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퍼1

실리콘 하이드로겔 교체 후 가장 큰 변화는?
지속적인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으로 인한 윤부 충혈.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로 교체한 후에 변화다.

쿠퍼2

efron grading scale
실리콘 하이드로젤 원데이 렌즈는 충혈이나 건조증 외에도 다양한 콘택트렌즈 합병증을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쿠퍼3

35℃에서 재질에 따른 함수율.산소투과율은?
하이드로겔 렌즈는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산소투과율이 조금씩 높아지지만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산소투과율이 낮아진다.
(optometry and vision science: april 2007 - volume 84 - issue 4 - p e328-e337)

쿠퍼4

미국의 c/l 재질별 점유율은?
미국에서는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비중이 67%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처방이 트렌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의 경우 20%, 하드 rgp 렌즈는 10%, 현재 pmma 재질의 렌즈는 1%의 점유율만 가지고 있다.




q. 충혈 완화를 위해서 어떤 렌즈를 피팅해야 할까?



안경원에서 근무하다 보면 렌즈 착용자들의 눈이 붉게 충혈돼 있는 경우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충혈은 왜 발생하는 걸까?

각막은 무혈관 조직으로 산소를 공기나 결막 혈관으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각막 위에 콘택트렌즈를 착용할 경우 산소 공급양이 줄어들면서 저산소증(hypoxia)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저산소증으로 인해 무혈관 각막 조직인 각막 주위에 신생혈관들이 성장하는 것을 각막 신생혈관증식(corneal neovascularization)이라고 하는데 이 증상이 심해지면 눈이 충혈돼 보일뿐만 아니라 지질각막병증(lipid keratopathy)과 흉터로 인한 시력 저하까지 생길 수 있다.

이런 저산소증은 산소투과율이 낮은 하이드로겔(hydrogel) 재질의 hema 렌즈를 오래 착용할 경우에 더 쉽게 나타날 수 있다. 낮은 산소투과율 렌즈를 사용했을 경우 눈이 충혈되는 시간은 착용 후 빠르면 4시간 후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충혈뿐만 아니라 각막부종(corneal edema), 상피 미세낭종(epithelial microcyst)과 도수 변화(refractive error change) 등도 저산소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들이다.

충혈없이 깨끗한 눈을 갖기 위해서는 결국 눈에 공급되는 산소양을 충분하게 보장해야 하는데 저산소증을 완화해 충혈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재질이 바로 '실리콘 하이드로겔'이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는 유럽에서 1999년, 미국에서는 2001년도에 출시됐는데,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난 nvp·ma·poly hema 등의 하이드로겔 성분에 산소투과율을 높이는 소수성의 실리콘 성분이 함께 섞여있다.

쉽게 말해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물과 기름을 섞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실리콘 재질이 산소를 전달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산소 투과율은 확연히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실리콘이 들어간 렌즈는 일반 하이드로겔 렌즈보다 6배 더 높은 산소 투과율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미국에서 32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콘택트렌즈 교체에 따른 눈 상태 변화 임상연구에서 장기간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고객이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시 약 1개월 뒤에 신생혈관 발생과 충혈이 개선됐다고 보고됐다.

또한 morgan의 연구에 의하면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눈과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착용한 눈을 1년간 관찰 분석한 결과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1년간 착용한 눈이 1년간 렌즈를 착용하지 않은 눈의 충혈정도가 임상적으로 큰 차이가 없음을 밝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하이드로겔 렌즈를 계속 처방하는가?

sihy에는 siloxane이 들어가 하이드로겔보다 친수성이 떨어진다. 이로 인해 함수율은 낮아지고 경도는 높아진다. 그렇게 되면 렌즈가 퍽퍽하고 착용감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초기에 출시된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경우 산소투과율은 높으나 경도가 높아 부드러움과 높은 함수율을 모두 충족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로 인해 하이드로겔에서 실리콘하이드로겔로 전환하는 고객들에게는 착용감 측면에서 그리 만족스럽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에 출시된 3세대 실리콘 하이드로겔 원데이 렌즈인 쿠퍼비전 마이데이는 경도가 0.4mpa로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일반 하이드로겔 렌즈와 별 차이가 없을 정도로 우수한 착용감을 주기에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처방을 더 이상 망설일 필요가 없어졌다.

기존 하이드로겔 렌즈에 만족하는 소비자에게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권하는 일은 번거럽고 시간을 많이 요하는 과정일 수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과 안경사들이 직접 보지 못하는 사이 하이드로겔 렌즈의 장기 착용으로 인해 신생혈관증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안경원 내에서 슬릿램프 등의 기기를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안경사가 콘택트렌즈를 처방할 경우 미세한 신생혈관증식 반응을 살피기가 어렵다. 따라서 산소투과율이 확연히 높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를 적극적으로 처방함으로써 렌즈 사용자의 건조감과 충혈을 완화하는 것은 물론 전반적인 만족도와 장기적인 눈건강까지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원본 출처 : papas e. high-oxygen-transmissibility soft contact lenses do not induce limbal hyperaemia. curr eye res. 1997;16:942-948/ desmond fonn, kathryn dumbleton, luundon jones, deborah sweeney. silicone hydrogel material and surface properties. contact lens spectrum. march 1,2002/ morgan pb, chamberlain p, moody k et al. ocular physiology and comfort in neophyte subjects fitted with daily disposable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es. cont lens anterior eye2013;36: 118-25/ lyndon jones. hydrogel contact lens materials: dead and buried or about to rise again? contact lens update october 7th, 2013/ contact lens spectrum. special edition 2007 putting new contact lens technology into practice. 2007 may 1

※ 정리 : 쿠퍼비전 코리아 교육팀 강민지 매니저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