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유용성 평가

(1) 원용부 유용성 평가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과 면적을 점수로 환산하고 이들 값의 평균을 구하여 각 렌즈의 원용부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원용부 폭의 유용성은 눈이 렌즈의 주변부를 사용하기 위해 회전하는 정도와 관계가 있다. 수직보다 수평방향의 안구움직임이 더 많이 사용되므로(운전, 컴퓨터 작업 및 독서 등), 수직보다 수평성분의 가중치를 더 크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면적은 명시범위의 높이와 폭을 곱하여 계산했다. 피팅기준점에서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0mm일 때 0점부터 20mm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고, 면적은 0mm2일 때 0점부터 90mm2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다.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15.2점과 최대 97.7점, 평균 39.6±16.9 점이었고, 면적은 최소 10.2점과 최대 101.4점, 평균 34.0±19.1점이었으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12.7점과 최대 99.6점, 평균 36.77±17.84점이었다.
table 2는 각 렌즈의 원용부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2) 중간거리부 유용성 평가
가입도 +1.25d 부위에서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평균 폭과 면적을 점수로 환산하고 이들 값의 평균을 구하여 각 렌즈의 중간거리부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원용부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직보다 수평방향으로 안구움직임이 더 많이 사용되므로(운전, 컴퓨터 작업 및 독서 등), 수직보다 수평성분의 가중치를 더 크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면적은 높이와 폭을 곱하여 계산했다.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1mm일 때 0점부터 6mm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고, 면적은 10mm2일 때 0점부터 60mm2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다.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17.4점과 최대 98.0점, 평균 56.8±20.4 점이고, 면적은 최소 9.4점과 최대 85.8점, 평균 38.4±18.4점이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19.9점과 최대 82.0점, 평균 46.3±15.0점이었다.

최대 비점수차는 -3.75d일 때 0점부터 -1.75d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고, table 1에서 비점수차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은 렌즈부터 차례로 정렬시켰다.

(3) 근용부 유용성 평가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6mm, 18mm, 22mm 및 26mm 떨어진 곳에서 가입도가 +1.75d 이상인 부위의 평균 수평방향 폭과 면적을 점수로 환산하고 이들 값의 평균을 구하여 각 렌즈의 근용부에 대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원용부와 동일한 기준으로 수직보다 수평 안구움직임이 더 많이 사용되므로(운전, 컴퓨터 작업 및 독서 등), 수직보다 수평성분의 가중치를 더 크게 하였고, 면적은 높이와 폭을 곱하여 계산했다.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0mm일 때 0점부터 15mm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고, 면적은 0mm2일 때 0점부터 100mm2일 때 100점까지 비례하여 환산하였다.

피팅기준점 아래 16mm에서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0과 최대 69.4점이고 평균 37.7±19.5점이었으며, 면적은 최소 0점과 최대 18.9점이고 평균 10.1±5.7점이었으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0점과 최대 44.2점이며 평균 23.9±12.6점이었다. 피팅기준점 아래 18mm에서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11.1점과 최대 91.7점이며 평균 52.0±16.0이었고, 면적은 최소 1.7점과 최대 44.7점이고 평균 24.7±10.5점이었으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6.4점과 최대 68.2점이며 평균 38.4±13.1점이었다.

피팅기준점 아래 22mm에서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16.1점과 최대 120점이고 평균 65.1±19.1점이었으며, 면적은 최소 26.6점에서 최대 111.3점이고 평균 62.3±18.1점이었으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27.9점에서 최대 115.6점이고 평균 63.7±17.5점이었다. 피팅기준점 아래 26mm에서 수평방향의 폭에 대한 점수는 최소 0점에서 최대 121.1점이고 평균 50.0±35.3점이었고, 면적은 최소 39.8점에서 최대 172.8점이고 평균 96.3±29.5점이었으며,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최소 19.1점에서 최대 128.9점이고 평균 73.2±30.2점이었다.

table 2는 각 렌즈의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6mm, 18mm, 22mm 및 26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순서대로 정렬한 것이다.

(4)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결합 및 중간거리부와 근용부 결합의 유용성 평가

원용부와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에 대한 평균 점수 및 중간거리부와 근용부 유용성에 대한 평균 점수를 구하여 각 렌즈의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및 중간거리부와 근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피팅기준점으로부터 22mm 떨어진 곳을 적용하였고, 주변부 비점수차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와 비점수차를 25% 가중시킨 상태에서 각각 평가하였다.

