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결막 염색·유두 변화없어

2010-09-06     이재령












3) 타각증상의 변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으로 나타나는 타각적 증상에 대해서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기 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1주일 및 1개월 후에 각각 검사하였다. 구결막, 윤부, 각막을 4개 부위(상측, 하측, 코쪽 및 귀쪽)로 나누고 각 부위별로 충혈과 혈관신생의 정도를 검사한 결과 구결막 충혈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1주일 및 1개월 후에 모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f=8.14, p=0.000), 윤부 충혈도 1주일 및 1개월 후에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f=12.13, p=0.000). 그러나 혈관신생은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각막 염색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1주일 및 1개월 후에 모두 통계학적으로 증가하여(f=12.66, p=0.000)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중 각막염색이 없었던 착용자에서 나타난 경우가 52%, 각막염색이 전보다 증가한 경우가 1.6%, 각막염색이 감소한 경우는 8.7%, 차이가 없는 경우가 37.7%로 나타났다.

각막염색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모듈러스 또는 관리용액의 polyhexanide 성분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과 반응하여 나타난 것으로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결막 염색, 결막 유두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에 따라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일반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던 대상자들이 1개월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해 보고 느낀 전반적인 착용감을 5점 척도(0-매우 좋다, 1-좋다, 2-보통이다, 3-나쁘다, 4-매우 나쁘다)로 조사한 결과 콘택트렌즈 착용 후 시력개선에 대한 반응은 1.44±0.80점, 착용감에 대한 반응은 1.14±0.82점, 취급 용이성에 대한 반응은 1.13±0.79, 전체적인 만족도는 1.19±0.74점으로 나타났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모든 항목에서 1∼ 1.5점의 만족도를 나타내어 우수한 콘택트렌즈라고 평가되며 특히 착용감과 취급 용이성이 매우 우수한 콘택트렌즈로 평가되었다.






















































ⅳ 고 찰



1.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피팅 상태

dumbleton 등‘22’은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night & day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시킨 결과 93%의 성공률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기간 동안 콘택트렌즈를 성공적으로 착용한 경우가 95.4%로 dumbleton 등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하나의 베이스커브(8.6mm) 만 제공되는 렌즈지만 피팅 성공률이 98%로 한국 성인에서 각막 곡률반경값에 관계없이 성공적인 피팅 상태를 보일 수 있는 one-fit lens로 생각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모듈러스가 큰 실리콘 하이드로겔 재질의 렌즈에서도 단일커브로 90% 이상의 피팅 성공률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착용하던 콘택트렌즈 도수와 동일한 도수로 최대교정시력을 얻은 경우는 66.1%, 추가로 마이너스 도수가 필요한 경우가 27.4%, 추가 플러스 도수가 필요한 경우는 6.5%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피팅할 때에는 최대교정시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덧댐굴절검사(over-refraction)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리콘 하이로겔렌즈 피팅 시 착용하던 소프트렌즈 도수에 추가 도수가 필요한 원인은 렌즈 재질의 모듈러스에 의한 영향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구면수차가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제거되었기 때문으로 추측되나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눈물막의 변화

stapleton 등‘23’과 santodomingo-rubido 등‘24’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비침입성눈물막파괴시간(nitbut)와 눈물띠높이(tmh)를 측정한 결과 눈물막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고 이 결과는 일반 소프트렌즈 착용자와 유사하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 prt와 but는 소프트렌즈 착용 시보다 감소하였고 쉬르머 검사값은 약간 증가하여 gp 렌즈 착용자의 눈물막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착용하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모듈러스에 따라 결과가 다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자각적 증상의 변화

