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석'이란 말을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우리 신체 내에는 여러 기관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이 쌓이면서 돌과 같은 덩어리인 '결석'이 생길 수 있다. 결석은 체내 분비물이 '칼슘'이나 '인'과 만나면서 발생한다.
'결막결석'은 안구를 덮는 눈꺼풀 안쪽인 결막에 '돌'이 생기는 안질환이다. '결막결석'은 위에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처럼 까끌까끌한 느낌과 뻑뻑함 등을 동반한다. 그러나 눈을 비비면 안구분비물인 결석이 각막에 상처를 생내면서 2차 안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결막결석'은 왜 생길까? 눈꺼풀 안쪽에는 안구에 필요한 기름과 분비물을 방출하는 기름샘이 위치한다. 그런데 눈이 청결하지 않거나 노폐물이 기름샘 구멍을 막으면 기름샘이 정상적으로 분비물을 배출하지 못해 덩어리가 쌓인다. 이렇듯 덩어리가 지속적으로 쌓이면서 형성된 결석은 '각막'과 '결막'에 손상을 일으킬 확률이 높다.
평소 눈화장을 자주하는 여성이나 안구건조증 환자, 결막염에 걸린 사람 등이 결막결석에 걸릴 확률이 높다. 결막결석에 걸리면 안약으로 점안을 마취한 뒤, 결석을 긁어내는 방법으로 제거한다. 그러나 결석이 있다고 전부 제거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결석이 결막을 뚫고 나왔을 때 제거한다.
'결막결석'은 재발 우려가 있는 안질환으로, 평소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한 예방이 최선이다. 인공눈물을 하루 3~4회 정도 사용해 안구를 청결하게 하고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결막결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기름샘이 분비물을 정상적으로 생성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온찜질로 기름샘을 주기적으로 청소하는 것도 방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