렌즈 하나로 거리별 다양한 도수구현 기술 넘어
일정 형태없이 자유로운 형태로 가공할 수 있어
주변부 잔시-비점수차 발생 최소화한 첨단 기술

프리폼 누진렌즈에 대해 안경원에서는 각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자료들만으로 정보를 얻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따라서 프리폼누진렌즈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우선 프리폼이라는 것은 정해진 형태가 없으며, 자유롭게 어떠한 형태든지 가공할 수 있는 하나의 기술방식인 것이다. 따라서 누진다초점렌즈의 경우 발생하는 수차들을 내면에서 보정할 수 있도록 값을 지정하여 가공하게 되는데, 이 값들은 최적화된 면의 형상을 계산할 수 있는 설계프로그램에 있어야 가능한 것이다. 그래서 몰드 한 점 한 점상에 수치들을 대입하여 최적화된 렌즈를 생산하게 된다.
왜냐하면 프리폼으로 렌즈면을 가공하는 방식은 기존의 세미형태의 반가공 방식보다 더 좋은 해상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반가공된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각 개인의 따른 주문을 받은 후, 렌즈 디자인 설정에 따른 수정을 거쳐 렌즈를 만드는 것이 개별디자인 프리폼누진렌즈이다. 물론 반 가공된 렌즈의 제작방식을 개선해서 몰드자체를 프리폼으로 만드는 방법(디지털몰드)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별 디자인(individual)은 최적화 디자인, 테두리 맞춤형 디자인, 개인화된 디자인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의미의 용어이다. 따라서 각 제조회사별로 말하고 있는 개인 맞춤형 누진렌즈라는 용어와는 단지 해석의 차이일 뿐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모두 프리폼방식으로 생산되며 기존 누진렌즈가 가지고 있던 한계와 광학수차를 얼마나 많이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최적화 디자인은 주문받은 도수를 랜즈의 내면을 누진렌즈 디자인 설정에 따라 프리폼가공으로 제작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각 제조회사들에서 말하는 수차보정이 되는 제품들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테두리 맞춤형 디자인은 렌즈가 들어갈 안경테의 조건에 따라 누진렌즈 디자인의 조정 및 도수에 따른 인셋 조정과 정점간 거리에 따른 도수의 조정이 고려된 제품들이 이에 해당된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제품들은 누진대의 길이가 조정된 제품이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화된 디자인 사용자의 시습관이나 검사자의 처방에 따라 누진렌즈의 디자인을 특별히 조정해 주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이렇게 프리폼누진렌즈도 디자인에 따라 기능이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시장에서는 프리폼기계로 제작된 렌즈를 모두 프리폼 렌즈라고 부르고 있다. 프리폼 누진렌즈는 이제 걸음마를 내딛은 정도이다. 올해에도 많은 업체들이 프리폼누진렌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하지만 수많은 제품의 출시만큼 이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뤄질 때 진정한 의미의 프리폼 렌즈가 소비자에게 제공될 것이라고 본다.
|kbsin@fneyefocus.com|신경범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