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C/L시장, 근시 증가로 빠르게 성장… 2025년까지 연7% 상승
올해 103억5000만달러로 추정 젊은층 일회용·미용렌즈 인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유정열·이하 코트라) 인도 첸나이 이민형 무역관은 인도 콘택트렌즈 산업은 근시 발병율 증가와 청소년들의 콘택트렌즈 사용 증가로 인해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인도 내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라고 전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세계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는 2022년 99억 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03억5000만 달러, 2030년에는 무려 154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때 침체기를 걸었던 인도 콘택트렌즈 산업은 현재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로 변모하고 있으며, 2020년 1억3890만 달러에서 2025년에는 1억9728만 달러 시장 규모에 도달해 연평균 약 7.1%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고 이 무역관은 설명했다.
인도 콘택트렌즈 시장 성장은 주로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 증가하는 미용 렌즈 수요에 의해 견인되고 있다. 게다가 일회용 제품 수입 증가와 눈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한 매력적인 색상, 색조 및 질감을 가진 콘택트렌즈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변화가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를 촉진시키고 있다.
인도 내에서는 최근 들어 더욱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모이스처씰(moisture seal tech) 기술, 초음파 백내장 수술 기술(centurion phacoemulsification),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광학 렌즈 디자인과 같은 특수한 기술 발전도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를 늘리는 데 일조하고 있다.
또한 콘택트렌즈 사용이 간편하다는 이유로 더 많은 의료인들이 콘택트렌즈를 추천하고 있는 것도 시장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 이민형 무역관은 인도 콘택트렌즈 시장 SWOT 분석을 통해 보다 체계적인 시장 변화를 예측했다. 먼저 강점으로는 근시, 원시, 난시, 노안 등은 모두 콘택트렌즈로 교정할 수 있는 시력 장애로 인도에서 근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근시와 고도 근시는 2050년까지 인도에서 4억9400만 명과 9200만 명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근시 발병율이 증가하고 굴절 이상에 대한 교정 조치로써 콘택트렌즈와 같은 안과 용품에 대한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콘택트렌즈 시장은 앞으로 몇 년 안에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10대들은 미용 렌즈처럼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변화하는 패션 트렌드에 쉽게 적응할 것이며, 이는 미래의 콘택트렌즈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어린이들의 콘택트렌즈 사용 증가는 시장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도 국민들의 변화하는 생활 방식이 콘택트렌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휴대기기와 노트북에 더 자주 더 쉽게 눈이 노출된다는 점도 콘택트렌즈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반면 약점으로는 양질의 저렴한 콘택트렌즈 제품 부족을 꼽았다. 이러한 문제의 주요 원인은 시장이 매우 세분화되고 검증되지 않은 저가 플레이어들이 만연해 있기 때문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한다. 또한 심미적인 이유로 고급 안경테를 착용하는 것은 하나의 패션이 됐고 이러한 경향은 인도, 중국, 브라질과 같은 신흥 국가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인도도 예외가 아니다.
고급 안경테의 사용 증가는 콘택트렌즈 시장의 수익 창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지만, 콘택트렌즈 사용에 대한 인식 부족, 시력 교정을 위한 안과 시술에 대한 선호도 증가 및 제품 복제 등의 문제가 시장 확장을 제한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회 측면에서는 소비자들이 고품질의 프리미엄 상품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하려는 의지가 강해지고 있으며, 이는 인도의 시장이 성숙해지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이 무역관은 설명했다. 다양한 기능뿐만 아니라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콘택트렌즈 제품도 디자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인도에 세계 유명 브랜드가 많이 유입되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업계 또한 패션 액세서리로서 수요 증가에 맞춰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 델리, 뭄바이, 벵갈루루 등 대도시 소비자들은 브랜드 제품을 원하는 반면에 소도시들은 여전히 검증되지 않은 소매업체에만 의존하고 있다.
위협 요소로는 콘택트렌즈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 시장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했다. 렌즈 표면에 단백질이나 지질 물질이 축적돼 발생하는 미생물 감염은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경험하는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다. 이러한 부작용은 많은 고통과 불편함을 유발하는 심각한 시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한 위생 상태, 일관성 없는 세척 방법 및 장기간 사용은 감염의 위험을 증가 시켜 수요를 낮추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이 무역관은 설명했다.
인도 콘택트렌즈 제품은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데, 이는 인도의 국내 제조 역량이 부족하고 제조 기술이 선진화돼 있지 않은점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인도에서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지만 콘택트렌즈 수출 시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세계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아 인도 기업들이 수출하는 것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인도 타밀나두 안과협회(Tamil Nadu Ophthalmic Association) 간사인 라재새커 교수(Dr. Rajasekar)에 따르면 “최근 젊은이들이 노년층보다 콘택트렌즈를 더 선호하는데, 아마도 다양한 예쁜 콘택트렌즈가 출시되기 때문일 것”이라고 이민형 무역관과의 인터뷰를 통해 전했다.
이 무역관은 인도 콘택트렌즈 시장은 25년까지 연평균 7%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는 등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미용, 패션 액세서리 등으로 진화하면서 특히 젊은 세대들을 위한 공략을 노려 볼 수 있다. 유통 채널로는 점점 많은 고객들이 온라인 사이트 구매 활동 한다는 점에 착안해 이커머스 사이트 등 온라인 판매에 집중하면서, 동시에 지방 소도시들을 대상으로 하는 틈새 시장 공략으로 현지 소매상들과 협력하여 유통 채널 다변화를 가져가는 것도 좋은 전략이 될 것이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