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와 다른 눈곱이 낀다면 눈질환 의심해야
자고 일어났을 때 누구나 눈곱이 낀다. 눈곱은 눈물, 세포, 먼지 등이 뭉친 노폐물 덩어리다. 눈곱은 눈물 성분이 말라 딱딱해지거나 끈적끈적해진 상태이다. 특별히 건강에 문제가 없어도 자고 일어나면 누구나 눈곱이 생긴다.
하지만 눈 건강에 이상이 생길 때 평소와 다르게 눈곱이 낄 때가 있다. 평소보다 눈곱 양이 많아지거나 누런 색깔을 지니고, 끈적거리는 눈곱이 그것이다.
알레르기 결막염, 감염성 결막염, 눈꺼풀염 등에 걸리면 눈곱은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다. 눈의 질환이 아니더라도 감기나 비염이 심할 때 비강 점막이 부어 눈물 배출경로가 압박되면 일시적으로 눈물길이 좁아져서 눈물 고임 및 눈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눈에 염증이 동반된 경우 눈곱 양이 많으며 끈적끈적하고 누런색이 된다. 그냥 자고 일어났을 때 생기는 눈곱은 치료할 필요 없지만, 지속적이며 심한 눈곱은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끈적거리는 누런 눈곱이 끼면서 눈이 충혈되고 통증이 느껴진다면 세균성 결막염이나 각막염일 수 있다. 눈에 세균이 침입하면 급성 감염이 일어나는데, 이때 세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눈 분비물량이 많아진다.
이때 눈곱이 유난히 노란색을 띠는 이유는 세균 자체가 만든 농, 염증으로 인해 생기는 분비물 색이 노랗기 때문이다. 세균성 결막염이나 각막염은 항생제 성분 안약을 넣으면 치료된다. 치료를 미뤄 감염 증상이 악화하면 통증이 계속되고 약물로 잘 낫지 않을 수 있으니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병원을 찾자.
또 맑고 투명한 눈곱이 눈물처럼 흘러내린다면 바이러스성 결막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바이러스는 세균과 달라 농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눈곱 색이 투명한 편이다. 통증, 출혈, 잦은 눈곱, 눈물 흘림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또 흰자위가 붉어지거나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느껴질 수도 있다.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2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회복되지만, 심하면 각막상피가 벗겨지기도 해서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어 분명히 세수하고 눈곱을 뗐는데도 투명하면서 실같이 길고 가느다란 눈곱이 끈적하게 눈에 붙어 시야가 뿌옇게 보인다면 안구건조증을 의심해야 한다.
눈이 건조하면 눈물 점도가 높아져 눈곱이 끈적해지며, 닦았을 때 길게 늘어진다. 인공눈물을 넣기로 치료 가능하다. 그리고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피하고 틈틈이 눈을 감고 휴식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거품처럼 하얀 눈곱이 눈 속이 아닌 눈꺼풀 위나 속눈썹에 자꾸 낀다면 눈꺼풀염을 의심하자. 눈꺼풀염은 눈으로 지방을 분비하는 기름샘이 막혀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기름샘 입구에 흰색 눈곱이 낀다.
이는 면역력이 약할 때 생기기 때문에 건강관리를 평소에 잘해야 한다. 그리고 눈꺼풀염은 눈곱, 눈물 흘림, 눈꺼풀 부종, 이물감, 통증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염증에 의한 눈꺼풀염이면 스테로이드나 점안약, 안연고로 치료하고, 감염이 원인이라면 항생제로 치료한다.
어떤 눈 질환이라도 예방을 철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손 씻기를 생활화하고 오염된 손으로 눈을 비비지 않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