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시의 비정상적 증가’
난시는 근시 또는 원시에 비하여 큰 변화가 없다. 따라서 난시량이 크게 변화되는 것 자체가 비정상적이다. 물론 각막을 누르고 있는 상안검의 힘이 노화에 의하여 약해져서 각막의 형태가 변화하기 때문에 난시의 정도와 방향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그 양이 크지 않으며 서서히 진행된다.
① 콘택트렌즈에 의한 난시의 증가
콘택트렌즈, 특히 하드 타입의 렌즈를 무리하게 사용할 경우에는 난시가 발생하거나 변화될 수 있다. 난시의 변화는 직난시(with-the-rule)가 증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각막 일그러짐에 따라 불규칙(irregular) 또는 사축(oblique axis) 난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콘택트렌즈에 의해서 발생된 난시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증상이 적은 편이다. 가장 흔한 증상은 눈에서 콘택트렌즈를 제거하고 안경을 사용했을 때 흐림을 느끼는 것이다. 때로는 rgp 렌즈 사용자에게 검영법을 시행할 때, 렌즈가 각막을 누른 자국이 보일 수도 있다. 콘택트렌즈가 난시를 유발한 경우에는 자각적 굴절검사에 어려움이 따른다. 콘택트렌즈 사용에 따른 난시는 원추각막의 초기 증상과 비슷할 수도 있으니 구분해야 한다.

기존에 거의 없었던 난시가 rgp 렌즈의 사용 후 늘어났다면 일단 콘택트렌즈의 사용을 줄이고 안경을 사용하도록 유도한다. rgp 렌즈는 각막 일그러짐을 줄일 수 있는 디자인으로 다시 맞춰준다. 예를 들면 안검에 걸치는 맞춤(lid-control fit)보다는 렌즈의 두께를 얇게 하고 안검피내(intrapalpebral) 맞춤(안검 내로 들어가지 않는 렌즈 맞춤)을 시도해서 각막이 회복될 수 있도록 한다.
② 안검의 질환
안검의 종괴는 그 크기와 위치에 따라 난시를 유발할 수 있다. 보통 두 가지 상황을 많이 얘기하는데 첫째는 마이봄샘 막힘(meibomian gland obstruction, 산립종)이고 둘째는 유아성 혈관종(infantile hemangioma)이다. 안검의 종괴가 난시의 발생과 시각에 영향을 주고, 특히 유아성 혈관종의 경우는 약시와도 연관되지만, 외관상 드러나는 종괴에 대한 안과검사와 치료가 우선이다.
③ 원추각막(keratoconus)
원추각막은 보통 양안에서 모두 발생한다. 원인은 불명확하며, hartstein처럼 하드 콘택트렌즈의 사용이 원추각막을 발달시킨다고 하는 주장도 있었지만 그것을 원인으로 봐야할 것인지 아니면 이미 진행 중이던 원추각막을 자극한 결과일 뿐인지가 명확하지 않다. 원추각막이 많이 진행되면 각막이 하안검과 맞닿으면서 드러나는 문슨 징후(munson's sign)를 직접 관찰할 수 있다.
난시가 심해지는 것이 원추각막 때문이고, 각막의 일그러짐이 심하다면 안경으로는 시력이 잘 교정되지 않는다. 원추각막에서는 교정시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를 선택한다. 이때 두꺼운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선택할 수도 있지만 보통은 매끄러운 굴절면을 제공해줄 수 있는 rgp 렌즈 쪽을 선택한다. rgp 렌즈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8.5∼9.5mm)의 맞춤형 렌즈를 선택하는데 일명 3-point touch fitting(apical clearance)이 기본이다. 이때 시험용 렌즈와 플루오레세인(fluorescein)을 사용해서 렌즈의 정점 쪽이 주변부와 마찬가지로 잘 눌리는 렌즈 형상을 찾아간다. 검사를 반복하며 시력이 가장 잘 나오면서 검사받는 사람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해부상 맞춤(anatomic fit)을 시도한다.
원추각막과 별개로 주변부 각막변성(marginal corneal degeneration)도 난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질환이지만 여기서는 다루지 않는다. 또한 눈 수술 후 또는 익상편(pterygium)와 같은 경우도 역시 난시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들이다. 눈 수술이나 익상편에서 난시가 발생되는 원인은 명확하다. 따라서 굴절검사를 시행한 후에 적절한 안경 또는 콘택트렌즈를 처방해준다.
이지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