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제철 해산물 '전복', 눈에도 좋아!
'불로장생'의 비기 전복, 어디에 좋을까?
우중충한 날씨에도 뜨거운 한낮의 기온이 계속되고 있다. 더운 날씨일수록 입맛이 없고 기력이 떨어지기 쉽다. 이럴수록 영양 섭취를 통해 기력을 보하고 몸을 든든하게 하는 것이 최선이다. ‘바다의 산삼’이라 불리는 전복은 완전식품이라 할 정도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 옛말에 ‘1일(日) 1복(鰒) 하면 1월(月) 변신한다’라는 말이 있다. 하루에 전복을 한 개씩 먹으면 한 달 후 몸에 좋은 변화가 일어난다는 뜻이다.
◇ '불로장생'의 비기 전복, 어디에 좋을까?
조선시대 제주도로 발령 받은 관찰사가 한양으로 보내는 공물 중 '전복에 가장 신경을 많이 썼다'고 할 정도로 예로부터 진귀한 식재료로 여겨지던 '전복'은 청정바다에서 나는 미역과 다시마를 먹고 자라 각종 비타민과 철분, 칼슘, 단백질 등이 풍부하다.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영양이 체내에 잘 흡수되어 몸의 회복이 필요한 환자나 산모, 노약자를 위한 건강식을 만들 때도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전복에는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며 기력 회복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눈에 좋은 ▲'타우린' 역시 다량 함유돼 있어 결막염, 백내장을 예방해준다. 전복에 풍부한 타우린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도 효과적이며, 전복의 ▲'아미노산'은 간 해독을 도와 '간염'이나 '간경화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 전복에는 ▲'글리신', ▲'아르기닌' 등이 다량 함유돼 있어 노약자와 성장기 어린이에게도 그만이다.
오도독 씹히는 전복 살은 회로 먹거나 구이로 먹기에도 별미다. 전복을 먹을 때 전복 내장을 버리는 사람들이 많은데, 전복 내장에는 전복의 주식인 미역, 다시마 등 해조류의 영양이 그대로 농축돼 있어 영양을 고스란히 섭취하고 싶다면 함께 먹는 것이 좋다. 다만 전복에는 찬 성질이 있어 평소 몸이 차가운 편이라면 과다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산란기인 9~11월 경에는 전복에 독성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시기에는 가급적 익혀먹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