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안경이나 렌즈를 착용해 이를 보완한다. 특히, 안경과 렌즈를 착용하지 않으면 사물이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시력이 나쁜 이들은 당장의 일상생활이 불편하기 때문에 항상 안경과 렌즈를 챙겨야 한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면 따르는 불편함과 두꺼운 렌즈로 인해 눈의 크기가 작아 보이기 때문에 미용적인 이유로 렌즈를 선택하는 이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제일 쉽게 착용하는 것은 소프트렌즈이다. 소프트렌즈는 말 그대로 부드럽고 말랑말랑하며 두께가 얇아 착용감이 좋다. 문제는 렌즈가 검은 눈동자 뿐 아니라 결막까지 덮기 때문에 산소투과율이 낮아 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이다. 렌즈를 장기간 착용하는 동안 소프트렌즈가 안구의 물기를 흡수하면서 눈이 뻑뻑해지고, 각막 전체가 덮여 있기 때문에 각막에 다양한 문제가 유발할 수 있다.
흔히 소프트렌즈를 장기간 착용함에 따라 각막에 상처가 생기거나, 각막염, 각막 저산소증, 결막충혈, 각막신생혈관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증상이 심하게 나타날 때 렌즈착용을 쉬면 일시적으로 괜찮아지기 때문에 다시 반복적으로 렌즈를 착용하는 일이 많아 악순환이 반복되게 된다.
때문에 소프트렌즈 착용으로 인한 각종 염증 발생으로 고생하던 이들이 하드렌즈로 교체해 착용하는 경우가 많다. 각막과 결막을 덮고 움직임이 거의 없는 소프트렌즈에 비해 하드렌즈는 산소투과율이 높고 크기가 작아 각막위에 위치하면서 움직임이 있어 눈물순환을 돕기 때문에 각막염과 같은 안질환 등의 부작용 발생도 덜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하드렌즈는 소프트렌즈에 비해 딱딱하고 두께가 두꺼워서 이를 착용하려고 해도 쉽게 적응하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 눈에 뭔가가 들어가 있는 이물감이 있고 통증도 느껴지는 등 적응에 따른 여러 가지 증상을 견디지 못하는 이들도 있기 때문에 하드렌즈를 착용해 보려고 시도하다가 이를 포기하는 일도 많은 것이다. 따라서 소프트렌즈부작용으로 하드렌즈를 착용하는 것이 눈 건강에 있어 완벽한 해결책이라고 할 수는 없다.
좋은사람들성모안과 박성진 원장은 “수년간 소프트렌즈를 착용하면서 다양한 각막손상, 각막염 증상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경우라면 더 이상 렌즈를 착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물론 하드렌즈가 소프트렌즈에 비해서는 각막손상을 덜 일으키지만 일단 눈 상태가 악화되었다면 렌즈착용은 권하지 않는다.”라 전한다.
박성진 원장은 또한 “이런 경우 더 이상 눈이 악화되기 전에 각막이 건강한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안과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각막이 회복되면 렌즈는 착용하지 말고 안경을 착용해야 하며, 안경이 불편하거나 직업적으로 착용하는 것이 자유롭지 않은 경우라면 시력교정술을 받는 것이 좋겠다.”라 전한다.
시력교정술은 라식이나 라섹을 들 수 있는데, 각막과 눈의 전체적인 상황을 고려해서 철저한 검사를 한 뒤 자신에게 적합한 시술을 받게 된다. 평상시 안구건조증으로 렌즈착용이 어려웠거나 불편했던 경우, 건조증으로 인한 각막염 등의 질환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건조감을 덜 느끼는 라섹수술이 라식보다 더 적합할 수 있다. 단, 라섹 시술이 라식에 비해 통증이 있고 시력회복이 천천히 되는 점 때문에 라섹을 부담스러워하는 이들이 있는데,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시술을 해야 한다는 점이다.
좋은사람들성모안과 박성진 원장은 “많은 이들이 라식에 비해 라섹 수술에 대한 두려움이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통증매개물질 분비를 감소시켜서 통증을 많이 줄여주었고, 시술 후 장기적인 관점에서 볼 때 라섹수술의 안전성이 인정을 받으면서 많이 시술을 받는 추세이다.”라 전한다.
한편, 라섹계열의 수술로는 무통라섹수술(통증을 줄인 수술), 무통m라섹수술 등이 있으며 고도근시에 각막의 두께가 얇아 라식, 라섹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icl이라는 안내렌즈삽입술 방법을 통해 시력교정을 할 수 있다.
/과학기술부
