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점거리가 변해도 원점은 그대로




예제1) 원점이 눈 앞 20cm에 있는 사람이 정점간거리가 10mm인 안경을 착용하려 한다. 이 안경 렌즈의 굴절력으로 적당한 것은?




그림을 그려서 해결하면 간단하다. 정점간거리는 일반적으로 mm 단위로 표시되므로 모든 길이는 mm로 통일 시켜서 계산한다. 원점이 눈 앞 20cm 즉, 200mm 이므로 어떻게 교정을 하든지 상측초점이 원점과 일치되는 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정점간거리가 10mm가 되므로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정점간거리만큼 초점거리가 축소된 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계산을 해보면 원점거리 200mm에서 정점간거리 10mm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초점거리가 190mm인 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즉 -5.25d 렌즈를 선택한다.

예제2) 원점이 눈 앞 20cm에 있는 사람이 서양인과 같은 얼굴 골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점간거리가 20mm인 안경을 착용하려 한다. 이 안경 렌즈의 굴절력으로 적당한 것은?




정점간거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원점은 변하지 않는다.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정점간거리가 20mm가 되었으므로 초점거리는 180mm로 축소된다. 즉 초점거리가 180mm인 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즉 -5.50d 렌즈를 선택한다.

예제3) 정점간거리가 8mm인 -8d 안경을 착용하던 근시안이 정점간거리가 18mm인 새로운 테를 선택하였다. 이 때 새로운 안경 렌즈의 굴절력으로 적당한 것은?




정점간거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원점은 변하지 않는다. 이 사람의 원점 위치는 -8.00d의 초점거리인 125mm와 정점간거리 8mm를 추가한 눈 앞 133mm이다.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정점간거리가 18mm가 되면 초점거리가 115mm로 축소된다. 즉 초점거리가 115mm인 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8.75d가 답이 된다.

예제4) 정점간거리가 16mm인 -5d 안경을 착용하던 사람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려 한다. 이 콘택트렌즈의 굴절력으로 알맞은 것은?




정점간거리가 어떻게 변하더라도 원점은 변하지 않는다. 이 사람의 원점거리는 -5.00d의 초점거리인 200mm와 정점간거리 16mm를 추가한 눈 앞 216mm이다. 위 그림에서 보는 것처럼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면 정점간거리가 없어지므로 초점거리가 216mm인 안경렌즈를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4.50d가 답이 된다.<원시안의 경우도 근시안과 해결하는 방식은 똑같다. 다만 차이점은 원점의 위치가 근시안과는 달리 눈 뒤에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정은 상측초점이 렌즈 뒤에 위치하는 볼록렌즈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눈 뒤 40cm에 원점이 있는 눈(2.5d 원시)은 상측초점이 렌즈 뒤 40cm에 있는 콘택트렌즈(2.5d 렌즈)를 사용하여 교정한다.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이때 콘택트렌즈가 아닌 안경을 착용하게 되면 정점간거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 거리만큼 초점거리가 변화된 안경렌즈를 선택하여야 한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