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1024명 대상 2025년도 신년 경영 실태조사 결과발표
작년 월평균 영업이익 300만원이하 다수… “정부 금융지원확대 절실”
소상공인 10명 중 7명은 지난해 경영성과가 나빴다고 평가했으며, 올해 경영성과 전망도 지난해와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22일 소상공인연합회(회장 송치영·이하 소공연)는 ‘2025년도 소상공인 신년 경영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새해를 맞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경영성과와 전망, 필요 정책 등을 파악하기 위해 진행됐다. 조사는 이달 15~19일까지 5일간 온라인으로 진행됐으며, 음식·숙박업, 도·소매업, 개인서비스업 등에 종사하는 전국 일반 소상공인 총 1024명이 참여했다.
전체 응답자의 69.2%는 지난해 경영성과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매우 나쁨’은 38.6%, ‘다소 나쁨’은 30.6%라고 응답했다. 경영성과가 부진한 이유로는 ‘경기 악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81.9%)’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부채 증가 및 금리 인상에 따른 금융비용 부담(39.3%) △고물가에 의한 원부자재, 재료비 등 가격 인상(37.9%)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영성과 전망도 ‘다소 악화될 것(36.8%)’, ‘매우 악화될 것(29.2%)’으로 조사돼 전체 응답자의 66.0%는 부정적으로 바라봤다. 다가올 설 명절 특수에 대한 기대감도 낮았다. ‘다소 부정적(34.7%)’, ‘매우 부정적(34.6%)’으로 조사돼 응답자의 69.3%가 비관적인 입장을 취했다.
소상공인은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의 금융지원 확대를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꼽았다. 소상공인 주요 정책 가운데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추경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의 92.3%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어 △신용카드 소득공제율 및 한도 확대(86.2%) △착한 선결제 운동 전개 등 소상공인 경기부양 캠페인(70.1%)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확대(68.9%) △온누리상품권 사용처 확대(67.4%) △정부의 소상공인 할인 행사 및 지역축제 확대(65.7%)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소상공인 월평균 영업이익은 ‘300만원 이하’가 64.5%로 가장 많았으며, ‘100만원 이하’가 23.6%, ‘100~200만원 이하’가 21.4%, ‘200~300만원 이하’가 19.5%로 조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