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영향일까'...성장기 자녀, 시력저하 원인은
발달한 전자기기의 발달로 스마트폰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녀를 가진 사람들은 자녀의 시력이 나빠지지 않을까 걱정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성장기 어린이의 잘못된 습관과 주변의 나쁜 환경이 시력 저하를 불러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단순히 TV나 스마트폰 사용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녀 시력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관심이 많은 부모가 늘고 있다.
사람의 눈은 만 7~8세 전후로 시력발달이 완성된다. 이 시기에 눈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 근시·소아 약시 등 시력 이상이 나타날 수 있어 이 시기의 자녀가 있는 부모들은 안과를 방문해 꾸준한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자녀 시력 관리를 위해 근시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시력검사를 통해 근시, 난시, 원시 등이 있는지 검사하고 어릴 때 근시가 있으면 시력은 점점 더 나빠지고 근시 진행도 계속되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근시의 원인은 유전, 과도한 근거리 작업, 낮 동안의 야외활동 부족 등 여러 가지가 있고 한 번 근시가 생기면 성장이 멈출 때까지 근시가 진행돼 시력이 더 나빠진다.
근시를 막으려면 진행 속도를 늦추는 방법에 신경 써야 한다. 전자기기를 많이 사용했다면 하루 1시간 이상 주간에 야외활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눈에 좋은 음식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좋다.
눈에 좋은 운동이나 지압법을 익히는 것도 좋다. 눈 근육훈련, 눈 깜박임 운동, 안륜근의 기능을 키워주는 경혈 지압법 등이 있다.
눈 훈련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숫자 8을 옆으로 누운 모양 ∞ 으로 큰 도화지에 그림을 그리듯 눈을 돌리는 운동인데 안륜근 강화 효과가 있으며 눈 깜빡임의 횟수가 줄어들어 안구건조증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운동 방법은 한 번 실시할 때 1초간 눈을 감았다가 2초간 눈을 뜨고 다시 1초간 눈을 감았다가 2초간 눈을 뜨고 하는 과정을 3분간 되풀이하면 된다.
또 자녀의 눈 건강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에 올바른 생활 습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
책은 바른 자세로 30cm 이상 떨어져 밝은 조명 아래에서 읽어야 하고 TV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게 적절하게 설치해주고 3m 이상 떨어져서 보도록 한다.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사용은 20~30분 이내로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다.
눈에 좋은 당근, 시금치, 블루베리, 연어나 고등어와 같은 등 푸른 생선 등 음식도 많이 섭취하면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