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터그라디언트 기술로 안정적인 눈물막, 건조감 감소 효과

렌즈표면 함수율 80% 이상으로 구현 156DK/T로 산소부족 안질환 개선도

2021-05-27     노민희 기자
근시용 대용량
근시용, 멀티포컬

 

-함수율 : 렌즈 속 33%/ 렌즈표면 80% 이상
-산소투과율 : 156DK/T
-베이스커브 : 8.5
-직경 : 14.1
-모듈러스 : 렌즈 속-0.7/ 렌즈표면 0.025~0.01

 

한국알콘 '데일리스 토탈 원'은 안경사들과 소비자들 사이에서 일명 '워터렌즈'로 더 잘 알려진 제품이다. 출시 전부터 많은 안경사들의 기대감을 불러일으켰으며 2015년에 출시된 이후 현재까지 프리미엄 렌즈 시장을 이끌고 있기도 하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미세먼지.황사 등 환경적인 이슈로 인해 눈의 건조감이나 이물질 침착 등으로 불편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다. 일상화된 마스크 착용은 물론 콘택트렌즈 착용감 개선을 위해 안정적인 눈물막 유지가 중요하다. 눈물막은 선명한 시력과 편안한 착용감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눈물막이 불안정한 경우 시각적인 불편함은 물론, 표면 마찰력이 높아져 순목 운동시 불편함을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에 따라 한국알콘은 눈물막에 집중하고 있으며 연구 끝에 탄생한 렌즈가 '데일리스 토탈 원'이다. 

 

Water Gradient Technology : 렌즈 표면의 함수율이 80% 이상
SmarTearsⓇ Technology : phosphatidylcholine성분 눈물증발 최소화

 

워터렌즈는 Water Gradient Technology와 SmarTearsⓇ Technology 등 두 가지의 기술력을 적용해 안정적으로 눈물막을 유지시키고 건조감을 낮추고 있다. 워터그라디언트는 콘택트렌즈 제조기술 중 최초로 선보인 기술로 렌즈 표면으로 갈수록 함수율이 높아진다. 렌즈 안쪽은 33%, 렌즈 표면 함수율이 무려 80% 이상의 부드러운 친수성 재질로 이뤄진 워터그라디언트 층이 렌즈 속에서 표면으로 갈수록 특성이 자연스럽게 변하도록 돕는다. 또 각막상피, 글리코칼릭스와 유사한 브러시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표면에서 렌즈에 눈물을 결합시켜준다. 이 때문에 하루종일 수분쿠션이 눈에 닿아 촉촉한 착용감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눈물막 지질층의 안정을 돕기 위해 눈물 내 자연 성분인 퍼스퍼릴콜린(phosphatidylcholine.PC) 성분이 렌즈 속에서부터 방출돼 렌즈를 착용함으로써 증발하는 눈물을 최소화하고 있다. 워터렌즈는 렌즈 착용 중 오후에 느껴지는 건조감으로 불편하거나 촉촉한 첫 착용감을 원하는 고객들에게 적극 추천할 수 있다. 156DK/T 산소투과율은 산소부족으로 인한 안질환도 대폭 개선될 수 있다. 

한국알콘 마케팅 관계자는 "제품의 뛰어난 품질과 안경사의 전문적인 상담이 더해져 소비자 만족도가 높다. 워터렌즈 인기에 힘입어 2018년에 출시한 데일리스 토탈 원 멀티포컬의 경우 가깝게와 멀게 모두 선명하게 보이며 건조감 역시 대폭 감소했다. 3개의 가입도로 디테일한 처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안경사 분들이 좋은 반응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알콘은 워터렌즈 전속모델인 배우 강소라의 깨끗하고 청량한 이미지를 내세워 소비자 밀착 마케팅을 진행 중이다. 

 

 

 

※ Reference

1. Thekveli S, Qui Y, Kapoor Y, et al. Structure-property relationship of delefilcon A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 2012;35(Supp 1):e14.

2. Angelini T, Nixon R, Dunn A, et al. Viscoelasticity and mesh-size at the surface of hydrogels characterized with microheolog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3;54:E-Abstract 500.

3. Pitt W, Jack D, Zhao Y, Nelson J, Pruitt J. Loading and release of a phospholipid from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2011;88(4):502-506.

4. Greiner JV, Glonek T, Korb DR, Booth R, Leahy CD. Phospholipids in meibomian gland secretion. Ophthalmic Res. 1996;28(1):44-49.

5. Shine WE, McCulley JP. Polar lipids in human meibomian gland secretions. Curr Eye Res. 2003;26(2):8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