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제휴통해 전문코너 구성
청소년.여성고객늘며 매출↑
상담 통해 편견.오명 없애야
안경원에서 판매가 급감해 사양품목으로 취급 받던 컬러콘택트렌즈가 최근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분당에 위치한 모 안경원은 작년 컬러콘택트렌즈 전문 업체와 제휴를 맺고 전용 코너를 구성해 단조로운 안경원 내부에 신선하고 파격적인 변화를 줘 화제를 모았다. 실제 이 안경원은 컬러콘택트렌즈 전용 레이아웃을 구성한 뒤 중·고생 고객들이 크게 늘어 매출도 점차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콘택트렌즈 전문숍의 등장과 함께 컬러콘택트렌즈가 눈 건강에 해롭다는 언론의 보도가 잇따르자 어느새부턴가 안경원에서 다양한 컬러콘택트렌즈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당시에는 가격대가 저렴하고 마진율이 크지 않아 안경원에서도 이를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게다가 최근에는 가격파괴 안경원들의 등장으로 인해 팩렌즈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져가고, 해외직구를 통해 콘택트렌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며 온라인 커뮤니티의 몇몇 안경사들은 "점차 콘택트렌즈 안경원 효자 품목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콘택트렌즈는 현재 법적으로 의료기기 품목으로 지정돼 있으며, 안경사 면허를 가진 안경원 혹은 콘택트렌즈 전문숍을 통해서만 소비자들에게 판매가 가능한 품목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콘택트렌즈를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판매처는 안경원이며, 안경사만이 콘택트렌즈에 대한 판매를 국가에서 허용해 준 것이다.
그런데 마진이 적다고 해서 또는 판매가 부진하다고 해서 이를 놓아버린다면 국가가 부여한 콘택트렌즈 판매 권한이 아무런 소용이 없어진다. 대한안경사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도 산업 관계부처에서 콘택트렌즈의 온·오프라인 소비자 직판을 허용해달라는 건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 안경테, 선글라스가 공산품으로 분류돼 안경원 외 채널에서 판매되는 양이 계속해서 증가하며 안경원 매출 동력의 한 축을 빼앗긴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마저 잃게 된다면 안경원들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진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비춰 봤을 때 컬러콘택트렌즈는 안경원이 반드시 다시 찾아야 할 품목이다. 콘택트렌즈 전문숍이나 프랜차이즈 안경원에서 컬러콘택트렌즈 pb제품이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이미 수요 예측은 확인된 셈이다. 다만 가격적인 부분과 제품의 다양성 측면에서 일반 안경원들이 이를 따라 갈 수 있는지 여부는 지켜봐야 하지만 충분히 시도해 볼 만 하다. 개성을 추구하면서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갖기 원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호재다.
한 콘택트렌즈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컬러콘택트렌즈 시장은 전문숍이나 프랜차이즈 안경원들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성장해 왔다. 부담없는 가격과 다양한 패턴 디자인이 장점인 컬러콘택트렌즈는 소비자들에게도 단시간에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기 좋은 제품으로 여성 또는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중소형 개인 안경원들의 경우 공간 부족과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매장에 큰 변화를 주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다. 매출부진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지만 현실에 부딪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소 안경원들도 최근에는 큰 인테리어의 변화나 월정료 없이 전문숍 버금가는 다양한 컬러콘택트렌즈를 구비해 판매해보려는 시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의 경우도 대형매장에서 컬러콘택트렌즈 전문 코너를 적용해 안경사의 전문 지식과 패션트렌드를 반영한 영업방식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는 게 콘택트렌즈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한편 모 글로벌 콘택트렌즈 제조사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7% 정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5년 내에 현재 7천억 시장에서 1조 5000억 시장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콘택트렌즈가 안경원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굳건히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atio1234@fneyefocus.com 김선민 기자
청소년.여성고객늘며 매출↑
상담 통해 편견.오명 없애야
안경원에서 판매가 급감해 사양품목으로 취급 받던 컬러콘택트렌즈가 최근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분당에 위치한 모 안경원은 작년 컬러콘택트렌즈 전문 업체와 제휴를 맺고 전용 코너를 구성해 단조로운 안경원 내부에 신선하고 파격적인 변화를 줘 화제를 모았다. 실제 이 안경원은 컬러콘택트렌즈 전용 레이아웃을 구성한 뒤 중·고생 고객들이 크게 늘어 매출도 점차 상승하고 있다고 전했다.
