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방병은 만성피로, 면역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낮기온 30도를 웃도는 불가마 더위가 계속되면서 하루종일 에어컨을 가동하는 일이 늘고 있다. 내 집에서는 내 마음대로 에어컨을 틀었다 껐다 조절할 수 있지만, 중앙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사무 공간에서는 꼼짝없이 에어컨을 쐬야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불가마와 냉탕을 오가는 기온 차, 몸에는 괜찮을까?
◇ 여름철 냉방병 주의보
급격한 기온 차는 여름철 냉방병을 유발할 수 있다. 냉방병은 장시간 한랭 환경에 노출됐을 때 생길 수 있지만, 기온 차가 높은 환경에서도 주의해야 한다. 냉방병은 흔히 지속적인 에어컨 가동을 통한 가벼운 감기, 두통, 근육통, 권태감, 소화불량 같은 증상을 일컫는 용어다. 엄밀히 말해 의학적인 질병은 아니라고 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뇌의 혈류량이 감소해 어지럽고 졸릴 수 있으며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원활한 장운동을 방해해 소화불량, 복통, 설사 등의 증상도 나타나며, 불균질한 근육 수축으로 근육통을 동반하기도 한다. 또 혈류의 변화로 얼굴과 손, 발에 냉감을 느끼거나 반대로 화끈거리는 열감을 느낄 수도 있다. 쉽게 피로감을 느끼는 것 역시 냉방병의 증후다. 체내에서 열 손실을 복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열을 생산하는데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이다.
◇ 극심한 기온 차, 면역력도 떨어뜨릴 수 있어
실내외 급격한 기온차는 면역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친다.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아내야 하는 면역력이 주변 온도에 끊임없이 신체를 적응시키고 몸 속 장기의 기능을 정상 범주로 올리는데 쓰이기 때문이다. 면역력 저하는 눈의 피로감과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에어컨 바람 자체도 눈에 악영향을 미친다.
냉방병을 예방하기 위해선 실내외 온도 차가 5~6도를 넘지 않도록 하고 2시간 간격으로 공간을 환기하는 것이 좋다. 또 기온차에 적응하느라 피로한 몸을 위해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기회복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