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한 햇살과 싱그러운 녹음. 만물이 생동하는 봄은 반갑지만, 봄을 맞아 찾아오는 불청객만은 반갑지 않다. 황사, 꽃가루, 미세먼지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렇듯 봄의 불청객 황사와 미세먼지와 함께 겨울철보다 강해진 햇살, 다소 건조한 날씨 등은 피부 건강은 물론 눈 건강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다. 안구건조증은 물론, 알레르기성 각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좋다.
외출 시 피부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되지만 눈에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수 없다. 강한 햇빛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전자화면에서 나오는 블루라이트 못지 않게 유해하다. 자외선이 눈 안으로 흡수되면 활성산소를 만들어 안구의 노화를 촉진시킨다. 또 단백질로 이뤄진 조직인 수정체는 자외선에 일정 시간 이상 노출됐을 때 변성을 일으킬 수 있다. 자외선이 수정체를 통과하면 칼슘염이 쌓이고 이로 인해 백내장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세계보건기구의 통계에 따르면, 세계인의 실명 원인의 절반 이상은 백내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도 백내장의 발병 원인이 '장시간 자외선 노출'인 경우는 약 20%의 비율로 추정된다. 백내장에 걸리면 시력이 감퇴되고 물체가 여러개로 보이며 빛퍼짐, 눈부심 등이 나타나며 동공 또한 뿌옇고 혼탁해진다.
자외선으로 인한 안질환은 이밖에도 ‘광각막염’, ‘검열반’ 등이 있다. 광각막염은 자외선에 화상을 입어 생기는 질환으로 눈이 빨갛게 충혈되고 이물감이 느껴지는 증상을 동반한다. 검열반은 안구 손상으로 인해 하얗거나 노란색 덩어리로 결막이 혼탁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이렇듯 자외선으로 인한 안구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외선이 강한 시간대에 외출 시, 가급적 모자나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 좋다. 또 눈이 건조할 때 이물질이 끼게 되면 각막이 손상될 확률이 높아진다. 눈에 작열감이나 피로감이 들면 수시로 인공눈물을 점안해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