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글을 쓰는 것과 같은 손을 이용한 어떤 행동을 할 때, 오른손과 왼손 중 습관적 또는 지배적으로 사용하는 손이 있다. 여러 연구에 의하면 인구의 85~90%가 오른손잡이이며, 나머지 비율 가운데 대다수는 왼손잡이라고 한다.[1] 우리의 눈도 오른손잡이나 왼손잡이처럼 주로 사용하는 눈이 있는데 이를 우위안이라 하며, 우세손과 우위안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비율은 우안이 65%, 좌안이 32%, 특별한 선호도가 없는 경우 3%가량으로 알려져 있다.[1]
우위안과 선호되는 고시 시선과의 관계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나 약시 또는 굴절이상과 같은 다양한 안과 질환을 치료할 때 치료나 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안전문가는 예비검사에서 이를 꼭 확인해야 한다. 아래는 우위안이 활용되는 예다. 1. 사위 교정 시 프리즘 분배→양안 혹은 비우위안에 처방/ 2. 컬러필터렌즈(색약렌즈) 처방시→우위안 혹은 양안에 처방/ 3. 모노비전 처방시→ 원·근용 우위안의 측정/ 4. 양안균형이 맞지 않을때→우위안을 좀 더 선명하게 처방
Shneor와 Hochstein에 의하면, 우위안이 비우위안보다 시각적 이미지 처리 과정에서 우선 순위를 보이며, 시선 또한 목표물에 더욱 빨리 도달함을 확인했다. 에실로 R&D는 Virtual lens simulator experiment(가상렌즈 시뮬레이션 연구실)에서 연구를 통해 비우위안에 비해 우위안이 반응속도가 4배 가량 빠름을 수치화한 결과를 얻었다. (Resuts of Essilor R&D virtual lens simulator experiment)
선명한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받아들이는 우위안에서 흐린 상이 느껴진다면 고객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고객이 누진을 적응하는데 어렵다고 대답한 유형을 크게 2가지로 나누어 본다면 선명한 시야 영역을 찾기 힘들다.(10명 중 8명)/ 순간적으로 시력이 흐려진다.(10명 중 7명) 위와 같이 누진을 착용하고 순간적인 시력의 흐림을 호소하는 고객에게 시각적 이미지의 선명도를 담당하는 우위안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Source: International study on presbyopia, IPSOS, 2012, wearers = 2259; non-wearers = 1293)
양안시가 가지는 이점에 대해 크게 3가지를 언급할 수 있다. 첫째, 물체들의 크기와 상호간의 거리에 대한 정확한 판단으로 고차원의 시각적 기능인 입체시가 완성된다. 둘째, 단안시보다 수평방향으로 25%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하며, 셋째, 단안 시력에 비해 10~20% 가량의 시력 누가현상 등의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3] 시각 시스템의 양안시 능력은 망막의 두 이미지 유사성과 이미지 간의 차이를 뇌의 정밀 분석을 기반으로 동시시, 융합, 입체시 등의 매커니즘을 생성한다.[4] 우위안은 이러한 양안시를 더욱 풍부하게 도와주는 이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안과학 뿐 아니라 양궁이나 사격 등의 빠른 물체를 정확하게 판단해야 하는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만큼 친숙한 용어다.
