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햇빛에 눈부심 심하다면?
가을 햇빛에 눈부심이 심하고 눈을 뜨기 힘들다면 백내장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던 여름은 온데간데 없이 차디찬 가을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한다. 흔히 가을은 여름에 비해 자외선이 적을거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가을은 태양의 고도가 낮고 자외선을 방해하는 불순물 없이 공기가 맑아 오히려 자외선이 강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자외선 차단이라면 가장 먼저 피부를 신경 쓰겠지만, 눈도 피부 만큼 자외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눈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되면 눈에 입는 화상인 광각막염에 걸릴 수 있으며,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될 시 눈의 노화가 빨라져 백내장, 황반변성 등의 노인성 안질환이 앞당겨 찾아올 수 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노화로 인해 연화되면서 뭉친 섬유질이 시야를 방해하는 질병이다. 쉽게 말해 눈의 수정체가 혼탁해져 눈 앞이 뿌옇게 되는 것인데 주로 노화에 의해 발생하지만 자외선은 눈의 노화를 앞당기는 주범이므로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된 사람의 백내장 발병률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을 햇빛에 눈부심이 심하고 눈을 뜨기 힘들다면 백내장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백내장에 걸렸다고 모두가 인공체 삽입 수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사람마다 증상이나 진행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전문의의 진료 하에 맞는 치료 방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백내장 초기일 경우 약물치료로 진행 속도를 늦추고 정기적인 검진 통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게 된다.
가장 좋은 건 미연에 예방하는 것이다. 백내장을 예방하려면 평소 눈 건강을 해치는 습관을 삼가고 외출 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라식이나 라섹 같은 시력교정술이나 안과 수술을 받은 후라면 자외선으로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보호장구를 필히 착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