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눈 건강 주의보, 안구건조증에 피해야 할 음식은?

2021-10-07     장은지 기자
픽사베이

장시간 디지털 화면을 보는 환경에 노출된 현대인에게 안구건조증은 만성질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듯 안구건조증은 비교적 대중적인 질환이라 가벼이 여기고 자칫 방치할 수 있다. 그러나 안구의 윤활제와 같은 눈물 부족이 심각해지면 안구가 쉽게 손상돼 다양한 안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안구건조증을 단번에 완치할 극약 처방은 없다. 안구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최선이다.

안구건조증은 건조한 환경일 수록 심해진다. 요즘 같은 환절기 날씨는 안구건조증에 치명적인 조건. 평소 실내에서 시간을 많이 보내는 편이라면 마른 수건이나 가습기 등을 사용해 주변 환경을 건조하지 않게 하고, 잦은 환기로 실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장시간 디지털 화면을 보는 습관을 줄여야 한다. PC나 스마트폰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면 눈에 유해한 블루라이트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뿐 아니라 눈 깜빡임 횟수가 줄어 안구건조증이 악화된다. 업무로 인해 디지털 화면을 볼 수 밖에 없다면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이나 안경을 사용하고, 1시간에 5~10분씩 눈을 감거나 먼 곳을 응시하는 등 휴식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음식을 피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설탕은 칼슘과 비타민을 파괴해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는 식품이다. 또 몸 속의 수분을 배출하는 카페인과 술도 삼가하는 것이 좋다. 빨간 육류와 밀가루도 줄일 것을 권한다. 돼지고기, 소고기 등 붉은 고기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나쁜 지방이 다량 함유돼 있다. 또 밀가루의 글루텐 단백질은 알러지를 유발하며, 특히 밀가루로 만든 튀김류는 원활한 혈액순환을 방해해 안구건조증에 치명적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