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와인 VS 미국 와인

국내 안경업계에서 와인과 차() 마니아로 잘 알려진 김성덕 안경사(경기도 시흥 샤론안경). 김 안경사는 기업체 와인 강의까지 할 정도 와인에 대한 조예가 깊다. 그가 평소에 갖고 있는 와인에 대한 철학과 와인 종류 등 쉽고 재미있는 와인 이야기를 본지를 통해 풀어 놓는다.

프랑스 와인이 좋을까요? 미국 와인이 좋을까요테스트를 해보았습니다.

파리에서 와인 중계업을 하던 영국인 스티븐 스퍼리어가 1976년 미국독립 200주년을 기념하여 프랑스와 미국 와인의 비교 시음회를 제안합니다.

눈을 가리고 아니 라벨을 가리고, 10명의 심사위원을 정해서 블라인드 테스트를 했죠. 심사위원은 전원 프랑스인 이었을 뿐만 아니라 프랑스 와인계의 거물들이었습니다.

미국 와인이 감히 프랑스 와인에게 도전을 해? 이 기회에 확실하게 프랑스 와인의 우수성을 증명 해주겠노라고 공언을 합니다. 선별된 와인의 라벨을 가리고 와인에 대한 어떠한 사전정보도 차단하고 심사위원들의 시음 점수를 합산하여 최고급 와인을 선정 했습니다.

시음회는 화이트 와인 10, 레드 와인 10종의 순서로 진행 되었습니다. 결과가 나오자 프랑스 심사위원은 물론 전 세계 와인 업계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화이트 와인과 레드 와인의 평가 결과 모두 1위가 미국이었고, 한 심사위원이 지목한 위대한 프랑스 와인은 미국의 캘리포니아산이었고 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캘리포니아 산이라 확신한 와인은 프랑스 최고급 몽라쉐 와인이었습니다.

프랑스 언론에서는 쉬쉬하며 덮으려 했지만 미국과 세계 언론에서는 당연히 대서특필 했습니다. 미국에서는 심지어 이 사건으로 와인 미라클이라는 영화까지 만들었습니다. 위대한 프랑스 와인은 주장에 불과한 셈이었습니다. 결과로 검증을 하지 못했으니까요. 10년 후 프랑스는 재도전을 합니다. 놀랍게도 미국 와인이 다시 승리합니다.

프랑스인은 떼루와(햇빛, 토양, , 바람 등)가 와인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친다고 하지만 미국, 칠레, 호주, 아프리카 등 신대륙 와인들은 양조 기술이 결정적이라고 말합니다. 판단은 각자 하시리라 믿습니다.

한국의 안경이 좋을까요. 프랑스안경이 좋을까요. 가성비만 따지면 국산이 우수할겁니다. 그러면 디자인은 어떨까요. 제 생각에는 좀 더 신경 써야합니다. ‘바우하우스들어보셨죠? 칸딘스키, 파울 클레, 요하네스 이텐 등 현대미술사의 거장들이 건축 공예 조형 등 예술교육을 담당했던 독일의 공예 예술학교입니다.

독일 안경들 좋습니다. 광학적 미학적 예술적 특성들을 잘 담아냈습니다. 인문, 철학, 음악, 미술, 건축 등 그 분야의 끝판왕은 가히 감탄할 만합니다. 정상의 기업이나 제품들은 끊임없이 조사 연구합니다.

한국의 안경산업 역시 많이 반성해야 합니다. 그저 카피하고 적당히 만들어서 덤핑하고 이런 관행은 없어져야 합니다. 누군가 특허를 내고, 실용신안 낸 것을 복사해서 적당히 유통하는 행태. 연구나 노력은 하지 않으면서 일년도 안되서 권리금 받고 넘길 생각부터 하고 사업하는 마인드 바꿔야 합니다. 세상은 글로벌화된지 오래 되었고, 업종별 장벽이 무너진 지도 한참 지났습니다. 크로스 오버 시대가 모든 장르를 망라합니다. 사업적 문학적 예술적 비밀이나 노하우는 옛말입니다. 일례로 전기 자동차의 선두 업체인 테슬라는 자신들의 특허의 모든 과정을 공개합니다. 음악의 음원도 마찬가지죠. 글을 쓰고 책을 내는 경우도 다 비슷합니다. 지식의 수평화 보편화 민주화가 돼 버렸습니다.

와인 프랑스가 최고라고요? 이미 신화는 깨졌습니다. 물론 무시 못 합니다. 막연히 좋다고 선전하는 것은 위선일지도 모릅니다. 세상에는 이런저런 훌륭한 와인 들이 정말 많이 있습니다. 그러면 어떤 와인이 가장 좋을까요? 그것은 바로 지금 내가 마시는 와인입니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