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대 박경희 교수, 베트남 근시관리 컨퍼런스서 한국 대표로 참석
지난 8월 22일부터 24일까지 베트남 하노이에서 제3회 베트남 컨퍼런스 및 제5회 세계근시관리 컨퍼런스(GLOBAL ORTHOKERATOLOGY&MYOPIA CONTROL CONFERENCE·이하 GOMCC)가 개최된 가운데, 신한대학교 박경희 교수(IACLE Korea National Coordinator, phD, FIACLE)가 GOMCC 초청으로 같은 달 23일 ‘아시아 근시 관리 포럼’ 한국 대표 패널 리스트로 참여해 한국의 근시 관리 소식을 전했다.
참석한 아시아 국가는 중국, 인도, 필리핀, 홍콩, 대만,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캄보디아로 나라별 근시 관리 체계, 근시 관리 필요성, 나라별 지원 상황 등 총 7가지 근시 관련 질문으로 워크숍이 진행됐다.
패널리스트로 참석한 박경희 교수는 한국 검안사 제도의 한계로 안경원에서 OK렌즈 피팅은 불가하지만 최근 침습성 방법으로 근시억제기능을 인정받은 마이오스마트, 스텔리스트의 관심 증가를 소개했으며, 전보다 더 다양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젊은 부모들 사이에서 근시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설명했다.
한편 컨퍼런스에서 필리핀은 최근 장기간 노력을 통해 아시아 최초로 15세 미만 어린이 및 청소년이 굴절이상으로 안경 착용이 필요한 경우 의료 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국가적 지원책이 마련됐다. 추후 전 연령층으로 의료보험 혜택 확대를 추진 중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국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박경희 교수는 같은달 24일 국제콘택트렌즈교육자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tact Lens Educators·이하 IACLE) 워크숍에도 참석했다. 아시아 지역담당인 Dr. Tan 교수(싱가포르)의 IACLE 온라인 플랫폼 소개, 교육 담당 총괄매니저 Ms. Lakshmi(인도)의 Ortho-K 피팅 임상사례, Fakhruddin 교수(SEGI University, 말레이시아)의 Ortho-K 피팅 사례를 통한 근시 관리 사례 발표 등이 진행됐다.
2016년 이후 IACLE 한국 담당인 신한대학교 박경희 교수는 “한국의 안경사는 현재 검안사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제도적 한계로 인해 타 아시아의 경우 3~4년제 검안대학 졸업 후 OK 렌즈 피팅이 가능하고 일부 나라는 아트로핀 처방도 가능한 현실과 비교하였을 때 아쉬운 부분이 많다”며 “지금까지 근시 관리는 안과의사의 OK렌즈 피팅, 아트로핀 처방에 의존했다면 비침습성 방법인 안경렌즈로 인한 관리 방법에 대한 학술적 연구, 논문이 충분하므로 효과적인 근시관리가 안경렌즈로 가능하다. 따라서 앞으로 안경업계의 발전을 위해서는 소모적인 가격 경쟁을 지양하고 안경사의 지위 향상과 부가가치가 높은 안경렌즈 판매 마케팅을 펼치기를 기대한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경기도 의정부에 위치한 신한대학교 안경광학과는 4년제 학제로 석사 및 박사 대학원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