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진 수 부천 대성안과 검안실장



읽기 학습 장애는 장.단기 기억 장애를 의미하고 아무리 공부하려 해도 성적이 오르지않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학습은 크게 반복암기와 응용능력을 의미한다. 읽기능력은 반복암기부분에 더 가깝고 그 암기를 쉽고 빠르게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기억하고 되새우는 능력을 향상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읽기는 곧 눈으로 보고 뇌로 가서 다시 입으로 출력 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읽기속도가 빨라졌다면 뇌로 들어가는 인지속도가 빨라졌다는 의미로 뇌의 정리가 빨라져 이해하기 쉬워진다는 의미다.

학습장애라는 용어는 1960년대 초반에 처음으로 제안됐다. 그 이후 비교적 정상적인지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학습상의 문제를 지닌 아동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됐다. 학습장애란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로 지금까지 그 정의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정의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장애인 교육법(idea)의 특정학습장애란 듣기, 생각하기, 말하기, 읽기, 쓰기, 철자법, 셈하기에 있어 불완전한 능력으로 표현될 수 있는 말이나 글의 언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심리학적 과정의 한 가지 이상에서 장애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어는 지각 장애, 뇌손상, 미세뇌기능장애, 난독증, 발달적 실어증과 같은 상태를 포함한다. 시각, 청각 또는 운동기능적인 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또는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불이익이 주요원인으로 학습 문제를 지닌 아동들은 포함되지 않는다. 학습장애공동협회가 제시한 학습장애의 정의에서는 학습장애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생각하기, 산수 능력의 습득과 사용에 있어서의 심각한 어려움을 보임으로써 나타나는 장애다. 이런 장애들은 개인에 대한본질적인 특성을 지니며 중추신경계의 기능장애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생에 걸쳐나타날 수도 있다.

자기통제적인 행동과 사회적 지각, 사회적 상호작용 등에 문제가 학습장애와 함께 나타날 수도 있지만 이러한 문제들만으로 학습장애로 판별되지는 않는다. 학습장애는 기타 장애(예: 문화적 차이, 부적절하거나 불충분한 교수)를 받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기타 장애나 외부적인 영향의 결과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되는 것은 아니다.

미국 정신의학협회에서는 개인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알맞은 교육에 따라 기대하게 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낮은 학문적 기능 수행을 학습장애로 정의하고 읽기장애, 수학장애, 문자에 의한 표현장애, 불특정 학습장애를 이에 포함시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심리적 발달장애의 한 영역으로 특정 학문기술 발달장애를 분류하고 이를 특정 읽기장애, 특정철자장애, 특정 산수기 술장애, 학문기술의 혼합장애, 기타학문기술발달장애, 불특정 학문기술 발달 장애로 분류한다. 학습장애의 분류는 크게 읽기장애, 문자에 의한 표현장애, 수학장애, 불특정장애 등으로 나누는데 읽기장애는 개별로 실시되는 표준화된 검사에 의해 측정된 읽기 성취.읽기 정확도.읽기 속도 또는 읽기 이해가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알맞은 교육에 따라 기대하게 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낮을 경우를 의미한다. 특히 읽기속도는 시지각능력의 판단 근거로 장애의 기준과 개선의 기준이다. 문자에 의한 표현장애 진단 기준은 개별로 실시되는 표준화된 검사(또는 쓰기 기술의 기능적사정)에 의해 측정된 쓰기 기술이 개인의 생활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알맞은 교육에 따라기대하게 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낮고 이는 작문(즉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과 정리된 문단쓰기)를 요하는 학문의 성취나 일상생활 활동을 방해한다.

수학장애의 추리 또는 산수능력 장애 기준은 개별로 실시되는 표준화된 검사에 의해 측정된수학능력(계산.수리)이 개인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알맞은 교육에 따라 기대하게 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낮으며 수학능력의 곤란은 학문의 성취나 일상생활 활동을 방해한다. 대부분 학습장애의 기준으로 평가, 수학 및 계산능력을 우선시하는 현대 교육 패텀에서 학습장애라는 의미로 해석?다. 시지각 능력과 기억과 연산까지 필요한 과정을 빠르게 진행하는 것을 요구하며 그렇지 못하면 학습에 문제가 있고 지속적으로 문제 발생시 학습지체 장애라고 한다. 나머지 불특정 학습장애 진단 기준은 특정학습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학습장애를 의미한다. 각 기술을 측정하는 검사의 점수가 개인의 생활 연령, 측정된 지능, 연령에 알맞은 교육에 따라 기대하게 되는 수준보다 상당히 낮지 않더라도 학문의 성취를 방해하는 3가지영역(읽기, 수학, 문제에 의한 표현)의 문제가 포함된다. 심리적인 문제와 창의적인 문제로 사회에서 필요한 학습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 보면 된다. 예를 들면 자폐증 환자 중에 모든 정보를 숫자로만 이해하는 경우,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가 아닌 자연수와 나눗수 등과 같이 초기 컴퓨터와 같은 언어로 사용한다. 이는 실제로 특정 영역의 학습장애와 사회장애로 해석?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