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ual Display Unit사용을 위한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의 성능 평가
2010-08-16 이재령
시각적 문제점(a 질문)과 심리적 안녕(b 질문)에서 1차 측정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시각적으로 불편함을 갖는 사람이 심리적으로 불안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r=0.673 p<0.0001).
5. 만족도
중근용 누진 가입도 안경의 사용에 따른 만족도를 10점 척도(매우 만족스럽다: 10, 너무 불편해서 못 쓰겠다: 1)로 측정한 결과, 만족도가 7.07±1.54점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굴절이상도, 가입도의 차이, 컴퓨터를 보는시간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동등하게 만족스럽다는 결과가 나왔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나이가 많은 사람이 나이가 적은 사람보다 만족도가 높았고, 정시 및 원시군의 만족도보다 근시군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근시군에서는 -3.00d 미만보다 -3.00d 이상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가입도가 낮은 사람보다 가입도가 높은 사람이 만족도가 높았고, 컴퓨터 작업 시간이 긴 사람보다 짧게 하는 사람에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노안 조절력 보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평소 노안 교정을 하지 않은 군과 노안 교정을 하고 있는 군 사이에서 중근용 누진 안경의 만족도 차이는 없었다(t=0.699, p=0.487). 대상자 가운데 14명(25.45%)은 컴퓨터를 볼 때마다 중근용 누진가입도안경을 사용했고 41명(74.55%)은 가끔 사용했다고 대답을 했다. 또한 48명(87.27%)은 실험이 끝난 후에도 안경을 계속 사용하겠다고 대답했다.
ⅳ.고찰
컴퓨터를 이용한 사무 환경의 증가와 인터넷의 사용 빈도와 이용시간이 늘어나면서 컴퓨터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상 증상인 컴퓨터작업 관련 시각증후군(cvs)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 등은 vdt 작업자에서 2시간 이내에 눈과 관련된 증상 등의 자각증상이 나타나는 비율은 32.0%, 4시간 이내 43.0%, 6시간 이내 11.0%, 6시간 이상에서 14.0%이며, 작업 후 4시간 이내에 4명 가운데 3명(75.0%) 정도에서 자각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
vdu 작업은 비교적 한정된 공간에서 무리한 자세가 강요되는 것 외에도 작업 환경이나 작업 방법 등이 종래의 작업 조건과 다르기 때문에 작업의 부담이나 스트레스의 형태 또한 일반 작업과 다르다. 조 등과 김 등은 모니터의 높이가 시선보다 낮으면 안정피로 증상이 감소하고, 이 등은 목의 각도가 커질수록 근골격계의 증상이 심해진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문등과 박 등은 키보드 위주로 작업하는 사람은 근골격계의 자각증상이 심하고, 마우스를 많이 사용하는 작업자는 시각계와 관련된 증상이 심하다고 보고하였다.
평소 vdu 작업을 하지 않는 정상인에게 vdu 작업을 90분간 실시한 결과 조절 긴장 시간과 조절 근점의 연장 및 조절력의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30분 휴식 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고 보고하였다.
vdt 작업을 할 때 작업 시간과 휴식 시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조절자극에 대한 조절반응의 비율, 조절근점, 원점 및 조절력을 금요일과 월요일에 각가 측정하였을 때, 조절력만 금요일에 비해서 월요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것은 vdt 작업자가 2일간의 휴식으로 조절력을 회복하였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vdt 작업의 연속 시간에 대한 연구에서 30분 작업 후 5분을 휴식하는 경우, 2시간 연속 작업이나 1시간 작업 후 10분 휴식하는 것에 비해서 근점거리 및 피로와 자각증상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컴퓨터 작업시간은 시각적인 문제(r=-0.354, p=0.008) 및 심리적 안녕(r=-0.381,p=0.004)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노안은 근거리를 볼 때 지속적인 조절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는데, 조절력이 거의 없거나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근거리 작업을 할 때 불편을 느낀다. 노안과 노안이 아닌 사람을 대상으로 나이, 조절력 및 원용 처방에 따른 근거리 시력을 기초로 교정안경을 처방하고, 컴퓨터 작업 거리에 대한여러 가지 항목을 평가했을 때, 노안 그룹은 모든 평가에서 유사한 결과를보였으나 노안이 아닌 경우 개인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노안인 경우 나이가 많아질수록 심리적인 부담감 및 불안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초기 노안일수록 늙었다는 심리적인 부담감과 불안감이 심하고, 어느 정도 노안 상태에 익숙해지면 심리적으로 안정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노안의 일반적인 교정 방법은 근용 단초점 안경, 이중초점 안경 및 누진가입도 안경을 착용하는 것이지만 각각 장단점이 있다. 근용 단초점 안경은 적응이 빠르고 시야가 넓지만 명시역이 짧아서 불편하고, 이중초점 안경은 상의 도약과 명시역의 단절로 불편하며, 누진 가입도 렌즈는 단초점이나 이중 초점에 비해 모든 거리에서 자연스럽고 연속적인 시야를 제공하면서 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 사용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중간거리나 근거리 시야의 폭이 좁아 책상에서 작업하거나 사무를 처리할 때 다소 불편하다.
