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소 뿔부터 형상기억합금까지 소재 다양
안경이 패션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안경에 쓰이는 소재도 다양해졌다. 소재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디자인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안경 뿐만 아니라 돋보기 프레임에 사용하는 소재도 다채롭다.
지난 홍콩광학박람회에 참가한 이플루비는 나뭇가지에서 꺾어온 듯한 독특한 형태의 손잡이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나뭇가지 돋보기, 가죽파우치에 결합해 휴대하기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가죽 돋보기를 선보였다. 나뭇가지, 가죽, 천, 보석 등 다양한 소재로 안경을 만들고 디자인한다. 지금까지 안경에 쓰였던 소재를 총정리해봤다.
■아세테이트
보통 뿔테라 불리운다. 셀룰로이드만큼 강도가 높지 않으며 발화성이 낮고 자외선에 노출이 되어도 변색이 적다는 게 장점이다. 무게도 가볍고 목화 찌꺼기로 만들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이 적다. 또 셀룰로이드처럼 염색과 착색이 자유로워 다양한 컬러를 표현할 수 있다.
■물소 뿔
물소 뿔로 만든 안경은 어떤 소재로도 흉내낼 수 없는 빛깔과 아우라가 있다. 거기다가 가볍고 튼튼하다. 천연 소재라 피부에 트러블이 없다. 안경을 닦을 때는 부드러운 천을 사용해야 한다. 자칫 안경을 떨어뜨릴 때 깨질 수 있다. 가격이 고가인만큼 관리도 다소 어렵다.
■티타늄
항공기 제작에 사용될 만큼 가볍고 단단하다. 같은 강도의 강철보다 43% 가볍다. 물이나 공기에 느리게 반응하므로 바닷불에 빠져도 부식이 될 경우는 거의 없다. 탄성이 좋고 열전도도 금속 중 낮은 편이다. 안경 소재로 선호하는 편이다. 이 소재를 이용해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을 만들기도 한다. 특히 둥근 타원형의 솔텍스 프레임에 많이 사용되며 클래식한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제격이다.
■귀갑
거북이 등딱지에서 얻는 게 대부분이다. 현재 거북이가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있어 지금은 귀갑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하는 귀갑은 거래가 금지되기 전에 거래되었던 귀갑이다. 귀갑 소재 특징은 특유의 빛깔과 문양이다. 컬러, 마블링, 투명도에 따라 등급이 있으며 황귀갑의 경우 영롱한 빛을 낸다고 한다. 거북이가 원래 장수와 번영의 상징을 나타내 고가로 거래가 된다. 더불어 희소성 가치도 있다.
■셀룰로이드
셀룰로이드는 예전에 머리핀이나 인형, 만년필 만드는 데 사용됐다. 하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안경 소재로 쓰인다. 하지만 발화성이 높고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 시 색이 변하기 쉽기 때문에 이 소재에 대한 사용은 감소되고 있다. 현재 일본 몇몇 안경 장인들이 셀룰로이드를 고집하기도 하며 빈티지 아이웨이를 복각하는 브랜드에서 즐겨 사용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소재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깊이 있는 컬러와 광택, 강도, 복원성 때문이다.
■우드
보통 우드는 안경에서 즐겨 사용하는 소재는 아니지만 나무의 자연스러운 질감, 가벼운 무게로 한결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다. 특히, 레이저를 사용하는 커팅을 제외한 모든 공정은 사람의 손이 닿는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떤 아이템 보다 강한 존재감을 발휘한다.
■알루미늄
티탄보다 가볍고 튼튼하다. 유연성이 적고, 리벳트 힌지일 경우 조정이 어렵다.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스프링 힌지를 박을 수 있다.
■베타티탄
가볍고, 편안하며 내구성 있다. 유연한 안경테를 만들 수 있다. 피부염에 걸릴 염려가 없다.
