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부스 운영… 교류방안 모색도
OVDRA Korea 국제지부,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학술대회 특별세션 초청
OVDRA Korea 국제지부(한국시기능훈련교육협회·이사장 신효순)는 ‘피질시각장애’와 관련된 분야로 넓히며 협회의 권위와 당위성을 높여가고 있다.
OVDRA Korea 국제지부는 최근 서울 여의도에서 개최된 제44차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학술대회의 특별세션에 초대, 발표를 통해 시기능훈련과 관련된 사례를 소개하며 큰 호응을 얻었다.
이번 학술대회는 ‘시각의 뇌, 뇌의 시각: 피질시각장애(Cortical Visual Impairment/ CVI)의 이해 및 지원 전략’을 주제로 진행됐으며 국내에서는 드물게 CVI를 임상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는 권위있는 행사다.
신효순 이사장은 특별세션에서 ‘동안신경마비로 인한 어지럼증과 복시에 대한 시기능재활 사례연구’를 발표했다. 내용은 뇌신경 손상으로 복시·균형 문제를 시기능재활로 개선한 임상사례들을 소개했다. 이어 저시력분과에서는 윤정호 국제이사가 ‘저시력 아동 시기능훈련’ 사례를 발표하며 학습 접근성과 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훈련 전략을 공유하기도 했다.
시각중복장애 분과에서는 전귀옥 학술이사가 ‘CVI 아동 시기능훈련의 필요성과 효과’를 주제로 중복장애를 동반한 CVI 아동의 맞춤형 시기능훈련 사례를 발표해 박수를 받았다.
해외에서는 이미 CVI 지원체계가 제도화된 상황. 미국 매사추세츠주의 경우 법적으로 실명 판정을 받으면 시력뿐만 아니라 기능시각 평가를 의무적으로 포함해 30일 이내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런 제도는 CVI 아동을 위한 교육·재활 지원을 위해 시기능평가의 필요성을 명시하는 것이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반복적이고 구조화된 훈련으로 가정과 학교, 전문기관이 공동으로 일관된 전략을 핵심 원칙으로 삼아 CVI 아동에게 의미있는 시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시각 발달과 시각을 사용하도록 돕는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사)한국영아발달조기개입협회, (사)한국시각장애인가족협회 등 관련 단체 관계자 및 자녀가 CVI인 학부모도 다수 참석한 만큼 국내에서도 관심과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OVDRA Korea 국제지부는 회원 15명이 참석해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학회 참가자들에게 시기능훈련 관련 서적 등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OVDRA Korea 국제지부와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가 국내 CVI 및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지원 방안을 적극적으로 교류하면서 해외 선진사례를 토대로 국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지원방향을 모색한 의미있는 자리로 마무리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