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이 하이드로젤보다 훨씬 좋다? 제품력 거의 동등

하이드로젤 렌즈, 산소투과율 개선해 C/L 대중화에도 기여 실리콘과 착용감 차이없고 각막부종·안구건조증 관계 적어 콘택트렌즈 입문자에 착용감 좋은 하이드로젤 추천해 볼만

2021-03-10     노민희 기자

 

 

국내 콘택트렌즈 소비자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콘택트렌즈 선택 기준도 더욱 더 까다로워지고 있다. 소프트 콘택트렌즈 선택시 주요 고려 요인으로는 △편안한 착용감 △시력 개선 △충분한 산소 공급 등 세 가지가 꼽힌다. 이 세 가지를 기준으로 콘택트렌즈 재질로 널리 사용 중인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이하 하이드로젤 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이하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의 차이를 짚어본다.

■산소투과율 개선, 콘택트렌즈 대중화에 기여한 하이드로젤 렌즈

1960년대에 최초로 등장한 하이드로젤 렌즈는 기존 렌즈의 단점이었던 낮은 산소투과율을 개선해 콘택트렌즈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 산소투과율이 낮은 렌즈는 장시간 착용 시 충혈, 신생혈관, 각막 침윤 및 각막 부종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하이드로젤 렌즈다. 이후 산소투과율 및 함수율을 한층 더 높인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가 출시됐으나 실리콘 함유율이 높은 렌즈는 지질이 잘 침착되어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제기됐다. 이는 하이드로젤 렌즈가 후발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 대비 콘택트렌즈 시장에서 굳건한 지위를 지키는데 중요한 이유가 됐다.

■착용감 차이 입증 데이터 아직 없어, 편안함은 일부 하이드로젤 렌즈 우수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와 하이드로젤 렌즈의 착용감 차이를 명확하게 입증한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다만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 3종과 하이드로젤 렌즈 2종을 대상으로 하루가 끝날 때쯤 눈의 편안함 정도를 비교한 결과, 일부 하이드로젤 렌즈의 편안함 정도가 더 우수했다.

한 예로, 대표적인 하이드로젤 렌즈인 한국존슨앤드존슨 비젼의 '원데이 아큐브 모이스트ⓡ'는 전 세계 임상시험 등록 데이터베이스(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13개의 임상 연구에서 일일 착용 하이드로젤 렌즈 중 편안한 착용감과 시력 개선 측면에서 뛰어난 결과를 입증한 바 있다.

■하이드로젤 렌즈, 각막 부종 및 안구건조증과 관련성 적어

부작용 측면에서 하이드로젤 렌즈의 산소투과율이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 대비 낮아 각막 부종 발생 확률이 높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최근 진행된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하이드로젤 렌즈 매일 착용이 각막 중심부 및 주변부의 부종 발생 정도에 미치는 영향은 임상적으로 미미했다. 또한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 착용자가 하이드로젤 렌즈로 변경했을 때 각막 윤부 충혈도 매우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한편, 세균성 각막염 발생률에서는 두 종류 렌즈에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원데이 아큐브 모이스트'에 사용된 에타필콘A 재질의 경우 다른 재질의 렌즈보다 세균성 각막염 발생 확률이 낮고, 각막 침윤을 비롯한 심각한 부작용 발생 확률 또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데이 아큐브 모이스트를 착용한 570명을 대상으로 12개월간 진행한 'TEMPO study' 관찰 연구에 따르면 시판 후 조사에서 각막 침윤을 비롯한 심각한 이상 반응은 없었다. 아울러 TEMPO study 추가 분석 결과,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에서 하이드로젤 렌즈로 변경했을 때 안구건조증 개선과 더불어 전반적인 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p<0.0001).  해당 연구 중 원데이 아큐브 모이스트ⓡ는 18세 미만의 피험자 1년 관찰 연구 결과에서 부작용이 없었던 유일한 콘택트렌즈였다.

종합적으로 하이드로젤 렌즈와 실리콘 하이드로젤 렌즈는 우열을 단정 짓기 어렵다. 콘택트렌즈는 본인의 눈 상태와 각 제품의 특장점을 고려해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사용자의 눈에 잘 맞는 렌즈가 좋은 렌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하이드로젤 렌즈의 경우 편안한 착용감이 장점인 만큼 콘택트렌즈를 처음 접해보는 입문자에게 추천할 만한 강점으로 꼽힐 수 있다.

