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성 원장의 톡톡 강의
2011-01-24 이지연
조제 가공 기출 유형 중 학생들이 많이 어려워하는 부분 중의 하나가 복식 알바이트 문제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개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제 가공의 핵심은 pd와 oh를 정확히 맞추어 동공 중심에 불필요한 프리즘 굴절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양안시 기능을 원활하게 하는데 있습니다.
원근 양용으로 쓸 수 있는 안경을 복식 알바이트라고 하며 2매의 렌즈가 눈앞에 위치합니다. 2매의 렌즈 중 눈에 더 가까운 렌즈를 뒷렌즈, 좀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렌즈를 앞렌즈라고 합니다.
복식 알바이트 안경을 원근 양용으로 사용하는 형식에는 △뒷렌즈는 근용, 앞렌즈와 합쳐서 원용 △뒷렌즈는 원용, 앞렌즈와 합쳐서 근용으로 사용하는 형식이 있으며 위의 두가지 형식 중 첫 번째 형식의 안경을 주로 사용하고 이를 앞걸림테라고도 표현합니다.
△뒷걸림테 형식은 앞렌즈를 원용으로, 뒷렌즈와 합쳐서 근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위의 세가지 형식은 암기할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문제에서 주어집니다.
앞 뒤 두매의 렌즈가 중첩되어 합성되면 두 렌즈가 가지는 프리즘 굴절력이 중화되는 곳이 있는데 이를 합성 광학 중심점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중첩되지 않는 렌즈는 단초점 렌즈와 같이 손님의 조준선에 렌즈의 광학중심점이 일치되도록 조제 가공합니다. 하지만 중첩되는 렌즈의 광학 중심점의 위치는 동공 중심과 일치시키지 않고 뒷렌즈와 앞렌즈의 프리즘이 서로 중화되어 0△가 되는 합성 광학 중심점이 동공중심과 일치되도록 조제 가공합니다.
국시에서 출제되는 문제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뒷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또는 oh
② 앞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또는 oh
기본유형) 뒷렌즈는 근용, 앞렌즈와 합쳐서 원용으로 사용하는 복식 알바이트 안경에서
원용 ou : s-1.00, pd 66㎜, oh 28㎜
근용 ou : s+1.00, pd 61㎜, oh 23㎜
① 뒷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및 oh
② 앞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및 oh를 구해보세요
위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프렌티스 공식을 이용해야 합니다.
① 뒷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및 oh
뒷렌즈는 단초점렌즈의 경우와 같이 근용 처방값인 s+1.00d, pd 61mm, oh 23mm로 조제가공 하면 됩니다.
② 앞렌즈의 굴절력과 조제가공 pd
앞렌즈를 합쳐서 원용굴절력이 되어야 하므로 앞렌즈 굴절력은 s-2.00d가 됩니다.
원용 pd 66mm로 조제가공 했을 때 프리즘 효과는 p = 1d × 0.5cm = 0.5△, bi이 발생합니다.
뒷렌즈에서 발생한 0.5△, bi을 상쇄하기 위해 앞렌즈에서 0.5△, bo이 되도록 pd를 조정합니다.
0.5△ = h × (-)2.00d h = 0.25cm = 2.5mm
(-)렌즈에서 bo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pd를 감소시켜야 하므로 앞렌즈 조제가공 pd는 66 - 2.5 = 63.5㎜가 됩니다.
③ 조제가공 oh
원용 oh 28mm로 조제가공 했을 때 뒷렌즈에 의한 프리즘 효과 발생은 p = 1d × 0.5cm = 0.5△, bd
(+)렌즈이므로 0.5△, bd 효과가 발생합니다.
0.5△, bd을 상쇄하기 위해 앞렌즈에서 0.5△, bu이 되도록 oh를 조정합니다. 0.5△ = h × (-)2.00d h = 0.25cm = 2.5mm
(-)렌즈에서 bu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oh를 감소시켜야 하므로 앞렌즈 조제가공 oh는 28 - 2.5 = 25.5㎜가 됩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