인 맞춤화된다. 첫번째 단계는 착용자의 데이터(처방도수, pd)와 착용 상태(모양과 크기)를 고려해 정점간 거리, 경사각, 안면각을 생산할 렌즈(전면, 기하학 및 굴절률)의 특성과 결합한다. 두번째 단계는 착용자의 자세(nvb)에 따라 누진 렌즈에서 근거리 시야 영역의 최적 위치를 식별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프리즘 효과 및 양안 시력에 대한 정보가 고려된다. 세번째 단계는 nvb 결과를 착용자의 동적 시선 기반으로해 도수 프로파일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위의 박스 중 4번째 그림은 착용자의 근거리 시습관을 반영한 variluxⓡ x 시리즈™ 렌즈의 최적 근거리 시야 위치 및 모양의 예를 보여준다. 이 최적화의 결과로, 렌즈상의 근용 도수 위치(가입도 100 %인 지점, 파란색 십자가로 표시)와 손닿는 거리(가입도의 85-60%지점)의 시야가 조정된다. 개인 시습관이 반영된 누진다초점렌즈는 에실로 r&d에서 5년 동안 연구개발, 19번의 착용자 테스트로 명을 약 3,000명을 테스트했으며 특허는 15개 출원해 단일품목으로 최다 개수를 가지고 있다. 근용 시습관(nvb)가 반영된 x시리즈는 착용자의 94%가 근용부로의 시선 이동이 쉽다고 응답했다. 또, 82%가 하루만에 적응(바리락스 s 73%), 90%가 쉬운 적응(바리락스 s 76%)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누진다초점렌즈의 고질적인 문제인 머리 움직임에 대한 불편함은 수직방향에서 93%, 수평방향 97% 만족도를 이끌어냈다.
※ 원본 출처: 1. data on file. graph represents 200,000 wearers actual measurement values for pantoscopic tilt, wrap angle and vertex distance. 2. fricker s., lebrun c., hernandez castaneda m., paille d., heslouis m., rousseau b., jolivet v., variluxⓡ x series™ lenses - extended ranges of vision, points de vue, international review of ophthalmic optics, www.pointsdevue.com, may 2017 3. rousseau b., meslin d., variluxⓡ x series™: the progressive lens with an expanded field of near vision, points de vue, international review of ophthalmic optics, www.pointsdevue.com, july 2017/ http://www.pointsdevue.com/sites/default/files/varilux_x_near_vision_behavior_white_paper.pdf?utm_source=website&utm_campaign=varilux%20x%20series%20nvb&utm_term=white%20paper(이미지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