o2optix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1개월 동안 착용한 결과 착용자들은 대부분 착용감이 좋다는 반응을 보였고, 불편감, 건조감, 충혈의 증상은 전에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했을 때보다 감소하여 1주일 후부터 증상이 뚜렷이 줄어들었고 1개월 후에는 현저히 감소했다고 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 중 나타나는 건조감은 소프트렌즈 착용자에서 종종 나타나는 증상이며 가장 일반적인 증상으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20∼50%에서 건조감과 충혈을 호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경우에도 렌즈를 계속착용 스케쥴로 착용한 경우 건조감이 주 증상으로 나타났다고 보고되었으나, long 및 mcnally는 아시아 5개 지역의 소프트콘택트렌즈 착용자에게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게 한 결과 건조감과 충혈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riley 등‘30’도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함을 느낀 사람에게 senofilcon a 재질의 렌즈를 바꿔 착용하게 한 결과 착용자의 70∼90%에서 건조감이 줄어들고 착용감이 좋아졌다고 보고하였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매일착용 스케쥴로 착용시킨 본 연구결과에서는 건조감과 충혈이 감소하여 1주일 후부터 착용자의 51%에서 건조감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착용자의 62%에서 충혈현상이 현저히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나타나는 가려움증과 열감은 렌즈 움직임, 엣지, 재질의 모듈러스와 관계되는데‘31’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1주일 후부터 착용자의 35%에서 가려움증이 감소하였고, 피곤함의 증상은 착용자의 44%에서, 눈시림 현상은 착용자의 25%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고 응답하였으나 열감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또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건조감, 충혈, 피곤함의 증상을 많이 느낀 사람은 증상을 적게 느낀 사람에 비해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후 증상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0). 따라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나타나는 건조감과 충혈현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동안 충혈, 건조감, 피곤함 등의 증상을 심하게 느끼는 사람이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할 경우에 만족도가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4. 타각적 증상의 변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높은 렌즈로 착용 시 충혈현상이 감소하였다고 보고되었다. brennan 등은 galy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한 결과 2주 후부터 콘택트렌즈 착용으로 발생한 윤부 충혈과 구결막 충혈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long 및 mcnally‘29’는 lotra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에서 렌즈 착용 1 주일 후부터 결막 충혈, 윤부 충혈 및 혈관신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했다고 하였고, riley 등’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불편함을 느낀 사람을 대상으로 senofilcon a 재질의 렌즈를 바꿔 착용하게 한 결과 윤부 충혈과 구결막 충혈 이 감소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렌즈 착용 1주일 후부터 구결막 충혈, 윤부 충혈이 뚜렷이 줄어들었고 1개월 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였다.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경우 만성적으로 저산소증 상태가 되면 혈관신생이 나타나며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매일착용 스케쥴로 착용하더라고 근시도수가 높은 경우 또는 난시용 렌즈를 착용한 경우에는 렌즈의 엣지가 두꺼워 혈관신생이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혈관신생이 감소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brennan 등 galyfilcon a 재질의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를 착용한 후 결막 염색이 증가했다고 보고하였고, amos는 phmb 성분이 포함된 관리용액을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각막염색이 발생했고 이것은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사용하는 관리용액 성분에 의해 염색이 나타났다고 하였으며, jone 등‘35’ 및 epstein‘36’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에서 관리용액에 의해 증상을 수반하지 않는 염색이 유발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polyhexanide가 포함된 관리용액을 사용도록 하였으며 1개월 사용 후 각막염색은 증가하였으나 결막염색은 변화가 없었다. 각막염색은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기간 중 증상이 없었던 착용자에서 나타난 경우가 52%, 증가한 경우가 1.6%, 감소한 경우는 8.7% 37.7%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염색에 대한 원인으로는 콘택트렌즈의 모듈러스 또는 관리용액에 의한 반응으로 추정되고 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모듈러스가 큰 콘택트렌즈로 본 연구에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의 모듈러스는 80g/mm2인 반면 과거 착용했던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모듈러스는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25∼35g/mm2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 사용한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는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보다 2.5배 정도 뻣뻣한 콘택트렌즈로 생각할 수 있고 이러한 재질의 특성이 각막염색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새로 개발된 실리콘 하이드로젤렌즈의 관리에 일반 소프트 콘택트렌즈용 관리용액을 사용한 결과 각막염색이 발생했다는 선행연구‘32, 34’에 의하면 관리용액의 특정 성분이 콘택트렌즈 표면에 결합하여 나타난 결과로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착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로 바꿔 착용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시 사용하던 관리용액을 실리콘 하이드로겔렌즈 관리에 사용할 경우 주의가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