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내장은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한 질환이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녹내장'은 퇴행성 안질환 중 하나로 '백내장', '황반변성'과 함께 3대 실명 질환으로 불린다. 그중에서도 특히 녹내장은 시력 이상이나 이상 징후가 나타나는 백내장, 황반변성에 비해 초기 증상이 미미해 알아채기 어려워 '소리없는 시력 도둑'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녹내장은 왜 생길까? '녹내장'은 시신경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에 장애가 생겨 시신경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것이다. 녹내장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노화'로 인한 변성과 '안압 상승'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안압이 상승하는 이유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중년 여성에서 많이 발생하는 '급성폐쇄각녹내장'은 노화로 인해 두꺼워진 수정체가 눈의 하수구(섬유주)를 압박하고 막으면서 발병한다. 또 '당뇨망막병증'과 '포도막염'도 녹내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오랜 기간 당뇨를 앓았을 경우 당뇨합병증으로 섬유혈관 조직이 섬유주를 덮게 되면 안압이 높아지며, 포도막염에 걸려 눈에 만성적 염증이 생겨도 섬유주가 망가져 안압이 올라갈 수 있다.

◇ 녹내장, 꼭 '높은 안압'이 원인이 되지는 않아...

그러나 안압이 낮다고 해서 녹내장으로부터 안심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흔하지는 않지만 안압이 정상 범위에 있어도 시신경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정산안압녹내장'은 안압 외에도 고혈압, 당뇨 등과 같은 성인병이 원인이 된다. '정상안압녹내장'은 서양보다 동양인에게서 월등히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녹내장 환자는 2016년에 약 80만명으로 집계되었으나 2020년엔 무려 만 명대로 증가하는 등, 그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녹내장은 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고 병증이 꽤 진행된 후에야 시야가 흐릿해지는 등의 징후가 나타나, 자칫 실명에 이를 가능성이 높다.

녹내장은 발견 후 치료를 하더라도 이미 손상된 시신경의 기능을 회복하기 보다 손상의 진행을 늦추는 정도로 시행된다. 다른 질환 보다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한 이유다. 안구 노화가 시작되는 40대 이상이거나,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의 질환을 앓고 있다면 6개월~1년에 1회 씩 정기적인 안검진을 통해 녹내장 유무를 파악하는 것이 좋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