 

 /정리 한국존슨앤드존슨 이영완 교육팀장

 

<학술 글로벌 자문단>

데이비드 루스턴 (Dav id Ruston) : 존슨앤드존슨 비젼 글로벌 교육팀 총괄
노엘 브레넌 (Noel Brennan) : 존슨앤드존슨 비젼 근시 억제 플랫폼 글로벌 총괄 및 임상 리서치 펠로우
로빈 차머스 (Robin Chalmers) : 안과학 임상테스트 전문 컨설턴트

 


Ref. - 한국소비자원 보도자료. 콘택트렌즈 오사용·부주의로 인한 부작용 주의- 적합한 렌즈 선택과 올바른 착용・위생관리가 중요. Available at:<https://www.ciss.go.kr/www/selectBbsNttPrductView.do?key=111&pKnd=PRDUCT02&bKnd=ndata&nttNo=35266&searchCnd=SJ&searchKrwd=%EC%BD%98%ED%83%9D%ED%8A%B8%EB%A0%8C%EC%A6%88&pageIndex=1&pageUnit=10> Accessed on 16 February 2021
- Robin Chalmers, Noel Brennan and David Ruston. Contact Lenses: 2020 and beyond. Available at:< https://www.opticianonline.net/features/contact-lenses-2020-and-beyond> Accessed on 16 February 2021
- 이군자, 문미영, 변장원, 임현성. 매일착용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나타난 증상 변화. J Korean Oph Opt 2017; 12(4):43-54
- Guillon M. Ar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more comfortable than hydrogel contact lenses? Eye & contact lens 2013;39:86-92
- Maissa C, Guillon M, Garofalo RJ. Contact lens-induced circumlimbal staining in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worn on a daily wear basis. Eye & contact lens 2012;38:16-26.
- Lazon de la Jara P, Diec J, Naduvilath T, et al. Measuring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es against Nonwearer Benchmarks.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2018;95:1088-95
- Szczotka-Flynn LB, Debanne S, Benetz BA, et al. Daily Wear Contact Lenses Manufactured in Etafilcon A Are Noninferior to Two Silicone Hydrogel Lens Types With Respect to Hypoxic Stress. Eye & contact lens 2018;44:190-9
- Moezzi AM, Varikooty J, Schulze M, et al. Corneal Swelling with Cosmetic etafilcon A Lenses versus No Lens Wear.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2016;93:619-28
- Moezzi AM, Varikooty J, Luensmann D, et al. The short-term physiological impact of switching reusable silicone hydrogel wearers into a hydrogel daily disposable multifocal. Clinical ophthalmology (Auckland, NZ) 2019;13:1193-202
- Schein OD, McNally JJ, Katz J, et al. The incidence of microbial keratitis among wearers of a 30-day silicone hydrogel extended-wear contact lens. Ophthalmology 2005;112:2172-9.
- Dart JKG, Radford CF, Minassian D, et al. Risk Factors for Microbial Keratitis with Contemporary Contact Lenses. A Case-Control Study. Ophthalmology 2008;115:1647-54.e3.
- Stapleton F, Keay L, Edwards K, et al. The Incidence of Contact Lens-Related Microbial Keratitis in Australia. Ophthalmology 2008;115:1655-62.
- Stapleton F, Keay L, Edwards K, et al. The epidemiology of microbial keratitis with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Eye & contact lens 2013;39:79-85.
- Stapleton F, Naduvilath T, Keay L, et al. Risk factors and causative organisms in microbial keratitis in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wear. PloS one 2017;12:e0181343.
- Chalmers RL, Hickson-Curran SB, Keay L, et al. Rates of adverse events with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daily disposable lenses in a large postmarket surveillance registry: The TEMPO Registry.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5;56:654-63.
- Diec J, Papas E, Naduvilath T, et al. Combined effect of comfort and adverse events on contact lens performance.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2013;90:674-81
- Chalmers RL, Hickson-Curran SB, Keay L, et al. Rates of adverse events with hydrogel and silicone hydrogel daily disposable lenses in a large postmarket surveillance registry: The TEMPO Registry.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2015;56:654-63.
- Chalmers RL, Keay L, Hickson-Curran SB, et al. Cutoff score and responsiveness of the 8-item Contact Lens Dry Eye Questionnaire (CLDEQ-8) in a Large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registry. Contact lens & anterior eye 2016;39:342-52.
- Chalmers RL, Hickson-Curran SB, Keay L et al. Adverse events and retention of children and teens in a large daily disposable contact lens registry. Paper presented at the Netherlands Contact Lens Congress; March 13-14 2016; Veldhoven, Netherlands. www.clinicaltrials.gov is a website maintained by the NIH. Based on the review date of July 15, 2019 of all completed soft contact lens (involving under 18 years of age) studies with results po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