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바람 부는 겨울, 안구건조증 주의보

픽사베이
픽사베이

연말연시 각종 모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건강에도 적신호가 커지고 있다. 불규칙적인 식사와 잦은 음주는 신체의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안구건조증에 걸릴 위험 역시 높인다. 장시간 디지털 화면을 보는 환경에 노출된 현대인에게 안구건조증은 만성질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안구건조증에 걸리면 안구를 보호하는 눈물층이 부족해져 안구가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각종 바이러스나 기타 안질환에 걸릴 위험도 높아진다.

안구건조증은 하루 아침에 급격하게 완화되는 질환이 아니다. 안구건조증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평소 생활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최선이다. 하루종일 난방기기를 가동시키는 겨울철일 수록 2시간에 한번씩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거나 가습기를 사용하는 등 실내 습도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습기가 없다면 마른 수건을 널어두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디지털 화면에 노출된 시간을 줄이는 것이 좋다. 디지털 화면을 장시간 시청하면 눈깜빡임 횟수가 줄어 안구건조증이 악화될 수 있다.

영양 관리도 필수적이다. 눈에 좋은 식품이나 영양보조제를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상책이다. 안구건조증 환자가 피해야 할 대표적인 식품은 설탕이다. 설탕은 눈 건강에 꼭 필요한 칼슘과 비타민을 파괴하므로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 몸 속의 수분을 배출하는 카페인과 술 역시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킬 위험이 있다. 목 마를 때 커피보다는 물이나 이온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으며, 술을 먹은 다음날에는 갈증을 느끼기 전에 수시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빨간 육류와 밀가루도 안구건조증 환자가 피해야 할 식품이다. 돼지고기, 소고기 등 붉은 고기는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나쁜 지방이 다량 함유돼 있으며 밀가루의 글루텐 단백질은 알러지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밀가루로 만든 튀김류도 피할 것을 권한다. 나쁜 지방이 많은 음식은 원활한 혈액순환을 방해해 안구건조증에 치명적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