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미1

근거리 안구 회선량이란?

원거리에서 근거리 주시시 폭주 운동으로 인해 눈이 모아지면서 시선을 아래로 내려보는 길이의 양을 뜻한다. 각기 다른 개개인의 누진 안경렌즈의 누진대 길이와 인셋량 결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근육의 세기에 따른 회선량을 측정 해야한다.


케미2

한국인 평균 누진대 길이 분포도는?

누진 안경렌즈 처방 대상자 누진대 길이 분포를 분석했다. 39~83세 5,925명의 데이터 확인결과 누진대 길이가 10~11mm로 측정된 경우는 2,040명(34.43%) 12~13mm 1,935명(32.66%)으로 10~13mm(67.09%)의 누진대 길이 분포도가 가장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케미3

근거리 안구회선량.누진대 길이 상관관계ⅰ

예를 들어 다소 큰 안경테를 선택한 근거리 안구 회선량이 14mm인 고객에게 14.5mm의 누진 안경렌즈를 처방하였다면, 이 고객은 중간 영역의 도수에서 근거리 작업을 할 것이며 분명 누진 안경렌즈에 대한 불만족감을 느낄 것이다.


케미4

근거리 안구회선량.누진대 길이 상관관계 ⅱ

위는 근거리 주시시 중간 영역의 도수를 근용부 도수로 착각하며 사용할 것이며 불만족스러운 근용부 시생활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래는 근거리 주시시 근용부 중심을 통해 만족스러운 시생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앞으로 로 누진 안경렌즈 시장의 고정고객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q 누진은 정말 적응하기 힘든 렌즈인가?



사람은 40세 전후가 되면 누구나 눈의 조절 힘이 약해져 가까운 거리를 볼때 불편해진다. 가까이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이 떨어지는 현상이다. 이를 교정하는 안경이 누진안경렌즈다.

하지만 누진안경렌즈 착용 후 어지러움과 피로감 등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편안한 누진안경렌즈 착용을 위해서는 시력 검사 못지않게 정확한 계측과 설계가 필요하다. 정확한 도수 검안 이후 누진대 길이와 인셋량의 결정이 중요한 요인이 된다. 누진대 길이와 인셋량이 적절하지 않으면 누진안경렌즈 착용시 좋지못한 시야폭과 근거리 작업에 불편을 야기하며 누진안경렌즈의 기능을 떨어뜨리게 된다.

누진대 길이와 인셋량 결정은 다음과 같은 누진안경렌즈의 중요한 의미을 가지고 있다. △가입도량에 따라 적응도와 착용감을 좌우한다 △원용부와 근용부 시야폭과 시선 이동의 기준이 된다. 즉, 같은 가입도라면 누진대가 길면 길수록 도수의 변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누진대내에서의 명시할 수 있는 영역이 넓어진다. 또한 도수의 변화가 완만하다는 것은 렌즈내 시선 이동할 때 도수 변화로 인한 울렁임이 적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누진대의 길이가 길면 원용부와 근용부까지의 시선 이동의 거리가 커진다. 원용부에서 근용부 시선 이동을 위해 안구 회선량이 커진다는 말이다. 안구 회선량이란 정면을 본 상태에서 근거리 작업을 위해 시선을 아래로 내려보는 크기의 양을 뜻하며, 누진대 길이와 인셋량 결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근육의 세기에 따른 회선량을 측정 해야한다. 만약 원용의 아이포인트가 똑같은 위치에 있다면 누진대가 길면 길수록 가까운 물체를 볼 때에 회선량은 더 커진다. 아이포인트에서 근거리 주시시 근용부 중심까지 닿는 시선의 수직거리 즉 안구회선량을 측정해 원하는 회사 누진안경렌즈의 근용부크기를 고려해 누진대 길이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근거리 안구 회선량이 14mm인 고객에게 근용부 크기가 7mm인 누진 안경렌즈를 처방할 경우 근용부 중심은 전체 크기의 절반인 3.5mm 존재할 것이다. 누진대 길이 amm와 근용부 중심까지의 거리 3.5mm의 합은 고객의 안구회선량이 돼야 한다. 이를 고려하면 근거리 안구 회선량에서 근용부 중심까지의 거리만큼의 뺀 값이 누진대 길이 a가 된다는 것이다. 위의 고객은 10.5mm의 누진대가 근거리 작업시 안구 회선량에 적합한 누진대 길이라고 볼 수 있다.

최첨단 시대에 맞춰 디지털 측정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있긴 하지만 너무 고가로 인해 설치된 곳도 적고 복잡하고 익숙하지 않은 기기사용법으로 활발한 활용이 되지 않고있다. 각기 안경사들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로 적절한 측정을 하고 있지만 목측이기때문에 자세나 위치에 따른 오차는 어쩔 수 없다. 누진대 길이 및 안구 회선량의 측정으로 정확한 좌우 인셋량과 경사각 안면각 등 을 0.1mm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국제 특허 측정기기가 있다. 이 장비는 최근 10년간 1만 명 이상의 누진다초점안경 착용자의 착용습관 등을 분석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의 근용부 위치를 보정해 주고 명시거리를 분석해 안구 회선량 등의 고급정보를 손쉽게 측정해낸다.

누진다초점 안경을 착용하고 있는 고객 위주로 본 장비를 활용 처방해 본 결과 착용했던 누진다초점 안경에 비해 근용부 시야 폭이 넓어지고 눈 피로 현상이 줄었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그동안 제거할 수 없었던 설계 오류를 최소화한 만큼 안경원에 필요한 장비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고객은 편안한 누진안경렌즈를 착용하고 싶어한다. 알맞은 누진대 길이의 누진안경렌즈를 착용해야 원근용부 시야가 넓고 편해진다. 다양한 개체의 인구만큼 안경사가 선택 할 수 있는 누진대 폭도 넓어야 한다.

최근 케미렌즈가 출시한 매직폼-모바일(mf-mobile) '시선의 이동이 자유롭다'는 의미의 신제품 프리폼가공의 누진안경렌즈는 케미렌즈 고유 기술인 자외선을 최고 파장대 400나노미터에서 99.9%까지 완벽하게 차단하는 기능과 독자 개발한 렌즈의 흠집 방지에 강력한 코팅 기법인 '이지스코팅'도 기본으로 탑재돼 있다. 이 같은 프리미엄급 기능에 동급의 수입 브랜드 누진렌즈에 비해 훨씬 경제적인 가격으로 가성비가 아주 뛰어나다. 과거에는 한 가지 종류만 있었던 화장품이 요즘은 미백라인 수분라인 안티에이징 등으로 쓰임에 따라 다양해진 것처럼 누진안경렌즈도 기능과 목적 그리고 착용자의 습관과 니즈에 따라 다양한 설계가 필요하다. 잠재돼 있는 앞으로의 누진안경렌즈 시장에서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전문화된 최적의 상품을 다양하게 제공해야 한다.



※원본 출처 : fundamentals of progressive lens design - by darryl meister, abom visioncare product news / volume 6, number 9 september 2006/ coping with corridors - by barry santini, abom/ 습관적 독서자세에서 측정한 누진대 길이 분석-이정권, 문병연, 조현국

※ 정리 : 케미렌즈 교육팀 윤문주 주임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