주변부 최대 비점수차를 고려하지 않았을 때 원용부와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킨 점수는 최소 16.5점에서 최대 78.4점(평균 42.2±13.6점)이었고 중간거리부와 근용부의 유용성을 결합시킨 점수는 최소 37.2점에서 최대 80.7점(평균 55.6±11.2점)이었다. 비점수차를 25% 가중시켰을 때 원용부와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킨 점수는 최소 21.7점에서 최대 75.45점(평균 49.6±11.8점)이었고 중간거리부와 근용부의 유용성을 결합시킨 점수는 최소 40.86점에서 최대 76.69점(평균 59.64±8.7점)이었다(table 3).

(5)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 결합과 원용부와 근용부 결합의 유용성 평가

누진가입도렌즈의 일반적인 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를 결합시킨 상태와 원용부와 근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8mm와 22mm 떨어진 곳에서 각각 별도로 적용하였다.

피팅기준점 아래 18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켰을 때 최소 24.5점에서 최대 58.4점이고 평균 40.9±6.6점이었으며, 원용부와 근용부만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24.8점에서 최대 59.0점이고 평균 37.6±7.3점이었다. 피팅기준점 아래 22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31.4점에서 최대 65.3점이고 평균 49.4±8.2점이었으며, 원용부와 근용부만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24.9점에서 최대 69.3점이고 평균 50.2±9.4점이었다.

table 4는 근용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결합시켰을 때와 원용부와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결합시켰을 때 렌즈의 유용성을 차례대로 정렬시킨 것이다.

(6) 비점수차를 고려한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 결합과 원용부와 근용부 결합의 유용성 평가

비점수차를 고려한 상태에서 누진가입도렌즈의 일반적인 용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및 근용부를 결합시킨 상태와 원용부와 근용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각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는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로 18mm와 22mm 떨어진 곳에서 각각 별도로 적용하였고, 비점수차는 25%를 가중시켰다.

피팅기준점 아래 18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켰을 때 최소 31.1점에서 최대 59.4점이고 평균 48.6±6.9점이었으며, 원용부와 근용부만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30.5점에서 최대 60.9점이고 평균 46.1±6.6점이었다. 피팅기준점 아래 22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을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36.4점에서 최대 64.2점이고 평균 46.1±6.6점이었으며, 원용부와 근용부만 결합시켰을 때에는 최소 36.4점에서 최대 68.2점이고 평균 55.6±6.9점이었다.

table 5는 비점수차를 25% 가중시키고 근용부, 원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결합시켰을 때와 원용부와 근용부의 유용성에 대한 점수를 결합시켰을 때 렌즈의 유용성을 차례대로 정렬시킨 것이다.

물체의 주시는 안구움직임이나 머리움직임 또는 이 두 가지의 결합으로 얻을 수 있다. 누진가입도렌즈는 단초점렌즈나 이중초점 렌즈와 비교하여 명시범위가 좁기 때문에 일상생활이나 업무를 수행할 때 눈을 움직여서 사물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시야 특히 수평방향의 시야가 더 좁은 범위로 제한된다5). uemura 등7) 은 옆에서 주시자극이 나타났을 때 눈과 머리의 움직임이 반응하는 것을 연구하였다. 원거리의 정면을 바라보다가 주변의 사물을 볼 때 머리가 움직이기 전에 안구가 먼저 움직이며, 이 때 안구가 크게 회전한 다음 머리가 회전하고 이어서 눈이 미세하게 움직여서 시선이 주시물체를 향하도록 조정한다. 따라서 눈을 움직여서 원거리의 측면에 있는 사물을 안정된 상태로 주시하기 위해서는 누진가입도 렌즈에서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이 최소 19mm 이상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34종의 누진가입도렌즈에서 피팅기준점 위치를 기준으로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평균 8.67±3.64mm이고 최소 3.33mm에서 최대 21.50mm였고, 수평방향의 폭이 19mm 이상인 렌즈는 1종밖에 없었으며,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위쪽 1mm에서는 2종만이 19mm 이상이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누진가입도렌즈는 원거리의 주변부 물체를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수평방향의 폭이 좁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요구되는 시야가 제한될 수 있다.