콘택트렌즈 전문숍의 등장과 함께 컬러콘택트렌즈가 눈 건강에 해롭다는 언론의 보도가 잇따르자 어느새부턴가 안경원에서 다양한 컬러콘택트렌즈는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당시에는 가격대가 저렴하고 마진율이 크지 않아 안경원에서도 이를 크게 신경쓰지 않았다.
게다가 최근에는 가격파괴 안경원들의 등장으로 인해 팩렌즈 가격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커져가고, 해외직구를 통해 콘택트렌즈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며 온라인 커뮤니티의 몇몇 안경사들은 "점차 콘택트렌즈 안경원 효자 품목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될 것"이라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콘택트렌즈는 현재 법적으로 의료기기 품목으로 지정돼 있으며, 안경사 면허를 가진 안경원 혹은 콘택트렌즈 전문숍을 통해서만 소비자들에게 판매가 가능한 품목이다. 이는 다시 말하면 콘택트렌즈를 소비자들에게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판매처는 안경원이며, 안경사만이 콘택트렌즈에 대한 판매를 국가에서 허용해 준 것이다.
그런데 마진이 적다고 해서 또는 판매가 부진하다고 해서 이를 놓아버린다면 국가가 부여한 콘택트렌즈 판매 권한이 아무런 소용이 없어진다. 대한안경사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도 산업 관계부처에서 콘택트렌즈의 온·오프라인 소비자 직판을 허용해달라는 건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이미 안경테, 선글라스가 공산품으로 분류돼 안경원 외 채널에서 판매되는 양이 계속해서 증가하며 안경원 매출 동력의 한 축을 빼앗긴 상황에서 콘택트렌즈 마저 잃게 된다면 안경원들의 설 자리는 더욱 좁아진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비춰 봤을 때 컬러콘택트렌즈는 안경원이 반드시 다시 찾아야 할 품목이다. 콘택트렌즈 전문숍이나 프랜차이즈 안경원에서 컬러콘택트렌즈 pb제품이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는 것만 보더라도 이미 수요 예측은 확인된 셈이다. 다만 가격적인 부분과 제품의 다양성 측면에서 일반 안경원들이 이를 따라 갈 수 있는지 여부는 지켜봐야 하지만 충분히 시도해 볼 만 하다. 개성을 추구하면서 자신만의 아이덴티티를 갖기 원하는 젊은 소비자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호재다.
한 콘택트렌즈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컬러콘택트렌즈 시장은 전문숍이나 프랜차이즈 안경원들을 중심으로 계속해서 성장해 왔다. 부담없는 가격과 다양한 패턴 디자인이 장점인 컬러콘택트렌즈는 소비자들에게도 단시간에 자신만의 개성을 표현하기 좋은 제품으로 여성 또는 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인기가 높다"고 말했다.
중소형 개인 안경원들의 경우 공간 부족과 비용 부담 등의 이유로 매장에 큰 변화를 주기가 힘든 것이 사실이다. 매출부진에 따라 여러가지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지만 현실에 부딪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소 안경원들도 최근에는 큰 인테리어의 변화나 월정료 없이 전문숍 버금가는 다양한 컬러콘택트렌즈를 구비해 판매해보려는 시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가까운 나라 일본의 경우도 대형매장에서 컬러콘택트렌즈 전문 코너를 적용해 안경사의 전문 지식과 패션트렌드를 반영한 영업방식이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는 게 콘택트렌즈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한편 모 글로벌 콘택트렌즈 제조사의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7% 정도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5년 내에 현재 7천억 시장에서 1조 5000억 시장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콘택트렌즈가 안경원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굳건히 자리를 지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ratio1234@fneyefocus.com 김선민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