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90%가 부족한 비타민 D, 눈 건강에는?
일에 매몰돼 햇빛 보기 힘든 현대인, 비타민 D 부족 시 나타나는 결핍증은?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한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노동 시간을 자랑하는 국가에 빼놓지 않고 이름을 올린다. '힐링'이 전 세계인을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로 부상하며 몇 년 전 한국에도 '워라밸'로 일컬어지는 '일과 삶의 균형'이 중요한 가치로 떠올랐지만, 한국 사회는 여전히 일에 매몰되어 있다.
하루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이나 교내에서 보내는 한국인은 극심한 업무 스트레스와 불충분한 휴식,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한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 한국인에게서 나타나는 간질환, 심장혈관질환 등의 질환들을 예방하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는 바로 '비타민 D'다. 그런데 한국인의 90%가 이러한 비타민 D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사뭇 경각심을 일깨운다.
비타민 D는 햇빛을 통해 체내 합성된다. 바깥 활동 보다 업무에 쏟는 시간이 긴 한국인에게서 비타민 D 부족이 나타나는 까닭이다. 더구나 지금 같이 해가 짧아지는 시기는 일조량이 적은데다, 바깥 활동이 적은 바쁜 현대인의 특성상 이 같은 문제가 장기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비타민 D의 효능은 무엇이며, 비타민 D 부족 시 나타나는 결핍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자.
◇ 비타민 D에는 어떤 효능이 있을까?
2013년 미국 워싱턴의학센터 연구팀의 발표에 따르면 비타민 D는 비만과 인슐린 내성을 억제하여 비 알코올성 지방간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직접적인 발병 요인은 '술'이지만 비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하는 위험 요인은 ▲비만, ▲인슐린 내성,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이 있다. 놀랍게도 이러한 위험 인자는 모두 체내에 비타민 D가 부족했을 때 나타날 확률이 높으므로 지방간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비타민 D 섭취가 필연적이다. 비타민 D는 간 재생을 촉진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비타민 D는 '안구건조증'과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데에도 탁월하다. 비타민 D의 결핍 상태가 지속되면 안구건조증이 나타날 확률이 크며 3대 실명 질환으로 거론되는 황반변성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비타민 D는 면역 체계를 강화해 염증성 물질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데 이러한 기능이 우리 눈의 눈물층을 안정시키고 노화를 저하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밖에도 비타민 D는 뼈 건강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비타민 D의 대표적인 부족 현상으로는 구루병, 골연화증, 골다공증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고 비타민 D를 정상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 오전 10시~오후 2시 30분 사이 충분한 햇볕을 쬐고, ▲생선, ▲계란, ▲우유 등 비타민 D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바쁜 일상으로 햇볕을 쬐기 어렵다면 비타민 D 영양제를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