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글라스 구매를 위해 백화점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 있지만 고객을 응대하는 신뢰 확보가 우선으로 선글라스 또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안경사의 조언이 필수적이다.
선글라스의 계절이 돌아왔다. 이제는 선글라스가 야외 활동 시 필수품으로 자리잡으면서 자외선 차단과 패션 모두를 고려한 제품을 선택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자외선은 비타민D를 공급하는 등 우리 신체에 필요하지만 눈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 적은 양의 자외선이라도 오래 노출될 경우 눈부심, 눈물흘림 등의 통증을 호소하다 심해지면 백내장이 발생할 수 있어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안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선글라스 착용이 필수다. 그러나 선글라스를 올바르게 착용하지 않으면 오히려 눈에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착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흔히 렌즈 색이 짙으면 눈 보호에 좋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이는 무관하다. 오히려 너무 진하면 앞이 잘 안보여 사물 구별이 어렵고 동공을 지나치게 확장시켜 빛 흡수량이 증가해 눈을 피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작은 렌즈보다 눈 주변부를 감싸주는 형태의 선글라스가 눈 보호에 더 좋다.
특히 선글라스 구매 시 사용 목적에 맞춰 렌즈의 색상 및 재질 등을 올바로 파악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선글라스 구매 시 소비자들은 눈을 보호하는 본래의 역할보다는 디자인과 패션성만 우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시중에 유통되는 선글라스는 반드시 제품별 기능적 특징을 잘 알고 착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녹색은 눈의 피로도가 가장 낮아 운전할 때 적합하며 갈색은 시야를 밝게 해 준다. 회색은 자연 색 그대로를 보기에 좋고 자외선에 오래 노출되는 사람이 착용하기에 적합하며 오렌지색은 낮과 밤 모두 착용 가능하다.
선글라스를 찾는 사람들이 늘며 매년 신제품들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 소비자들은 선글라스에 대한 정확한 상식이 없어 디자인만 보고 고르는 경우가 많다. 백화점이나 마트 등 비 전문가가 판매하는 선글라스 매장은 눈 건강에 대한 조언을 해 줄 수 없어 자칫 소비자의 사용 용도와 맞지 않는 제품을 권유할 수 있다.
지난 3월 본지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40%의 소비자가 안경원에서 선글라스를 구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그러나 최근 안경원에서는 선글라스 판매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어 유명 브랜드 제품만 들여놓을 뿐 판매는 기대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들이 많아지고 있다.
특히 대한안경사협회에서 '선글라스도 안경사로부터 구입해야 한다'는 등의 캠페인을 벌이고 있지만 안경원 외에도 백화점, 마트 등에서 쉽게 구매가 가능하다는 이점 때문에 소비자들이 몰리면서 각 유통사들도 백화점 등 선글라스 판매율이 늘고 있는 업종에 주력하려는 모양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안경사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다. 안경사는 국민의 시력과 안건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선글라스 구매를 위해 안경원을 찾는 소비자에게 눈 전문가로서 어떠한 제품을 선택해야 하고 어떤 제품이 눈 건강에 좋은지 상담하고 적절한 제품을 권유해 주는 등 소비자 응대에 있어 꼼꼼할 필요가 있다.
특히 디자인을 위주로 고르는 소비자에게는 자외선의 유해성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통해 선글라스 선택 요령을 홍보하는 등 신뢰 확보와 자연스러운 판매 유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