누진 가입도 렌즈는 노안인 사람이 조절력의 감퇴로 인해서 근업이 곤란할 경우 매의 렌즈로 1 명시역을 단절시키지 않으면서 원방시, 중간시 및 근방시가 가능하도록 설계한 노안 교정용 렌즈이다. 원래 노안은 단초점 구면렌즈로 교정하였으나, franklin이 이중초점 렌즈를 발명한 후 여러 가지 형태와 기능을 가진 이중초점 렌즈와 삼중초점 렌즈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렌즈는 명시역의 단절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주시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누진 가입도 렌즈는 프랑스의 essilor사가 세계 최초로 varilux라는 상표로 상용화시켰다. 누진 가입도 렌즈는 원용부, 근용부 및 중간부(누진대)와 렌즈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수차부(비점수차와 왜곡수차)로 구성되어 있다. 원용부와 근용부 사이에 경계가 없고 아래쪽으로 내려가면서 굴절력(가입도)이 증가하여 중간시(50∼100cm)를 할 수 있는 누진대가 있다. 누진 가입도 렌즈와 이중초점 렌즈의 근용부는 25∼30도 정도 아래로 내려다 본 각도에서 40cm 거리의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곳에 위치하도록 제조된다.
horgen 등은 최근 연구에서 vdu 작업을 하는 노안인 사람이 중근용 누진가입도 안경을 착용했을 때 자세로 인한 부담감이 증가하지 않으며, 중근용 누진 가입도 안경이 vdu 작업에 대한 시각적 요구가 서로 다른 사람에게 시각적으로 가장 좋은 교정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는 군에서 시각적인 불편함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누진 가입도 렌즈는 중간거리를 누진대로 보아야 하는데, 누진대의 폭이 좁고 선명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으나,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는 이러한 단점을 제거시켰기 때문에 다른 유형의 교정 방식보다 더 편리하다고 느낀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기존의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은 이미 누진 가입도 안경에 적응되었기 때문에 중근용 , 누진 가입도 안경의 사용법을 쉽게 이해하고 신속하게 적응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중근용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고 컴퓨터 작업을 하다가 중간거리보다 먼 거리의 물체를 볼 때 흐려 보이기 때문에 착용 초기에 불편을 느낄 수 있으며, 실무에서 정확한 상담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시력의 질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lee 등은 시력은 주변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신체적, 사회적 활동에 영향을 주고, 감정적인 안녕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감각으로, 시력의 감소는 개인의 기능 상태의 저하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ware 등은 좋지 않은 기능 상태나 삶의 질의 저하는 흐린 시력과 관련된다고 보고하였다. 임 등은 시력과 삶의 질은 유의한 관계가 있고, 저하된 시력이 대상자의 기능 상태나 안녕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중근용 누진가입도 렌즈의 임상성능을 설문으로만 평가하였고, 작업 환경의 요구에 따라 다른 종류의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를 사용하지 못하고 가입도에 따라 두 종류만 사용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ⅴ.결론
노안 교정이 필요한 사람이 컴퓨터작업을 할 때 느끼는 컴퓨터 시력 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을 측정하기 위한 2개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중근용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기 전과 후에 비교 분석한 결과, 컴퓨터 작업을 할 때 전반적인 시기능 및 눈의 불편함과 관련되는 시각적 문제(vision problem) 및 심리적인 위축 및 부담과 관련되는 심리적 안녕(psychological well-being)이 나이, 가입도, 굴절이상도 및 컴퓨터 작업 시간에 관계없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 문제를 평가하는 질문에서 시각적인 편안함은 1차 질문에서3.69±0.65, 2차 질문에서 4.50±0.91로 0.54±0.87이 증가되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9.23, p=0.00). 심리적 안녕을 평가하는 질문에서 심리적인 안정감은 1차 질문에서 3.04±0.65, 2차 질문에서는 3.74±0.98로 0.70±0.76이 증가되었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6.83 p=0.00). 따라서 노안교정이 필요한 사람에 대하여 컴퓨터 사용과 관련된 cvs의 관리 방법으로 중근용 누진 가입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노안 교정이 요구되는 사람은 시각적으로 불편함이 증가하면 심리적으로도 불안감이 더 심해지며, 시각적인 불편함은 컴퓨터 작업시간의 영향이 크고 심리적인 불안감은 오히려 노안이 시작되는 시기에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안의 시력 교정 방법 중에서 누진 가입도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이 다른 방법으로 교정된 사람보다 불편을 덜 느끼고, 중근용 가입도 렌즈에 대한 만족도도 더 높았다.
국내에서 컴퓨터 보급률과 사용률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cvs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고령화 사회로 노안 인구가 늘어나는 상황에서 노안의 시력관리와 관련하여 다양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