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피팅기준점, 원용도수 측정기준점 및 최소 피팅높이의 분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pal 가운데 본 연구에서 수집한 국내 제품 12종과 외국제품 22종(원용 plano, 가입도 +2.00d, 우안용 렌즈)의 피팅기준점은 수평기준선으로부터 위쪽으로 6mm(3종), 4mm(15종), 3mm(1종), 2mm(13종) 및 0mm(2종)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고(평균 3.15±1.48mm), 원용도수 측정기준점은 수평기준선으로부터 위쪽으로 9mm(3종), 8mm(24종), 7mm(2종), 6mm(3종), 5mm(1종) 및 0mm(1종)에 위치하였다(평균 7.53±1.58mm).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최소 피팅높이는 평균 16.88±1.87mm였으며, 20mm(4종), 18mm(12종), 17mm(1종), 16mm(12종), 15mm(1종), 14mm(3종) 및 12mm(1종)로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2. 명시범위의 측정
동공과 일치하는 피팅기준점에서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정면을 똑바로 바라볼 때 수평경선에서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원거리 시야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안경 처방이나 굴절검사는 0.25d 단계로 이루어지며, 착용자가 원거리 사물을 볼 때 0.25d 정도 초점이 맺지 않으면 흐리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5), 본 연구에서 원용부 명시범위는 구면도수 0.25d나 원주도수 0.50d 이내인 부위로 제한하였다.
(1) 원용부 명시범위
피팅기준점에서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3.33mm, 최대 21.50mm, 평균 8.67±3.64mm였고, 피팅기준점 위쪽 1mm 높이에서 명시범위의 폭은 최소 5.83mm, 최대 28.67mm, 평균 11.51±4.38mm였으며, 아래쪽 1mm 높이에서 명시범위의 폭은 최소 0mm, 최대 18.50mm, 평균 5.87±4.00mm였고, 아래쪽 2mm 높이에서 명시범위의 폭은 최소 5.83mm, 최대 28.67mm, 평균 11.51±4.38mm였다.
figure 4. width of the distance power(within ±0.25ds and less than 0.50 dc) at fitting cross(0mm), above(-1mm) and below(1 and 2 mm) the fitting cross. not all lenses had distance area at 1 and 2 mm below fitting cross. lenses sorted by width at fitting cross.
모든 렌즈에서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위쪽 1mm 높이에서 원용부 명시범위가 존재하였으나, 피팅기준점에서는 2종의 렌즈가 명시범위를 보이지 않았고, 피팅기준점 아래 1mm 높이에서는 4종의 렌즈가 명시범위를 보이지 않았으며, 아래 2mm 높이에서는 23종만 명시범위가 존재하였고, 아래 3mm 높이에서는 9종만 명시범위가 나타났으며, 아래 4mm 높이에서는 2종만 명시범위가 나타났다.
fig. 4는 피팅기준점 위쪽 1mm, 피팅기준점, 아래쪽 1mm 및 아래쪽 2mm 높이에서 렌즈별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을 나타내고, 피팅기준점에서 명시범위의 폭이 가장 넓은 렌즈부터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원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은 최소 9.17mm², 최대 91.25mm²(평균 30.57± 17.20mm²)였다. fig. 5에 원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이 가장 넓은 렌즈부터 순서대로 정렬하였다.
figure 5. area of lens with distance power (with less than 0.25ds and less than 0.50dc) from 1.5mm above the fitting cross to lowest level of distance power.
figure 6. width of the intermediate zone (0.50dc limits) at add powers of +0.75d, +1.00d, +1.25d and +1.50d. lenses sorted by width at add power of +1.25d.
(2) 중간거리부 명시범위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원주도수가 0.50d 이내인 부위로 제한하였고, 가입도 +0.75d, +1.00d, +1.25d 및 +1.50d가 처음 시작되는 위치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가입도 +0.75d 부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2.83mm, 최대 5.24mm, 평균 3.62±0.54mm였고, +1.00d 부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2.52mm, 최대 5.06mm, 평균 3.53±0.60mm였다. +1.25d 부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2.17mm, 최대 4.96mm, 평균 3.52±0.70mm였으며, +1.50d 부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2.08mm, 최대 7.42mm, 평균 4.14±1.01mm였다. 가입도 +1.25d 부위의 수평방향 폭을 기준으로 가장 넓은 렌즈부터 순서대로 정렬하였다(fig. 6).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면적은 가입도 +0.75d에서 +1.50d까지 3등분하여 +0.75d와 +1.00d, +1.00d와 +1.25d 및 +1.25d와 +1.50d 부위에 대하여 수직방향에서 1mm 간격으로 측정한 수평방향 명시범위의 폭을 합하여 면적을 구하고, 3가지 부위의 면적을 합하여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전체 면적을 구하였다.
