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가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어?
환절기에 극심해지는 '안구건조증', 개선 방법은?
늦여름에서 초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 환절기의 건조한 환경은 '안구건조증'을 유발하는 주범이다. 안구건조증의 증상인 ▲이물감이나 ▲뻑뻑함, ▲눈시림을 자주 느끼지 않더라도 요즘들어 아침에 부쩍 실눈곱이 자주 낀다면, '안구건조증'의 초기 증상이라고 볼 수 있다.
이제 야외에서는 꼭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실내에서 마스크 착용은 여전하다. 그런데 마스크가 '안구건조증'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새삼 경각심을 불러 일으킨다.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마스크가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킨다고 말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마스크 틈새로 나오는 날숨이 눈에 직접적으로 닿아 눈물을 빠르게 증발시키기 때문이다. 안구건조증은 '수분부족형'과 '증발과다형'으로 나뉘는데, 안구건조증 환자의 80% 이상이 '증발과다형'인 것으로 나타난다.
마스크를 코에 꼭 맞게 착용하지 않아 눈물이 증발 되는 것도 '증발과다형'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이밖에도 과음 및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수분 부족', 디지털 화면을 장시간 응시해 눈깜빡임 횟수가 줄어들면서 눈의 수분이 빠르게 날아가는 것 역시 이 경우에 해당한다.
◆ 환절기에 극심해지는 '안구건조증', 개선 방법은?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 치료는 안구 청결 관리에 각별히 신경 쓰고 인공눈물을 점안해 눈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더구나 '증발과다형'은 기름을 생성하는 '마이봄샘'에 문제가 생겨 발병하기 쉬우므로 마이봄샘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우리 눈의 보호막인 눈물이 유지되려면 수분층과 기름층이 균형있게 이루어져 있어야 하는데 노폐물 찌꺼기가 기름이 분비되는 마이봄샘 구멍을 막으면 우리눈에 기름층이 부족하게 되고, 이는 결국 눈물 성분의 균열을 일으키게 된다.
마이봄샘을 청결히 유지하려면 외출 후 선크림이나 눈화장 등을 깨끗하게 지우는 일상적인 습관이 동반돼야 한다. 주기적으로 마이봄샘 청소를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먼저 뜨거운 물수건으로 눈을 찜질해, 노폐물을 녹여준 뒤, 면봉을 사용해 눈꺼풀을 위아래로 밀어 기름샘을 짜주면 된다.
다만 면봉으로 힘을 과하게 줄 경우 오히려 각막을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능숙하지 않다면 온찜질만 해주어도 좋다. 40도~45도 정도의 물수건으로 눈을 10분 이내로 찜질해주면 된다. 시중에서 판매하는 미열 안대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