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 기능 개선에 대한 비전 테라피의 효능 Ⅱ

2010-07-05     fneyefocus

주시, 전정성-시운동성 안구 운동, 추적 운동 등
안구운동시스템내 다양한 기능장애 요소 존재

피드백, 보강 훈련, 자극법, 추적-고정활동 등
시각스캔·주의력 개선 전문 테크닉 '자리매김'



*안구 운동 기능들과 안구 운동장애란 무엇인가? ‘추적 및 눈의 움직임’

선명한 시각은 보고 있는 상이 정확하게 중심와(fovea)에 맞추어져 있고 정확한 안구 움직임이 이러한 상태를 유지할 때 가능하다. 안구운동 또는 눈운동 시스템에는 주시, 전정성 안구운동, 시운동성 안구운동 optokinetic movements, 안구단속운동, 그리고 추적 운동이 포함된다(40).

각 구성 요소에는 그만의 독특한 신경해부학적 기질 및 신경 생리학의 기능(41)이 있다. 때때로 여러 구성 요소들이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로써, 추적 안구 운동계가 다른 체계들과 상호 작용을 하여 안구 안정화 또는 위치 유지 시스템을 an example of this occurs when the pursuit system interacts with other systems to create the ocular stabilization or position maintenance system (42) 형성함으로 눈을 고정시킨다.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율동적인 안구 운동인 안진은(nystagmus) 이미지들을 고정시키는(위치 유지)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요소들 때문에 발생하며 안구운동의(43) 다양한 임상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중심 시각 고정 능력과 중심와 영역(foveal area)에서의 안구 위치의 상실은 병적인 안진의(nystagmus) 한 가지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중심 시각 고정 기능이 손상된 사람들의 또 다른 부류는 약시를 가진 환자들이다. 중심와에 이미지를 안정감 있게 고정시키지 못하는 증상은 시력 저하를 동반하며 굴절부등약시와 사시성 약시를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난다. 이와 관련된 특징들은 광범위하게(44-46) 설명되어 있다. 비정상적인 안구단속 운동과 안구추적운동은 사시성 약시를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며, 이는 위치 유지를(47-49) 위한 단안 운동 컨트롤 센터에 나타나는 기능 장애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안진 또는 안구 운동이 있을 경우, 읽기를 하는 동안 주시멈춤 , 역행운동, 그리고 진행에 대한 임상적 판별이 매우 어려워진다.

불규칙한 눈 움직임이 효율적인 시각 정보 처리를(50,51) 방해한다.

읽는 동안의 안구 운동 시스템의 기능 또는 작용은 눈의 물리적인 움직임보다 더 많은 것들이 포함된다. 이러한 기능적인 요소에는 안구 운동을 주의, 기억, 그리고 인식된 시각 정보의 사용과 같은 높은 인지 프로세스와 통합하는 것이 포함된다.

임상적 증거와 연구들은 읽기, 그리고 읽기와는 상관없는 시각 정보 처리와 관련된 과제들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많은 아이와 성인들의 안구 운동에(53-66) 이상이 있음을 강력히 시사한다.

많은 연구들은(67-69) 반사적인 시각 정보 처리 스타일을 가진 아이들과 자극에 의한 정보 처리 스타일을 가진 아이들 사이에 안구운동 (눈 움직임) 패턴에 있어서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주의집중 어려움을 겪고 있고 과잉 행동을 나타내는 아이들과 어른들은 시각 정보 처리에 방해되는 비효율적인 눈 움직임 패턴을 가지고 있다는 증거가 있다(70-74).

요약해서 말하자면, 안구운동 시스템에는 다양한 기능 장애들이 있다. 그들의 임상 증상은 대개 기능적인 시각적 퍼포먼스와 효율적인 정보 처리에 생긴 문제들과 관련이 있다.

*안구 운동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가?

비전테라피에(75-77) 이어 시행된 개별 사례 연구들은 안구 운동 제어 및 효율성에서의 개선이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wold 등은(78) heinsen-schrock performance scale(79)로 안구 운동 능력을 평가받은 100명의 비전테라피 환자들에게 실행한 시험에 대해 보고하였다. 이것은 10점 짜리 관찰 척도로서, 단속적 안구 운동과 추적 안구 운동을 점수 매기기 위한 것이다. 어린이의 6 %만이 테라피 전에 안구 운동 부분을 통과하였다. 테라피 후에 다시 시행된 검사에서는 96%가 통과할 수 있었다.

히스는 (80) 독서에 미치는 안구 운동 능력의 영향을 논의했다.