■모넬
모넬은 구리와 니켈을 1 : 2로 섞은 합금이다. 구리처럼 유연하면서도 니켈이 들어 있어 단단하다. 가격이 싸면서도 튼튼하고, 잘 구부러지면서 쉽게 녹슬지도 않기 때문에 금속테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인다. 대부분 안경테는 모넬 금속으로 만든다. 안경테를 튼튼하게 만들 수 있으며 핏팅을 완벽하게 할 수 있다.
■tr
tr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하나인 테트론과 합성섬유인 레이온을 섞어 만든 소재다. 아기의 젖병 소재로 잘 알려져 있으며, 광케이블이나 칫솔에도 쓰인다. 겉으로는 뻣뻣해 보이지만 탄성력이 좋아 잘 부러지지 않으며 가볍다. 단, 자외선을 많이 받으면 색이 변하고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형상기억합금
전투기나 인공위성의 안테나 등에도 쓰이는 형상기억합금의 주성분은 티타늄과 니켈이다. 마구 비틀거나 구부려뜨려도 실온에서는 본래의 형태를 기억하고 되돌아온다. 하지만 영하 5℃ 이하, 100℃ 이상에서는 복구력이 떨어진다.
■스테인리스스틸
일반 철에 비해 가볍고 부식이 적으며 반짝반짝 빛난다. 가격이 저렴하며 시간이 지나도 형태의 변화가 없다.
■양백
양백은 3가지의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리 64%, 니켈 18%, 아연18%로 되어 있다. 다른 금속테와 비교할 때 탄성이 좀 떨어지고 비중이 커서 무거운 촉감을 느낀다. 용점, 도금, 절삭 등 가공성이 양호하여 메탈테의 초기 제품에 많이 사용되었던 소재이다. 색상은 은빛 광택이 있으며, 일반 구리보다 녹이 잘 슬지 않고 단단하다는 특징이 있다.단점은 구리가 포함되어 있어 녹청이 생기기 쉽다는 점이다.
jun7564@fneyefocus.com 전시현 기자
안경이 패션의 일부분으로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안경에 쓰이는 소재도 다양해졌다. 소재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디자인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안경 뿐만 아니라 돋보기 프레임에 사용하는 소재도 다채롭다.
지난 홍콩광학박람회에 참가한 이플루비는 나뭇가지에서 꺾어온 듯한 독특한 형태의 손잡이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나뭇가지 돋보기, 가죽파우치에 결합해 휴대하기 편리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디자인된 가죽 돋보기를 선보였다. 나뭇가지, 가죽, 천, 보석 등 다양한 소재로 안경을 만들고 디자인한다. 지금까지 안경에 쓰였던 소재를 총정리해봤다.
■아세테이트
보통 뿔테라 불리운다. 셀룰로이드만큼 강도가 높지 않으며 발화성이 낮고 자외선에 노출이 되어도 변색이 적다는 게 장점이다. 무게도 가볍고 목화 찌꺼기로 만들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이 적다. 또 셀룰로이드처럼 염색과 착색이 자유로워 다양한 컬러를 표현할 수 있다.
■물소 뿔
물소 뿔로 만든 안경은 어떤 소재로도 흉내낼 수 없는 빛깔과 아우라가 있다. 거기다가 가볍고 튼튼하다. 천연 소재라 피부에 트러블이 없다. 안경을 닦을 때는 부드러운 천을 사용해야 한다. 자칫 안경을 떨어뜨릴 때 깨질 수 있다. 가격이 고가인만큼 관리도 다소 어렵다.
■티타늄
항공기 제작에 사용될 만큼 가볍고 단단하다. 같은 강도의 강철보다 43% 가볍다. 물이나 공기에 느리게 반응하므로 바닷불에 빠져도 부식이 될 경우는 거의 없다. 탄성이 좋고 열전도도 금속 중 낮은 편이다. 안경 소재로 선호하는 편이다. 이 소재를 이용해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을 만들기도 한다. 특히 둥근 타원형의 솔텍스 프레임에 많이 사용되며 클래식한 분위기를 연출하기에 제격이다.
