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신체 곳곳에는 분비물이 쌓이면서 돌과 같은 덩어리인 결석이 생길 수 있다. 결석은 여러 기관에서 나오는 분비물이 칼슘이나 인과 만나면서 생긴다. 결석이 생긴 위치에 따라 결막결석, 위석, 요로결석 등이 있다.
결막결석은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까끌까끌한 느낌과 뻑뻑함 등을 동반한다. 결막결석은 안구를 덮는 눈꺼풀 안쪽인 결막에 결석(돌)이 생기는 안질환이다. 결막결석은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눈꺼풀 주위에 생기는 염증인 다래끼와 오인될 수 있다. 그러나 안구분비물인 결석이 생긴 상태에서 눈을 비비면 각막에 상처가 생기면서 2차 안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결막결석은 왜 생길까? 눈꺼풀 안쪽에는 분비물을 방출하는 기름샘이 위치한다. 그런데 눈이 청결하지 않거나 건조하면 기름샘이 정상적으로 분비물을 배출하지 못해 덩어리가 생긴다. 안구가 건조한 노년층, 안구건조증 환자, 결막염에 걸린 사람 등이 결막결석에 걸릴 확률이 높다.
결막결석은 안약으로 점안을 마취한 뒤, 결석을 긁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해야 한다. 결석이 있다고 전부 제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결석이 결막을 뚫고 나왔을 때 제거한다. 결막결석은 재발 가능성이 있는 안질환임으로, 평소 온찜찔을 통해 기름샘을 청소하는 등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다.
장은지 기자
jji@fn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