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교정 수술 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 필요
2014-02-14 이윤형
시력교정 수술 전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 필요
해가 바뀌어도 라식·라섹 광고는 여전하다. 버스나 지하철은 물론 모바일 메신저, 인터넷 포털사이트, sns 등 어디에서든 눈에 띌 만큼 노출 빈도가 높다.
최근에는 라식·라섹이 불가능한 고도근시나 각막이 얇은 이들도 통증이나 부작용 없이 시술이 가능하다는 안내렌즈 삽입수술을 광고하거나 회유하는 안과도 등장했다.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안경 착용자들은 결국에는 라식 등의 시력교정수술을 생각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변 환경 혹은 비용적인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수술하지 못하는 것일 뿐 안경은 '수술하기 전까지 착용하는 대안 물질'이라고 생각하는 이가 적지 않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력교정수술은 안경업계에 난제로 받아드려지고 있다.
라식수술의 증가는 안경 착용에 대한 불편함 해소의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 안경을 쓰고 생활하는 사람들은 요즘같이 추운 날씨에 더욱 불편함을 느낀다. 추운 바깥에 있다가 따듯한 실내로 이동했을 때 안경에 김 서림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
뿐만 아니라 안경을 쓰고 생활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에 최근 라식 수술을 통해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시력교정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시력교정술을 받기 전에 대다수 안과에서는 시력교정을 위한 사전검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아벨리노 검사도 여기에 포함된다.
아벨리노 검사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을 진단하는 유전자 검사로 시력교정 전에 꼭 받아야 할 검사이다. 하지만 수술 전 반드시 받아야하는 검사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채 라식.라섹 수술이 진행돼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질환이 있는 환자가 라식 수술을 진행할 경우, 심각한 시력감소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라식 수술은 이 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는 각막을 자극해 병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아벨리노 검사를 통해 질환 유무를 파악해야 한다.
아벨리노각막이상증이란 각막에 단백질 성분의 하얀 점들이 차오르는 유전성 질환을 말한다. 이 하얀 점들로 인해 각막이 혼탁해지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력교정술을 계획 중에 있다면 아벨리노 검사로 시력손상 가능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아벨리노 검사는 시력교정술을 계획에 두지 않아도 눈 건강을 위해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이 있다면 시력교정수술은 물론 콘택트렌즈 사용도 좋지 않기 때문.
검사 후 각막이상증이 발견됐다면 각막의 상처가 증상의 발현과 연관된 만큼 평소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 각막에 자외선이 과다 노출되면 단백질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반드시 자외선 차단 지수가 높은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한다.
평소에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 착용이 비교적 안전하다. 콘택트렌즈는 각막의 수분을 부족하게 하며, 산소 공급을 떨어뜨려 각막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eye@fnnews.com 이윤형기자
해가 바뀌어도 라식·라섹 광고는 여전하다. 버스나 지하철은 물론 모바일 메신저, 인터넷 포털사이트, sns 등 어디에서든 눈에 띌 만큼 노출 빈도가 높다.
최근에는 라식·라섹이 불가능한 고도근시나 각막이 얇은 이들도 통증이나 부작용 없이 시술이 가능하다는 안내렌즈 삽입수술을 광고하거나 회유하는 안과도 등장했다.
뿐만 아니라 적지 않은 안경 착용자들은 결국에는 라식 등의 시력교정수술을 생각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주변 환경 혹은 비용적인 문제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수술하지 못하는 것일 뿐 안경은 '수술하기 전까지 착용하는 대안 물질'이라고 생각하는 이가 적지 않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시력교정수술은 안경업계에 난제로 받아드려지고 있다.
라식수술의 증가는 안경 착용에 대한 불편함 해소의 요인도 빼놓을 수 없다. 안경을 쓰고 생활하는 사람들은 요즘같이 추운 날씨에 더욱 불편함을 느낀다. 추운 바깥에 있다가 따듯한 실내로 이동했을 때 안경에 김 서림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
뿐만 아니라 안경을 쓰고 생활하는 것은 여러 가지로 불편한 점이 많기 때문에 최근 라식 수술을 통해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시력교정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아벨리노 각막이상증 검사'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시력교정술을 받기 전에 대다수 안과에서는 시력교정을 위한 사전검사를 시행하고 있는데 아벨리노 검사도 여기에 포함된다.
아벨리노 검사는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을 진단하는 유전자 검사로 시력교정 전에 꼭 받아야 할 검사이다. 하지만 수술 전 반드시 받아야하는 검사임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검사를 시행하지 않은 채 라식.라섹 수술이 진행돼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 질환이 있는 환자가 라식 수술을 진행할 경우, 심각한 시력감소를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라식 수술은 이 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는 각막을 자극해 병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으므로, 아벨리노 검사를 통해 질환 유무를 파악해야 한다.
아벨리노각막이상증이란 각막에 단백질 성분의 하얀 점들이 차오르는 유전성 질환을 말한다. 이 하얀 점들로 인해 각막이 혼탁해지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시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력교정술을 계획 중에 있다면 아벨리노 검사로 시력손상 가능성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아벨리노 검사는 시력교정술을 계획에 두지 않아도 눈 건강을 위해 검사를 받을 필요가 있다. 아벨리노 각막이상증이 있다면 시력교정수술은 물론 콘택트렌즈 사용도 좋지 않기 때문.
검사 후 각막이상증이 발견됐다면 각막의 상처가 증상의 발현과 연관된 만큼 평소 눈을 비비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또 각막에 자외선이 과다 노출되면 단백질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반드시 자외선 차단 지수가 높은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한다.
평소에는 콘택트렌즈보다는 안경 착용이 비교적 안전하다. 콘택트렌즈는 각막의 수분을 부족하게 하며, 산소 공급을 떨어뜨려 각막질환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eye@fnnews.com 이윤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