동공을 중심으로 한 누진가입도렌즈의 원용부 명시범위의 면적 역시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했을 때 원거리 시력과 관련이 있다. 34종의 누진가입도 렌즈에서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위쪽1mm와 아래쪽 5mm까지 원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은 최소 9.17mm²에서 최대 91.25mm²이고 평균 30.57±17.20mm² 였다. 이처럼 렌즈의 디자인에 따라 원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과 면적이 큰 차이를 보였다.

selenow 등은 누진가입도렌즈의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측정값과 눈의 사용방법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19인치 컴퓨터 모니터를 사용할 때 시각적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10° 기울기로 60cm 거리에 있는 컴퓨터 모니터가 이루는 각은 수평방향 35.7°이고 수직방향 26.8°이며, 모니터의 양쪽 끝을 주시하기 위해서는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이 최소 17.85mm이어야 하고 스크린의 25%를 주시하기 위해서는 명시범위의 면적이 59.8mm2 이상이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아울러 pal의 디자인 특성으로 인해 컴퓨터작업처럼 중간거리에서 작업할 때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이 제한되어 시야가 감소되므로 단초점렌즈보다 시각능력이 저하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1.25d 구면도수가 가입된 중간거리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최소 2.17mm에서 최대 4.96mm(평균 3.52±0.70mm)였고 면적은 최소 10.52mm²에서 최대 41.21mm²(평균 19.56±6.38mm²)였다. 따라서 모든 렌즈가 selenow 등8)이 제시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디자인에 따라서도 큰 차이를 보였다.

sheedy는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고 독서할 때 요구되는 시각적 조건을 분석하여 근용부 명시범위의 측정값이 타당한지 여부를 평가한 결과,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고 40cm 거리에서 표준 편지지(8.5×11인치)의 상단을 20° 기울인 상태에서 종이의 어느 한쪽 가장자리를 주시하려면 근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이 15mm 이상이며, 종이의 절반을 주시하려면 근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이 139mm2 이상이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쪽 21mm 떨어진 곳에서 근용부 명시범위의 수평방향 폭은 5.83mm에서 최대 17.50mm(평균 9.75±2.40mm)로 거의 모든 렌즈가 sheedy가 제시한 조건으로부터 벗어났으며 디자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근용부 명시범위의 면적은 최소 26.58mm²에서 최대 111.25mm²(평균 62.31±18.07mm²)로 모든 제품에서 요구조건을 크게 벗어났으며 디자인에 따라서도 큰 편차를 보였다.

피팅기준점으로부터 아래쪽에서 구면도수 +1.75d가 처음 나타나는 높이는 최소 10.35mm에서 최대 18.16mm(평균 13.53±2.02mm)였으며 디자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특성은 안경테의 수직높이를 선택할 때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원거리와 근거리 물체를 교대로 주시할 때 머리의 수직방향 보정운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누진대 바깥부분의 난시는 중간거리부 도수 증가율의 두 배로 커지며, 난시량은 가입도와 관련이 있으며 가입도가 높아질수록 곡률변화가 더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비점수차가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고 가입도의 누진비율이 주변부 비점수차량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누진가입도렌즈를 착용하고 쉽게 적응할 수 있는지 여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성으로 생각된다.

누진가입도렌즈는 디자인의 특성에 따라 원용부나 중간거리부 또는 근용부의 명시범위가 다르며, 누진가입도렌즈를 사용하는 사람의 시각적 요구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누진가입도의 광학적 특성과 착용자의 시각적 요구를 적절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원용부와 근용부, 원용부와 중간거리부 또는 근용부와 중간거리부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착용자의 직업적이나 시각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고려할 필요도 있다.

원용부와 중간거리부의 결합은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작업을 하지만 주로 원거리에서 작업을 하며 근거리작업은 거의 제한적인 사람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중간거리부와 근용부의 결합은 주로 근거리에서 실내작업을 하는 사람이나 누진가입도렌즈를 주로 근거리와 중간거리 작업을 위해 사용하고 원거리 활동을 할 때에는 안경을 벗는 정시성 노안에게 적합한 디자인을 선택할 때 적용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공급되는 누진다초점렌즈의 광학적 특성에 관한 정보는 최소 피팅높이, 원용도수 측정기준점 위치 및 피팅기준점 위치 등에 국한되고, 렌즈의 주 용도는 원거리 전용이나 근거리 전용 또는 중근거리 전용 등으로만 제공되는 실정이므로, 실무에서 누진가입도렌즈 착용자의 직업적이나 시각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누진가입도렌즈의 여러 가지 광학적 특성과 주된 용도 및 특수용도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으로부터 누진가입도렌즈의 디자인에 따른 여러 가지 광학적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원용부와 근용부 및 중간거리부의 유용성에 관한 서열화와 각각의 변수간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임상에서 착용자의 시각적 요구에 적합한 디자인을 선택하고 조제하는데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저작권자 © fn아이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