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안실에서 1.0 으로 우수하게 측정된 토릭렌즈 고객이 실생활 중 시력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했다면, 새로운 축 안정 디자인의 제품 추천을 고민해 보자. 이 때 다양한 안구의 움직임과 고개 방향에 따른 축 회전까지 고려한 디자인인지 확인해 보자.
영국 맨체스터 검안대학교 연구팀은 실제 생활(real world) 중 토릭 렌즈 사용자의 시력에 변화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vant(반트) 차트를 고안했다.
토릭렌즈에 적용된 축 안정 디자인에 따라 렌즈 축 회전률에 차이가 있다. 파란색 도형은 'asd(accelerated stabilization design)', 주황색 도형은 프리즘 디자인 토릭렌즈.
불안정한 시력은 토릭렌즈 고객이 렌즈 착용을 중도 포기 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상담을 통해 토릭렌즈 고객의 선명한 시력 교정, 축 안정이 이뤄질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
유로리서치가 매년 1월 발표하는 '국제 콘택트렌즈 처방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렌즈 시장 중 구면렌즈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52%, 토릭렌즈는 약 26%로 나타났다. 이는 조사에 참가하는 26개 국가의 평균 수치다. 이 중 미국, 영국을 비롯한 서양권 국가의 경우 토릭렌즈 처방이 약 30~37% 정도로 국제 평균보다 토릭렌즈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 즉, 콘택트렌즈를 통한 난시 교정이 보다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margan p., et al., cl spectrum, jan 2017). 반면, 국내 토릭렌즈의 비중은 전체 일회용(diposable) 팩 렌즈 판매량의 약 19%를 차지, 국제 평균보다 다소 낮은 수치다(gfk jan 2018). 이는 앞으로 콘택트렌즈를 통해 난시를 교정하려는 시력 교정자가 국내에 많이 발생할 거라는 것을 의미하며, 시장 성장 기회가 많음을 예측해 볼 수 있다. 토릭 렌즈 임상 노하우 및 연구 논문을 토대로 현대의 토릭 렌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q. 난시 고객 a씨, 콘택트렌즈 사용이 불가하다고 들었다. 사실일까?
a. 한정된 도수 범위, 불안정한 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난시 고객에게 콘택트렌즈를 추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최신 토릭 콘택트렌즈는 보다 다양한 도수 범위와 안정적인 시력을 제공한다. 만약 무더운 날씨에 안경원을 찾은 난시 고객이 있다면 자신있게 토릭 콘택트렌즈를 제안해도 좋을 것 같다. '아큐브 오아시스 원데이'와 '아큐브 비타'의 경우 구면과 토릭 모두 출시돼 시력교정 대상의 95%에게 렌즈 처방이 가능하다. 또한 총 2260개의 다양한 도수 종류로 난시를 87% 정도 교정할 수 있다(jjvcc data on file 2016). 또한 축 회전이 5도 미만으로 우수한 축 안정도를 유지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시력에 대한 클레임이 꺼려지는 안경사 선생님들에게 희소식이다 (straker b. et al., gsls poster, jan 2017).
q. 토릭렌즈 고객, 안경원과 집에서의 시력교정 만족도가 다르다면?
a. 분명 안경원에서 교정 시력을 확인했을 때 1.0 이상 우수한 시력이 확인 되었는데, 실제 생활 중 토릭렌즈를 사용하다 보면 고객이 불만족을 느끼고 클레임을 호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는 정면을 바라본 상태에서 차트로 확인한 교정 시력과 달리 비스듬히 누워서 핸드폰 화면을 보거나 턱을 괴고 책을 읽는 등 실제 생활 중 안구와 고개 방향의 변화가 매우 다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렇듯 클레임을 줄이기 위해서는 '실제 생활(real world)'의 시생활이 안경원에서 측정된 정면 시력과 차이가 나는 점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이 때 맨체스터 검안대학의 연구팀이 고안한 vant(visual acuity near toric) 차트가 유용하다(그림2참조).
q. 영국에서 고안된 vant 차트는 어떻게 사용하고, 무엇을 측정하나?
a. 보다 현실적인 상황에서의 교정 시력을 확인하기 위해 vant 차트는 정면 시력 그리고 홱보기(vergence)로 인한 시력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우선 40cm 정도의 근거리에서 측정되는 vant 차트에는 logmar 시표가 중심부에 그리고 상하좌우를 비롯해 4개의 꼭지점 코너에 각각 1개의 알파벳이 적혀 있다. 토릭 렌즈를 착용 한 채 정면에서 측정된 근거리 시력과 고객으로 하여금 각기 다른 8개의 알파벳을 한 개씩 보도록 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유발시킨 후 정면을 다시 보았을 때 측정되는 교정 시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모든 측정은 단안으로 실시하도록 한다. 2011년 chamberlain 이 발표한 연구 논문에 의하면 vant 차트를 사용해 측정된 교정 시력 정도는 흥미롭게도 다른 축 안정 설계마다 그리고 다른 코너 방향마다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즉, 안구 움직임에 따라 토릭 렌즈의 축 안정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문에서는 각기 두 개의 다른 축 안정 설계를 비교했는데 의미 있는 정도의 교정 시력에 차이를 보인 안구 움직임 방향은 귀쪽 상단부와 코쪽 하단부였다. 특히 코쪽 하단부의 경우 일반적인 독서 또는 핸드폰을 바라하는 시점 방향과 일치하기 때문에 축 안정 디자인 선택 시 고려해 봐도 좋겠다.
q. 우리 안경원에서는 vant 차트를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까?
a. 토릭렌즈 상담 시 안경사가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실제 생활 중 축 안정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객에게 사전 고지하고 이해를 시키는 것일 것이다. 이때 고객에게 적합한 축 안정 디자인의 토릭렌즈를 착용 시킨 후 vant 차트를 사용해 다양한 조건 중 시력을 확인시켜 준다면 이해의 폭이 넓어진 고객의 피팅 후 클레임이 줄어들고 현실적인 기대치 설정을 통해 만족도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혹시 기존에 사용하는 토릭렌즈가 안구나 고개의 움직임에 따라 시력이 흐려져서 불편하다고 호소하는 고객이 있다면 이런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재피팅 한 후, vant 차트를 사용해 보다 안정적인 시력이 제공될 수 있음을 인지시키는 것도 좋을 것 같다.
q. 성공적으로 피팅된 토릭 렌즈 고객을 단골로 유지하려면?
a. 2017년 sulley a 가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편한 착용감이 보다 우선시 되는 구면이나 미용렌즈에 비해 기능적 요소가 부각되는 토릭과 멀티포컬 렌즈는 시력의 우수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한다. 이는, 토릭렌즈 고객의 중도 포기 원인 중 가장 높게 확인된 항목이 '시력(vision)'으로 조사되며 사실로 입증됐다. 일반 구면 렌즈보다 기능적 요소로 인해 고가로 판매되고, 안경사의 전문성이 보다 어필될 수 있는 토릭렌즈 상담에 있어 선명한 시력 교정 그리고 축 안정의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다이내믹한 안구와 고개 방향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실제 생활을 고려해 보다 안정적인 축 안정 디자인 선택으로 성공적인 토릭렌즈 임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