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렌즈에 관한 오해들도 늘어나고 있다(사진=픽사베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렌즈에 관한 오해들도 늘어나고 있다(사진=픽사베이)

안경 대신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렌즈에 관한 오해들도 늘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오해는 눈 뒤로 렌즈가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인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눈의 흰자위에 해당하는 결막과 눈꺼풀 내부조직이 연결돼있어 렌즈가 안구 뒤로 넘어가는 일은 없다.

렌즈가 자리를 벗어났을 경우 인공눈물을 넣어 앞으로 빠져나오게 하면 된다.

또 다른 오해는 콘택트렌즈가 눈에서 분리돼 떨어져 나올 수 있다는 오해다. 렌즈가 처음 개발됐을 때는 스포츠 같은 격렬한 활동 시 렌즈가 떨어져 나가는 경우가 있었다. 하지만 최근 렌즈는 눈에 밀착돼 떨어져 나갈 일이 거의 없다.

나이가 많은 노인은 렌즈를 착용할 수 없다는 오해도 있다. 이 역시 사실이 아니다. 이중초점 렌즈뿐 아니라 노안 교정용 특수렌즈도 출시돼 렌즈를 끼고 뺄 수 있다면 나이와 상관없이 착용할 수 있다.

콘택트렌즈에 대한 오해가 많은 만큼 콘택트렌즈를 처음 착용하기 전 먼저 시력검사와 함께 안경사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사람이라면 세척, 헹굼, 살균의 과정을 철저히 지켜 렌즈 관리에 힘써야 한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