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규모가 올 상반기 기준 약 275조원을 기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글로벌 시장 조사 기업 gfk는 동영상, 게임, 사진 등 몰입감 높은 컨텐츠를 즐기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고사양의 스마트폰 구매가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 gfk 조사 결과에 따르면 6~7인치의 디스플레이, 2000만 화소 이상 카메라, 128기가 이상의 내장 메모리 등 프리미엄 성능을 다수 탑재한 고사양의 스마트폰 매출은 약 43조원으로 전체 매출의 16%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3%p 상승한 수치다.
국내는 지난 4월 처음으로 상용화된 5g가 이슈몰이에 성공했다. gfk 조사에 따르면 국내 5g 스마트폰의 시장 점유율이 6월 한 달 빠르게 성장하면서 전체 스마트폰 판매량의 40%까지 넘어섰다. 즉, 6월에 스마트폰을 구매한 한국인 10명 중 4명 이상은 5g 스마트폰을 구매한 것이다. gfk는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이와 같은 최신 기술을 탑재한 스마트폰이 지속적으로 출시된다면 풍부한 모바일 경험을 추구하는 소비자도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처럼 스마트기기 사용량이 갈수록 증가하고 프리미엄 성능을 위해 기꺼이 지출을 아끼지 않는 소비자가 늘고 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디지털 기기와 시력은 밀접한 연관을 갖는다. 물론 눈관리를 잘하고 디지털 기기를 적당하게 사용한다면 큰 문제는 없지만 현대인들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상 깨어있는 시간의 대부분은 디지털 기기와 함께 한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다. 현대인들은 잠에서 깨면서부터 시간을 보는 것을 시작으로 잠들기 전까지 디지털 기기와 많은 시간을 보낸다.
앞서 gfk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나듯이 더 선명한 화면에 돈을 투자한다. 동영상 콘텐츠를 더 선명하게 시청하고, 좀 더 생동감 넘치는 게임을 즐기고, 내가 촬영한 이미지가 더 또렷하게 나올 수 있도록 말이다. 프리미엄 스마트 기기의 매출이 전년보다 더 상승한 것처럼 해가 거듭될수록 매출은 계속 오를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고객들에게 시력과 관련된 다양한 옵션을 설명하면서 디지털 기기에 대한 언급은 꼭 필요하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은 언제 교체했나요. 비싼 돈을 주고 교체했는데 더욱 선명하게 보고 싶나 않나요?" 혹은 "디지털 건조안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이로 인해 건조함을 느끼는 고객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좋은 솔루션이 있습니다" 등이 있을 것이다.
안경사는 프리미엄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추천하는데 훨씬 수월해진다. 뿐만 아니다. 시력이상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난시와 노안에 있어서도 다채롭게 추천할 수 있는 가능성이 더 넓어진 것이다. 향후에는 전세계의 절반의 인구가 근시를 겪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도 나왔고 난시나 노안, 특히 젊은노안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더 늘어날 수 있다. 디지털 기기를 자주 접할수록 시력의 기능이 저하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눈에 좋은 영양제나 음식을 챙겨먹기도 하고 블루라이트를 차단하기 위해 안경을 구입하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좀더 눈 건강에 포커스를 맞춰서 다양한 프리미엄 제품을 추천한다면 고객 입장에서도 큰 조언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