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저커버그, 시제품 공개 컨퍼런스… 연결선 없고 무게 100g 미만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보유한 메타(META)가 스마트폰을 이을 차세대 스마트안경 오라이언(ORION)을 최근 공개했다. 메타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미 캘리포니아주 멘로파크 본사에서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커넥트 2024’를 열고 오라이언을 첫 공개했다.


새로운 증강현실(AR) 스마트안경인 오라이언은 블랙의 두꺼운 뿔테 형태로 디자인 됐으며 안경처럼 쓰면서 문자 메시지는 물론, 화상 통화, 유튜브 동영상까지 볼 수 있다. 또 오라이언은 이용자 시야에 표시할 수 있는 마이크로 렌즈가 장착돼 프로젝터를 통해 3D 이미지를 투사시켜 홀로그램의 증강 현실 기능이 구현된다. 이용자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손목 밴드와 눈의 운동을 추적하는 내장된 카메라를 통해 손으로 디스플레이를 클릭하거나 스크롤 할 수 있다.

 

이날 무대에 올라 직접 오라이언을 소개한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지금까지 AR에 대한 모든 시도는 헤드셋, 고글, 헬멧이었다”며 “오라이언이 스마트폰 다음의 컴퓨팅 디바이스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안경 형태가 필요했다. 오라이언은 머리에 쓰는 헤드셋이 아니다. 연결선도 없고 무게도 100그램이 안된다. 손으로 조종한다고 손을 휘저으며 다니고 싶진 않을 것이다. 신호를 뇌에서 바로 기계로 보내는 장치가 그래서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오라이언은 현재까지 AR 글래스 형태에서 가장 넓은 시야각을 제공한다. 시야각은 멀티태스킹 창과 대형 스크린 엔터테인먼트부터 실물 크기의 사람 홀로그램에 이르기까지 모든 디지털 콘텐츠를 실제 세계와 매끄럽게 혼합할 수 있는 진정한 몰입형 시스템이다. 오라이언이 특별한 이유는 투명 렌즈로 완성된 기존 안경과 디자인이다. 오늘날 MR 헤드셋이나 다른 AR 안경과 달리 다른 사람의 눈과 표정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과 함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것도 특징이다. 

오라이언을 미리 착용해본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머리를 움직여도 화면이 잘 따라오고 밝기나 색상 대비도 탁월하다”고 만족해 하기도 했다.

 

메타는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밝혔다. 더욱 선명한 비주얼을 위한 AR 디스플레이 품질 조정과 품 팩터를 더욱 작게 만들기 위한 작업,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키 위한 대규모 생산라인 구축 등의 상세한 플랜을 공개했다. 이날 공개한 오라이언은 상용화 하기 위한 디테일한 조정 작업을 거친 뒤 3년 뒤에 시판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메타는 2021년부터 에실로룩소티카와 함께 카메라와 스피커가 장착된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를 판매해 오고 있다. 오라이언은 통화와 이미지·동영상 등 촬영이 가능한 레이밴보다 한층 진화한 AR 기능이 구현되는 기기로 메타 자체적으로 약 10년 동안 개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를 비롯한 구글, 애플 등이 스마트안경 개발과 시제품 공개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폰에 이은 스마트안경으로 인한 디지털 혁명이 또 다시 이러날 수 있을지 안경업계를 비롯한 전세계인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