3 학년과 4학년 학생들 중 메트로폴리탄 리딩 테스트에서 40점을 받고 퍼듀 지각-운동 능력 검사의 안구 추적 소검사에서 불합격한 60명은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뉘었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안구 추적 능력이 크게 개선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후지 모토 등은(81) 고정 관련 단속적 안구 운동 트레이닝을 위한 다양한 테크닉들을 비교하였다.

이 비교 임상 시험에서는 치료를 받은 집단이 치료를 받지 않은 집단에 비해 안구 운동의 속도와 정확성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안구 운동 추적의 대조 연구는 버스비에(82) 의해 특수 교육 학생들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일부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은 움직이는 표적에 눈을 고정시킬 수 있는 능력에 따라 평가되었다.

평가 절차는 평가자간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결과는 실험집단의 안구 추적 운동 능력이 크게 개선되었으며 테라피가 끝나고 3개월 후 재검사에서 치료 효과가 지속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punnett과 steinhauer는(83) 피드백과 보강이 있고 없는 것이 안구 운동 트레이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대조연구를 진행하였다. 트레이닝 후, 읽기 장애가 있는 아이들의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의 안구 운동 능력에서 매우 뚜렷한 대조가 있었다.

안구운동 기능 훈련 보강이 그 능력들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안구 운동 체계를 훈련하는데 보강의 사용이 그 능력들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행동 수정 및 보강을(84, 85) 이용한 연구에서도 안구 운동이 훈련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비슷한 결과들이 있었다.

수 년간 다양한 연구들은 중앙 고정과 눈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안구진탕 환자들의 안구운동 능력 수정 및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고하였다.

안구 위치 및 안정성과 관련된 바이오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잔상과(86,87) emergent textual contour 트레이닝을 사용하는 것은 고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다.

사시교정술 뿐만 아니라 구두로 제공하는 피드백 테크닉은 안구진탕 환자들의 증세를 감소하는데 일조하였다(88-90).

최근에는 안구진탕을 제어하는데 있어서 안구 운동 청각 바이오피드백의 적용이 긍정적인 결과를 보이고 있다. ciufredda 등은(91) 선천성 안진 환자들의 안구 움직임의 속도와 범위가 상당히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 시각이 향상되었으며 긍정적인 외적 그리고 심리적 변화 역시 보고되었다. abadi 등은(92) 청각 바이오피드백 트레이닝 후 안구진탕의 감소와 대비 감도의 향상을 보고하였다. 청각 바이도피드백은 안진증 뿐만 아니라 응시할 때 안구 운동의 범위를 확장하는 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93).

약시 환자들이 한눈주시를 시도할 때 크고 불안정한 안구 운동이 일어난다는 증거가 있다. 몇몇의 연구들은 약시를 성공적으로 치료하여 시력을 개선하고 안구운동신경을 조절할 수 있었음을 보고하였다(95-98) 수 년간 피동적인 가림치료가 관례적이며 비교적 성공적인 방법이었다(99-111).

그러나 가림치료에 반응을 하지 않거나 못하는 사람들이 있다. 가림치료만 하는 것 보다 그에 더해 적극적인 비전테라피를 같이 할 때에 더 효과적이라는 증거가 있다(112).

약시시능교정은(113,114) 환자들이 자신들의 고정 위치와 응시 방향에 대한 비주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능동적인 비전테라피다. 이러한 절차들은 고정 문제를 바로 잡음으로 환자의 시력을 개선하도록 고안되었다. 약시시능교정은 가림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들의 중심외주시를 치료하는데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115-118).

약시를 위한 비전테라피는 가림치료, 약시시능교정술, 그리고 잔상과 내시현상을(45,79) 사용하는 시각 운동 공간적 위치파악과 관련된 피드백 테크닉을 포함한 다양한 절차들을 결합하여 매우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19-124).

연령과 그것이 약시치료의 효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의문은 수많은 연구들과 평론들에 의해 다루어진바 있다. 그러한 연구들과 평론들에서는 성인들도 안구운동과 시각 기능들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125). 증거들은 다양한 연령대의 환자들이 약시와 안구 운동 관련 요소들을 가림치료와 적극적인 비전테라피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연구들은 비능률적이고 부적절한 시각 정보 처리 전략과 시각적 주의력 패턴을 바꾸고 개선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대부분은 향상된 안구 움직임과 함께 나타났다(126-138).

여러 해 동안 자극법, 추적과 고정 활동들, 그리고 눈-손 협응 테크닉과 같은 어른들과 아이들의 약한 시각 스캔과 주의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테크닉들이 설명되어 왔고 전문적으로 사용되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