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로 인한 눈물길 협착을 의심할 수 있다.

의지와 상관없이 이따금씩 눈물이 난다고? 바람만 스쳐도 눈물이 나는건 현대인의 만성질환인 안구건조증의 흔한 증상이라 가볍게 여기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눈물흘림증'은 눈물길폐쇄나 협착이 있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이를 치료하지 않으면 기타 안질환에 걸릴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차고 건조한 바람이 불 때 안구건조증으로 눈물이 흐를 수 있지만, 실내에서 눈물흘림이 일정 기간 계속된다면 '눈물길폐쇄'를 의심해 보아야 한다. 눈물길폐쇄는 다른 요인으로 눈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막혀있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한 눈물이 고여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말한다. 눈물길폐쇄는 노화로 인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전국의 눈물흘림증 환자 중 20대는 1.4%, 30대는 2.4%, 40대는 7.3%를 차지한 반면 50대, 60대, 70대는 각각 20% 이상의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눈물흘림증'의 위험증을 인지하고 있는 사람들은 10명 중 불과 3명 꼴로 나타났다. 눈물흘림증의 심각성은 물론 방치했을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서의 인식은 현저히 낮았다. 특히 나이가 많은 고령층일 수록 '눈물흘림증'을 노화의 당연한 현상이라 여기고 넘어갈 가능성이 높았다.

'눈물길폐쇄'로 인한 '눈물흘림증'을 제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 뿐 아니라 기타 안질환을 초래할 수 있다. 눈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는 '눈물흘림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눈물주머니에 '화농성 분비물'이 생겨 각종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또 오염된 손이나 수건으로 눈을 자주 비비면 결막염 및 눈물소관 염증에 걸릴 수 있으며, 눈 주변은 짓물러 피부염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눈물길폐쇄는 막힌 부분을 정확히 파악하고 수술로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다. 눈물길이 부분적으로 좁아진 경우 실리콘 관을 눈물길에 삽입해 눈물길을 넓혀주고, 코로 내려가는 눈물관이 막힌 경우 눈물길을 새로 만들어주는 수술을 시행해야 한다. 한 전문의에 따르면, 눈물길폐쇄 수술의 만족도는 꽤 높은 편이다.

이와같이 '눈물흘림증'이나 '눈물폐쇄증'과 비슷한 비슷한 증상이 의심된다면 방치하지 말고 즉시 안과를 찾는 것이 좋다. 숙련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수술 요법이나 적절한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