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 강박증 환자의 안구 움직임, (오) 일반인의 눈동자 움직임. 출처: 서울대병원
(좌) 강박증 환자의 안구 움직임, (오) 일반인의 눈동자 움직임. 출처: 서울대병원

'강박증'은 강박적 사고와 강박 행동을 보이는 정신질환이다. 예를 들어 '가스불을 안 잠그고 왔나?' 하는 생각이 끊임없이 떠오르는 것이 강박적 사고이며, 생각을 멈추지 못해 결국 집에 돌아가 가스불을 확인하는 것이 강박 행동에 해당한다. 이러한 행동은 누구에게나 나타날 수 있지만 보다 공격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강박 장애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강박증'은 왜 생길까? 강박증 환자는 일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고위 인지기능에 해당하는 '집행기능'의 손상으로 유발된다. 강박증은 정신적인 것 외에 외관상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아 면밀한 상담이나 검사를 통해서만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런데 최근 강박증 환자의 인지기능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돼 주목을 끌고 있다.

서울대병원 권준수, 김민아 교수팀은 눈의 움직임, 즉 '안구운동' 검사 만으로 강박증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연구진들은 104명의 강박증 환자와 114명의 일반인에게 복잡한 도형을 기억한 후 회상하는 '레이복합도형' 검사를 시행했다. 실험 대상자들이 3분 동안 도형을 보고 외우는 동안의 눈동자 움직임을 측정한 결과, 집행기능이 손상된 강박증 환자의 눈동자는 상대적으로 좁은 범위 내에 머물며 특정 구조에 집착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일반인의 눈동자는 보다 넓은 범위의 도형을 보면서 계획적인 암기를 하는 패턴을 띄었다.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정 생각이 반복되고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강박증 환자는 도형의 좁은 범위를 살피는 것처럼, 사소하고 세부적인 내용에 집착해 전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강박증을 측정하는 프로그램은 이러한 원리로 기능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을 개발한 김민아 교수는 "인지기능 손상은 강박증의 원인이자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중요한 요인이다"라며 이번 프로그램 개발이 "쉽고 빠르게 강박증 환자의 인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 검사 도구 개발의 발판이 될 것"이라 기대를 드러내기도 했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