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듈러스가 높은 1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했을 경우 렌지 엣지에 'fluting'이라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 현상은 렌즈 엣지부분이 각막부분을 덮지 않고, 떠 있는 상태를 말한다(화살표). (christopher snyder. modulus and its effect on contact lens fit. contact lens spectrum. february 1,2007.)
같은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이더라도 렌즈 엣지 디자인에 따라 렌즈 움직임에 차이가 있다. 타이트한 피팅은 0.1-0.2mm, 이상적인 움직임은 0.3~0.5mm 이며, 루스 (loose)한 피팅일 경우 움직임이 0.6~1.0mm가 보인다. (teresa hubner, dipl.-ing. augenoptik, professional services wohlk contactlinsen 2009)
push up test 검사법. 임상 전문가가 고객의 아래 눈꺼풀 밑에 엄지를 사용해 위로 렌즈를 움직인다. 렌즈가 전혀 움직임이 없을 경우 0%, 렌즈가 너무 많이 움직이면 100% 이며, 이상적인 움직임은 50%이다.(prashant patel. consultant ophthalmologist. contact lens lecture.)
렌즈 피팅을 검사하는 push up test. 베이스커브 8.4mm의 렌즈에 경우 동양인과 서양인 두 그룹 모두 적당한 렌즈 움직임을 보였다(40~60%). (coopervision data on file)
rigid gas permeable lens(하드렌즈)에서 베이스커브와 직경사이즈는 매우 중요하다. 하드렌즈는 딱딱하기 때문에 렌즈가 각막곡률과 잘 맞지 않을 경우 각막에 손상을 입힐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소프트렌즈 피팅에서 베이스커브는 얼마나 중요한 요소일까?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8.4mm의 베이스커브를 이용했을 때 90%의 피팅 만족도가(1), 베이스커브 8.4mm와 8.6mm 두 가지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98%의 피팅 만족도가 나왔다(2). 이렇게 한, 두가지의 베이스커브를 이용해 짧은 시간에 많은 고객들을 피팅 할 수 있는 점은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가장 큰 장점이다. 물론 소프트렌즈 피팅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에는 여러가지의 변수들이 있다. 재질, 경도, 두께, 직경, 베이스커브 등 다양한 렌즈 관련한 것들, 그리고 눈꺼풀의 힘, 각막곡률, 홍채 직경 같이 고객의 눈 상태에 관련한 요소들도 있다. 중요한 몇 가지의 요소들을 살펴보겠다.
■렌즈 엣지 디자인
teresa huber의 논문에 의하면 같은 렌즈 재질이라도 엣지에 따라 렌즈 피팅에 차이가 있다(3). 눈을 깜박거린 후 하이드로겔 렌즈의 가장 이상적인 렌즈 움직임은 0.3~0.5mm이며 같은 하이드로겔 렌즈 재질에서도 엣지 디자인에 따라 움직임의 정도가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위 이미지 참조). 하이드로겔 렌즈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에 비해 산소투과율이 낮으므로 움직임이 0.1~0.2mm 정도로 적은 경우 저산소증으로 인한 부작용에 유의해야 하겠다.
■3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
최신의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구형 렌즈와 달리 모듈러스가 낮은 편이다. 3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중에서 모듈러스가 0.4mpa로 낮은 렌즈의 경우 매우 부드럽고 유연해 각막을 더 많이 덮기 때문에 다양한 각막곡률을 가진 고객들에게 피팅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모듈러스가 높은 1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같은 경우 렌즈의 덮힘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에 'fluting'이라는 현상을 더 자주 볼 수 있다. 이것은 렌즈 엣지가 각막 위에 떠있는 현상을 일컬으며 착용감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최근 쿠퍼비전 글로벌팀이 베이스커브 8.4mm의 렌즈로 동양인과 서양인의 렌즈 피팅을 비교해 실험한 결과에 의하면 동양인 눈의 각막곡률은 익히 알려진 바처럼 서양인에 비해 평평한(flat) 편이어서 볼록한(steep) 렌즈를 착용했을 경우 동양인 눈의 렌즈 피팅시 움직임이 더 적게(tight) 나타난다(4). 종합적으로 동양인, 서양인 그룹 모두 중심안정 면에서는 합격점을 보였으며, 슬릿램프 (slit lamp)를 통해 관찰했을 때도 동양인과 서양인 그룹의 피팅 만족도는 동일하게 나왔다.
■피팅검사법 tip
해외에서 널리 쓰이는 피팅 검사법에는 'lag'와 'push up test'라는 검사법이 있다. 'lag' 검사법은 고객이 렌즈를 착용하고 앞을 본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빠르게 움직였을 때 렌즈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검사다. 렌즈가 타이트(tight)하게 피팅이 됐을 경우 렌즈가 각막이랑 동시에 움직여지고, 피팅이 잘 되면 각막이 움직임과 동시에 렌즈가 곧바로 따라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push up test'란 렌즈 피팅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 방식의 한 가지로 렌즈 착용 상태에서 고객의 밑 눈꺼풀을 이용해 렌즈를 윗방향으로 움직이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100%의 수치는 전혀 움직이지 않는 타이트(tight)한 렌즈 피팅을, 0%는 아무런 압력 없이도 움직임이 많은 루스(loose)한 렌즈 피팅을 뜻한다. 가장 이상적인 push up 수치는 50%다(5). 렌즈가 너무 타이트할 경우 윤부충혈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고 너무 루스할 경우에는 착용 만족도가 매우 떨어진다. 쿠퍼비전 글로벌팀의 연구에 따르면 피팅 당일과 일주일 후 동양인과 서양인 모두 push up test에서 만족할 결과를 보였다. 동양인 그룹에서는 피팅 당일에 97%, 일주일 후에는 74%, 서양인 그룹에서는 피팅 당일에 79%, 일주일 후에는 68%였다.
최신 렌즈들이 피팅 성공률면에서 이전 세대의 제품들에 비교해 크게 향상된 덕택으로 간혹 임상에서 피팅 확인에 소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21%의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임상 전문가의 잘못된 렌즈 선택으로(6), 33%의 착용자가 피팅이 잘못된 연유로 렌즈 착용을 포기하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참고해볼 때 렌즈 처방과 피팅은 여전히 중요한 과정이다. 렌즈 처방시 피팅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ar화면에서 찍히는 모습을 통해 확인하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최신 3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모듈러스가 낮아 렌즈 피팅 성공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하지만 피팅이 좋지 않다면 각막곡률 k 값과 베이스커브 이외에도 여러가지의 원인이 있을 수 있음을 유의하기 바란다.
※원본 출처 : (1) roseman mj, frost a, lawley me. effects of base curve on the fit of thin, mid-water contact lenses. int contact lens clin. 1993 may/june;20:95-101.
(2) dumbleton ka, chalmers rl, mcnally j, bayer s, fonn d. effect of lens base curve on subjective comfort and assessment of fit with silicone hydrogel continuous wear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2002 oct;79:633-637.
(3) teresa h?bner, dipl.-ing. augenoptik, professional services. w?hlk contactlinsen 2009
(4) coopervision data on file
(5) young g. how to fit soft contact lenses. journal of the british contact lens association 1992:15(4):179-180
(6) young g. why one million contact lens wearers dropped out. cont lens anterior eye. 2004 jun;27:8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