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경사도 'C/L 건조증 케어 가능' 소비자 어필 필요
콘택트렌즈 착용자 중 안과 찾는 이유 1위 '안구건조증' 응답 건조감 개선 위해 헤마·하이드로겔→실리콘 렌즈로 전환 권유
국내에서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소비자는 약 500만~600만명 정도로 추정된다. 렌즈미 가맹사업부 김재학 대리가 본지 캠페인을 통해 언급한 대한안과학회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체 인구수에 약 10%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숫자이며 그중 콘택트렌즈를 1년 이상 착용한 사람의 48%가 부작용을 경험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안과에 방문하는 이유에 대해 1위는 '잦은 착용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으로 나타났으며 '각막상피가 벗겨지는 각막미란', '충혈을 유발하는 알레르기', '염증 소견을 보이는 무균성 침윤'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약물이나 심할 경우 수술 등의 처치가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모두 안과에서 치료해야 하는 안질환 종류다.
그러나 안질환은 발생하기 전 전조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신생혈관이나 각막부종 등은 안경원에서 검안 및 상담을 통해 어느정도 파악이 가능하다. 안과에 가는 이유로 가장 많은 사람이 응답한 안구건조증 같은 경우도 안경원에서 충분히 개선되도록 일부 케어가 가능하다.
건조감을 호소하는 소비자라면 현재 착용하고 있는 렌즈의 재질이 무엇인지 파악해 하이드로겔이나 헤마 재질의 제품을 착용하고 있다면 실리콘 제품으로 추천이 가능하다. 실리콘 렌즈는 산소투과율과 함수율이 높은 제품이 많기 때문에 건조감,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시중에는 여러 제조사에서 다양한 브랜드의 실리콘 렌즈가 출시돼 있기 때문에 소비자와의 상담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제품을 폭넓게 추천할 수 있다.
사실 안구건조증이나 각막미란, 충혈 등의 안질환 원인을 전부 콘택트렌즈 착용 탓으로 볼 수는 없다. 시생활 습관이나 음식 등 유발될 수 있는 다양한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소비자들이 이와 같은 불편함을 호소하고 이 때문에 안과를 찾아 치료를 받고 의사가 '콘택트렌즈가 원인이니 착용 안하는 것이 좋겠다'고 소견을 남기면 결국 콘택트렌즈 중도 포기의 한 원인이 될 우려가 높다.
그렇다면 안경원에서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고객을 조금 더 전문적으로 케어할 수는 없을까.
한 콘택트렌즈 회사 교육팀 담당자에 따르면 가장 기본적이지만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는 검사와 상담'이 핵심 포인트라고 강조했다. 물론 심한 질환의 경우 당연히 안과에 방문해야 하지만 안경원에서도 소비자 시력의 일부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할 전문가라는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자신의 눈 상태를 모르고 있다가 안경사의 검사와 상담으로 안과 치료를 권유할 경우에도 안경사에 대한 신뢰감이 상승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콘택트렌즈 회사에서 안경사를 대상으로 꾸준히 교육하는 것도 최신 연구 기술과 트렌드를 파악해 소비자에게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원활한 피팅과 판매가 이뤄지도록 서포트한다는 주된 이유다.
전문적인 검안과 상담, 최상의 기술이 집약된 실리콘 콘택트렌즈 추천이 소비자를 안경원에 더 자주 발걸음하게 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