'The Art and Science of Cricket'의 저자인 Bob Woolmer는 타격 자세에 관한 섹션에서 우위안에 대해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손을 가진 것처럼 시각적 신호를 다른 눈보다 빠르고 효과적으로 뇌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주 사용 안(眼)이 있습니다"고 말한다.[5] 간단한 검사 방법을 통해 우리는 우위안에 대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우위안은 원·근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교정하고자 하는 목적 거리에 맞게 테스트를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같은 검사방법으로 3번 가량의 테스트를 진행해 우위안을 판단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몇 몇의 사람은 양 안(眼) 중 특정 선호도가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3회 중 1회라도 결과값이 다를 경우 이 고객이 느끼는 시력에서 우위안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은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5]
우리는 어떠한 사물을 볼 때 최적의 시각적 성능을 위해서는 망막에 맺히는 이미지가 광학적으로 유사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다. 양안의 상의 유사성을 렌즈설계에 반영한 것이 바로 바리락스의 특허기술인 Synchroneyes(양안시 기술력)로, 현재 바리락스 S, X시리즈에 적용돼 있다. 그렇다면 최적의 양안시를 보장하기 위해서 우위안에 대한 분석이 안경렌즈와 접목된다면 어떤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까? 우위안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운동성 우위안(Rosenbach법이나 Hold-in-card법으로 측정)이다. 이는 간단하게 측정이 가능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다. 좌·우안에서 다른 이미지가 결상했을 경우 더욱 명백한 이미지를 선택해 나타낸다. 둘째, 양안 투쟁에 의해 발생되는 감각성 우위안이다. 이는 인지된 정보가 서로 다를 경우에 어느 입력이 선호되는 지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셋째, 대비감도 혹은 부등시에 의한 우위안으로 이는 시력적 우위가 있는 경우 탁월한 시력을 나타내는 눈에서 받는 시각 정보를 우선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 중 첫 번째로 언급한 운동성 우위안은 안구 운동의 컨트롤과 연관돼 전체 안구운동의 선도적인 역할로 동적인 시력에서 특히 중요하고 강력함이 입증돼 안기능 검사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에실로 R&D에서는 활동적인 시각 정보에 대한 반응 속도를 정량화하는 흥미로운 연구를 진행했다. 양안 완전 교정 후 우위안과 비우위안에 순차적으로 수차를 적용해 의도적으로 흐리게 했을 때, 순간적으로 시표를 확인하도록 해 인지 반응 속도에 대한 연구결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우위안에 시력 흐림 증상(누진다초점렌즈로 표현한다면, 광학적 수차)이 존재하면 착용자의 반응 속도가 느려짐을 확인했다. 지금까지 누진다초점렌즈는 각 요소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각각의 처방에 따라 개별적으로 계산돼 최적화됐다. 이는 좌우렌즈가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제공돼 뇌에서 융합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피로를 유발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에실로R&D에서는 세계 최초로 우위안을 최적화시킨 양안시 개인맞춤화의 누진다초점렌즈로 바리락스 3D렌즈를 개발했다. 3D 시리즈는 특히 순간적인 안구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적인 시습관에서 고객에게 더욱 만족스러운 선명도와 시야를 제공한다. 시각적인 성능을 더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 우위안을 누진다초점렌즈 디자인에 최적화시키는 기술의 도입은 착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한다.
중년안(45세 이상)은 사물 인지 속도가 젊은 성인에 비해 느리다(Bidwell, Holzman, & Chen, 2006)는 사실은 알려져있다. 이는 움직임을 감지하는 능력이 감소(Snowden & Kavanagh, 2006 )함과 서로 다른 자극들을 서로 구별하는 속도가 중년안에서 감소했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누진다초점렌즈는 매우 민감한 제품으로 디자인의 성능에 대한 완전한 평가는 오직 착용자가 실생활에서 착용했을 때 입증될 수 있다. 에실로 R&D는 더 나아가 House lab(가상 실험 공간)을 도입해 실제 착용자의 일상 행동패턴을 3D분석으로 철저히 검증했다. 우위안 기술은 누진다초점렌즈를 착용하고도 활동적인 시습관을 유지하기를 원하며 선명하고 넓은 양안시를 가지고 싶은 중년안에게 특별한 처방이 될 것이 틀림없다.
*출처 : 1. Minucci P.K., Conners M. M. 1964. Reaction time under three viewing conditions: Binocular, dominant eye, and nondominant ey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67, 268-275. 2. ROMANO, MD Gainesville, Florida 3. 양안시의 전반적인 이해-성풍주 저 4. Results of Ocular Dominance Testing Depend on Assessment Method : Melissa L. Rice, O.D., David A. Leske, M.S., Christina E. Smestad, B.A., and Jonathan M. Holmes, B.M., B.Ch. 5. https://www.aop.org.uk/ot/cet/2016/06/20/the-importance-and-relevance-of-eye-dominance-part-1/art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