가입도 +0.75d와 +1.00d 부위의 면적은 최소 3.08mm², 최대 16.20mm², 평균 6.76± 2.69mm²였고, +1.00d와 +1.25d 부위의 면적은 최소 3.96mm², 최대 15.62mm², 평균 6.45±2.46mm²였으며, +1.25d와 +1.50d 부위의 면적은 최소 2.08mm², 최대 11.62mm², 평균 6.35±2.20mm²였고, 전체 면적은 최소 10.52mm², 최대 41.21mm², 평균 19.56±6.38mm²였다.
fig. 7은 가입도 +0.75d에서 +1.50d까지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면적을 가장 넓은 렌즈부터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figure 7. area of intermediate power (+0.75d to +1.50d add and less than 0.50dc) in mm².
(3) 근용부 명시범위
피팅기준점에서 아래쪽으로 구면도수 +1.75d와 +2.00d가 처음 발견되는 높이를 측정하였다. +1.75d가 처음 나타난 거리는 최소 10.35mm에서 최대 18.16mm(평균 13.53±2.02mm)였고 +2.00d가 처음 나타난 거리는 최소 11.92mm에서 최대 21.82mm(평균 16.99±2.60mm)였다. 모든 렌즈의 공칭 근용 가입도는 +2.00d였지만 7종은 측정범위에서 +2.00d가 나타나지 않았다.
fig. 8은 피팅기준점으로부터 가입도 +1.75d와 +2.00d가 각각 처음 나타난 거리를 나타낸 것이며, 가입도 +1.75d가 나타난 거리가 가장 긴 렌즈로부터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figure 8. first distance along corridor (descending from fitting cross) at which +1.75d and +2.00d additions occur - sorted by +1.75d data. not all lenses achieved +2.00d add.
가입도 +1.75d 부위에 대하여 피팅기준점에서 아래로 15mm, 17mm, 19mm 및 21mm 떨어진 곳에서 각각 원주도수 0.50d로 제한시킨 수평방향 명시범위의 폭을 측정하였다.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15mm 아래에서 최소 0mm(나타나지 않음)와 최대 8.50mm(평균 4.44±2.79mm)였고, 6종은 +1.75d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17mm 아래에서는 최소 0mm(나타나지 않음)에서 최대 12.00mm(평균 6.81±2.67mm)였고 2종에서는 +1.75d가 나타나지 않았다. 19mm 아래에서는 최소 5.50mm에서 최대 15.08mm(평균 8.75±2.06mm)였고, 21mm 아래에서는 최소 5.83mm에서 최대 17.50mm(평균 9.75±2.40mm)였다.
피팅기준점 아래 19mm를 기준으로 근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을 가장 넓은 것부터 차례로 정렬하였다(fig. 9).
figure 9. width of the near area(+1.75d add or greater and less than 0.50dc) at 15, 17, 19, and 21mm below the fitting cross - sorted by width at 19mm. not all lenses had near zone width at all distances below fitting cross.
figure 10. cumulative area(mm²) of the +1.75d add to 15.5, 17.5, 19.5 and 21.5mm from the fitting cross, sorted by cumulative area to 19.5mm from fitting cross. not all lenses had cumulative areas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distances below the fitting cross.
가입도가 +1.75d 이상이며 원주도수가 0.50d 이내인 근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을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75d가 처음 나타난 곳부터 15.5mm, 17.5mm, 19.5mm 및 21.5mm까지 구분하여 각각 구하였다.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5.5mm까지 근용부 면적은 최소 0mm²(나타나지 않음)에서 최대 8.50mm²(평균 4.44±2.79mm²)였고 17.5mm까지는 최소 0mm²에서 최대 30.92mm²(평균 16.90±8.22mm²)였다. 19.5mm까지는 최소 7.58mm²에서 최대 59.75mm²(평균 33.46±12.25mm²)였고 21.5mm까지는 최소 26.58mm²에서 최대 111.25mm²(평균 62.31±18.07mm²)였다.
fig. 10은 각 부위에서 근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을 나타낸 것이며,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9.5mm까지 면적이 가장 넓은 렌즈부터 차례로 정렬한 것이다.
(4) 최대 비점수차
데이터 파일로부터 구한 주변부에서 최대 비점수차는 최소 -1.91d에서 최대 -3.56d(평균 -2.32±0.37d)였으며, 비점수차가 가장 큰 렌즈부터 차례로 정렬하였다(fig. 11).
figure 11. highest magnitude of unwanted astigmatism measured on the lens.
정담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