■귀갑
거북이 등딱지에서 얻는 게 대부분이다. 현재 거북이가 멸종 위기에 처하고 있어 지금은 귀갑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 현재 사용하는 귀갑은 거래가 금지되기 전에 거래되었던 귀갑이다. 귀갑 소재 특징은 특유의 빛깔과 문양이다. 컬러, 마블링, 투명도에 따라 등급이 있으며 황귀갑의 경우 영롱한 빛을 낸다고 한다. 거북이가 원래 장수와 번영의 상징을 나타내 고가로 거래가 된다. 더불어 희소성 가치도 있다.
■셀룰로이드
셀룰로이드는 예전에 머리핀이나 인형, 만년필 만드는 데 사용됐다. 하지만 현재는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안경 소재로 쓰인다. 하지만 발화성이 높고 장시간 자외선에 노출 시 색이 변하기 쉽기 때문에 이 소재에 대한 사용은 감소되고 있다. 현재 일본 몇몇 안경 장인들이 셀룰로이드를 고집하기도 하며 빈티지 아이웨이를 복각하는 브랜드에서 즐겨 사용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다른 소재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깊이 있는 컬러와 광택, 강도, 복원성 때문이다.
■우드
보통 우드는 안경에서 즐겨 사용하는 소재는 아니지만 나무의 자연스러운 질감, 가벼운 무게로 한결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다. 특히, 레이저를 사용하는 커팅을 제외한 모든 공정은 사람의 손이 닿는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떤 아이템 보다 강한 존재감을 발휘한다.
■알루미늄
티탄보다 가볍고 튼튼하다. 유연성이 적고, 리벳트 힌지일 경우 조정이 어렵다.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스프링 힌지를 박을 수 있다.
■베타티탄
가볍고, 편안하며 내구성 있다. 유연한 안경테를 만들 수 있다. 피부염에 걸릴 염려가 없다.
■모넬
모넬은 구리와 니켈을 1 : 2로 섞은 합금이다. 구리처럼 유연하면서도 니켈이 들어 있어 단단하다. 가격이 싸면서도 튼튼하고, 잘 구부러지면서 쉽게 녹슬지도 않기 때문에 금속테 재료로 가장 많이 쓰인다. 대부분 안경테는 모넬 금속으로 만든다. 안경테를 튼튼하게 만들 수 있으며 핏팅을 완벽하게 할 수 있다.
■tr
tr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중 하나인 테트론과 합성섬유인 레이온을 섞어 만든 소재다. 아기의 젖병 소재로 잘 알려져 있으며, 광케이블이나 칫솔에도 쓰인다. 겉으로는 뻣뻣해 보이지만 탄성력이 좋아 잘 부러지지 않으며 가볍다. 단, 자외선을 많이 받으면 색이 변하고 불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형상기억합금
전투기나 인공위성의 안테나 등에도 쓰이는 형상기억합금의 주성분은 티타늄과 니켈이다. 마구 비틀거나 구부려뜨려도 실온에서는 본래의 형태를 기억하고 되돌아온다. 하지만 영하 5℃ 이하, 100℃ 이상에서는 복구력이 떨어진다.
■스테인리스스틸
일반 철에 비해 가볍고 부식이 적으며 반짝반짝 빛난다. 가격이 저렴하며 시간이 지나도 형태의 변화가 없다.
■양백
양백은 3가지의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리 64%, 니켈 18%, 아연18%로 되어 있다. 다른 금속테와 비교할 때 탄성이 좀 떨어지고 비중이 커서 무거운 촉감을 느낀다. 용점, 도금, 절삭 등 가공성이 양호하여 메탈테의 초기 제품에 많이 사용되었던 소재이다. 색상은 은빛 광택이 있으며, 일반 구리보다 녹이 잘 슬지 않고 단단하다는 특징이 있다.단점은 구리가 포함되어 있어 녹청이 생기기 쉽다는 점이다.
jun7564@fneyefocus.com 전시현 기자
전시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