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인의 안질환, ‘비문증’ 방치하면 안되는 이유는?
디지털 기기를 장시간 사용하고 불규칙적이 생활을 일삼는 현대인의 생활 습관은 눈 건강을 해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백내장, 녹내장, 황반변성 등 안구의 노화로 발병하는 고위험 안질환의 발병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안구의 퇴행으로 서서히 나타나는 안질환을 비롯해, 급성으로 나타나는 응급안질환까지, 현대인의 눈 건강은 매순간 위협받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눈 앞에 날파리가 날아다니는 것처럼 검은 점이 떠다니는 증상을 말하는 ‘비문증’은 현대인에게 비교적 흔하게 나타나는 질병이다. 지난 2017년부터 비문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의 비율은 27%나 증가했다. 그렇다면 비문증은 왜 나타나며, 그대로 방치해도 괜찮을까?
비문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부분 안구를 이루는 유리체가 변하면서 발병한다. 안구를 채우는 젤 형태의 유리체는 안구의 모양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 유리체가 특정 이유로 점도가 떨어지면서 ‘유리체 액화’가 진행되면, 뭉쳐진 콜라겐 섬유들이 망막에 상이 정상적으로 맺히는 것을 방해한다. 뭉친 섬유 조직들이 빛을 차단하면서 눈 앞에 뭔가 떠다니는 것 같은 현상이 생기는 것이다.
‘유리체 액화’는 대체로 노화로 인해 초래된다. 따라서 일상 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면 비문증을 그대로 두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노화로 인한 비문증이 아닌 기타 안질환으로 나타나는 비문증이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 비문증은 망막에 구멍이 생기는 망막열공이나 망막의 일부가 이탈하는 망막박리 같은 망막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평소에 고도근시, 당뇨병,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게 비문증 증상이 나타날 경우 망막 혈관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에는 곧장 병원에 방문해 안검진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