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 “전문가 설명 있다면 프리미엄 렌즈 기꺼이 지불”

2020-04-08     노민희
q.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고객의 기대에 부응할까?

콘택트렌즈 표면의 단백질 침착으로 인해 시력과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해 거대유두결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 (https://www.eyedolatryblog.com/2015/02/makeup-debris-on-your-contact-lenses.html)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거대유두결막염은 눈꺼풀 위쪽 결막이 울퉁불퉁해 충혈과 간지러움등의 증상을 보인다. 많은 전문가들이 실리콘에 의한 알레르기라고 많이 오해한다. (vishakha thakrar. treating infectious and inflammatory disease in contact lens wearers. contact lens spectrum july1,2004.)

전문가들이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을 처방하는 데에 있어 가장 큰 걱정거리 세가지는 높은 가격, 실리콘 알레르기, 그리고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낮을수 있는 착용감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sihy)재질과 하이드로겔 (hy)재질의 착용감 비교, 렌즈 착용 직 후, 하루 동안의 착용감과 일과후의 착용감이 두 재질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 diec j, tilia d, thomas v. comparison of silicone hydrogel and hydrogel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es. eye contact lens. 2017. doi: 10.1097/icl.0000000000000363 [epub ahead of print].)


최근 쿠퍼비전에서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와 관련해 일본, 영국, 미국에서 공동으로 진행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는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는 이 제품군의 성장추세를 점검하는 한편, 450명의 전문가와 1500명의 고객들과의 면담을 통해 이 제품군에 대해 전문가가 예상하는 고객들의 니즈와 실제 고객이 원하는 니즈 사이의 간극, 이로 인한 오해와 그 원인을 분석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문가들과 고객들의 인식차에 대해 미국 검안사 출신 게리 오스본 박사는 흥미로운 조언을 해주었다. "전문가들은 가격, 알레르기, 착용감 등의 이유 때문에 고객들이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꺼려할 것이라 지레 짐작하는 면이 있다"며 "많은 고객들이 무작정 저렴한 것보다는 높은 퀄리티의 렌즈에 더 많이 지불할 의향이 있다"는 설문 결과를 소개했다. 가격에 대한 노파심 때문에 좋은 제품을 추천하기를 망설일 이유가 없다는 이야기다.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출시된지 10년정도 됐지만, 2017년 조사에서 원데이 렌즈 사용자 중 절반(52%)만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1). 이미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장점이 널리 알려졌고, 92%의 전문가들이 눈건강에 좋은 재질이라 인정(2) 했는데도 처방율이 낮은 데에는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일까.

1. 가격에 대한 우려다. 전문가의 95%가 비용에 차이가 없다면 원데이 렌즈 처방 시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을 추천할 거라 말했다. 고객의 주머니 사정을 고려해주는 답변이다. 하지만 78%의 고객들은 전문가로부터 최선의 렌즈 선택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기를 원한다고 답했으며, 68%의 고객들은 전문가들이 제일 건강한 렌즈 옵션을 가격과 상관없이 추천해주기를 바란다고 답했다. 75%의 고객들은 가격과 무관하게 전문가의 추천을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2. 실리콘 알레르기에 대한 우려다. '실리콘 알레르기가 실재하는가?' 43%의 전문가들이 설문에서 실리콘 알레르기란 실재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2). 다시 말해 그 나머지인 절반 이상의 전문가들은 실리콘 알레르기가 실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최근 알레르기 반응의 원인을 검토한 한 논문은 실리콘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고 있다고 결론내렸다(3). 하지만 고객이 콘택트 렌즈 착용 후 유두결막염 같은 질환을 겪게 될 경우, 그 증상이 알레르기성 안질환의 증상과 유사하기 때문에 실리콘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것이라고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쉽다. 실제로는 재질 외에도 렌즈 솔루션과 고객의 눈 상태가 종합적인 원인일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유사 알레르기 증상은 실리콘 재질에서만 보여지는 것뿐만 아니라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경우다.

워털루 대학교의 린던 존스 (lyndon jones)박사는 "눈물층의 문제로 불편함을 겪고 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월간용 렌즈 착용자는 같은 재질의 원데이 렌즈를 착용하는 것으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를 통해 실리콘의 재질에 대한 막연한 부정적 인식에 근거가 없음을 입증해 내기도 했다.

3. 착용감에 대한 우려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이 하루 종일 편안할까?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착용감이 하이드로겔보다 떨어질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가진 전문가들도 있다. 하지만 전문가의 88%가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더 지속적으로 편안하다고 생각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으며(2), 이 결과는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더 편안하다는 결과를 도출해 낸 연구 결과들과 동일한 결론이다(7-10). 린던 존스 박사는 이에 덧붙여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우월한 착용감뿐만 아니라 눈건강에도 좋다"라는 코멘트를 붙였다(3).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를 들어보자. 87%는 원데이 렌즈 선택 시에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을 가장 먼저 추천해야 된다고 생각한다(4). 77%는 원데이 하이드로겔 렌즈가 고객에게 필요한 양의 산소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고 있다(2). 93%는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고객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 보고서는 고객에게 신뢰를 주고 솔직하게 소통하는 것이 렌즈 추천에 있어 핵심임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인 실천 방안으로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유념할 필요가 있겠다. 첫째, 고객들은 원데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대한 편견없이 전문가 추천에 따를 준비가 돼있다. 둘째, 고객들은 렌즈 선택에 관해 가격과 상관없이 모든 옵션들을 다 알기 원한다. 셋째, 샘플렌즈를 고객에게 증정해 제품을 착용하고 경험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 전문가들의 입장에서 고객들의 속내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많은 고객들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받기 원하고 자신의 건강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내림에 있어 프리미엄을 지불할 준비가 돼 있다.



※원본 출처 : 1)morgan pb, woods c, tranoudis i, et al.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7. contact lens spectrum 2018;33:28-33 2) ecp perception of the benefits of 1-day silicone hydrogels. february 2018. cello health insight. data on file. survey carried out online in us, uk and japan. total sample size n= 300 (100 ecps in each country) 3)jones lw "doc, i think i'm allergic to these new lenses." contact lens spectrum. may 2018;33:44-46 4)barriers to 1-day silicone hydrogel research. july 2017. cello health insight. data on file. survey carried out online in us, uk and japan. total sample size n=158 (us n=61, uk n=47, japan n=50)

※ 정리 : 쿠퍼비전 코리아 교육팀 강민지 매니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