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자기기 등의 노출이 증가함에 따라 노인성 안구질환인 노안, 백내장, 황반변성이 20·30대에서도 발병하고 있다.
노인들에게만 생긴다고 생각했던 각종 안구질환들의 발생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에 오래 노출되어 있고 레저를 즐기는 등 자외선 노출 시간이 늘어나며 젊은 층에서도 각종 안구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
노안은 주로 40대 중반 이후에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눈은 나이가 들수록 조절력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모양체나 수정체 탄력성 저하와 수정체의 비대에 의해 발생한다. 나이가 들수록 수정체의 탄력성이 떨어지고 비대해져 가까운 것을 볼 때 수정체의 굴절력이 증가하지 않기 때문에 먼 거리는 잘 보이고 가까이에 있는 상은 흐려 보인다. 특히 조명이 어둡거나 작은 글자를 볼 때 증상이 심해지고, 보려는 대상이 멀수록 눈이 편하고 잘 보이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년안'이라는 말이 등장했다. 40대 후반 이후에 나타난다고 알려진 노안이 30대에게도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먼 것과 가까운 것을 교대로 볼 때 초점의 전환이 늦어지고, 책을 읽을 때 눈이 피로하거나 두통이 일어나면 노안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노안은 무엇보다 본인의 생활 습관에 맞는 안경렌즈를 선택해 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안경원 원장은 "노안으로 안경원에서 안경을 맞출 때는 안경 착용 용도가 무엇인지 고려해서 돋보기를 할지 누진다초점렌즈를 할지 결정하는 것이 좋다"며 "안경사들도 고객의 용도를 제대로 파악하고 고객에게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2~30대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백내장을 들 수 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회백색으로 흐려지며 시력이 떨어지게 되는 질병이다. 주로 노화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나 눈에 상처를 입거나 당뇨병을 앓아서 발병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자기기 사용량이 급증하고 레저 활동으로 인한 자외선 노출 빈도가 증가하며 젊은 층 사이에도 발병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백내장은 자연 회복이 힘들기 때문에 무엇보다 조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선글라스, 모자로 자외선을 차단하고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아 미리 예방하는 것도 필요하다.
황반은 눈의 안쪽 망막의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을 뜻한다. 시세포의 대부분이 이 곳에 모여있고 물체의 상도 황반의 중심에 맺히므로 시력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황반변성은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황반에 변성이 생기는 것으로 시력이 감소하거나 중심에 검은 점이 보이고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타난다.
주로 노인성 질환으로 분류돼 왔지만 서구식 식습관과 흡연 인구 증가로 젊은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황반변성은 콜레스테롤 수치와도 관련이 있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조절하고 금연을 하는 것이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